오오미

1 고대 일본의 관직 이름

大臣(おおおみ). 일본 고대의 관직으로, 한자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말 그대로 '대신'이라는 뜻이다. 지방 귀족 세력(호족)을 중앙으로 편입하면서 등장하게 되었다.

여담이지만 한글일본어 발음을 표기할 때 장음과 단음을 가리지 않고 한 글자로 표기(가령 오오사카(大阪) / 오-사카 → 오사카 같은 경우)하는 경우가 많은데, '오오미' 밑에는 '오미(臣)'가 있어서 구분을 위해서는 짤없이 '오오미'로 적어야 한다. 장음을 대놓고 모두 표기하는 최영애-김용옥 표기법으로는 '오오오미'가 된다. 오가 몇개야

대표적인 오오미로는 불교 도입 당시 모노노베 가문과 대립각을 세웠던 소가 가문의 소가노 우마코, 다이카 개신(정확히는 을사의 변) 당시 제거당한 것으로 잘 알려진(...)[1] 소가노 이루카 등이 있다.

2 일본 시가현의 옛 지명

近江(おうみ).[2] 철자를 그대로 읽어서 '오우미'라고 쓰기도 한다. 물론 있는 장음을 깨뜨리는 것이므로 '오우미'는 틀린 것이 된다. 표준 일본어 표기에 따르면 오미.

시가현의 옛 지명으로 오오미 상인이라 불리는 대상인들의 근거지였다. 전국시대 후기에는 아자이 씨가 다스리고 있었다. 이시다 미츠나리, 오오타니 요시츠구 등도 이곳 출신.

3 일본의 성씨

近江. 위의 지명에서 유래. [3]

4 일본 아이치 현의 지명

大海. 아이치현 신시로 시 오오미.

5 인터넷 속어

주의. 이 문서는 비하적 표현에 관한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비속어, 욕설, 멸칭에 관해 설명하는 문서입니다. 따라서 읽는 이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니 열람하실 때 주의하시고, 읽고 싶지 않으시면 문서를 닫아주세요.

2010년경부터 디시인사이드를 중심으로 인터넷에 떠돌기 시작한, 전라도 사투리를 흉내내어 전라도 사람을 비하한 속어.

그러나 실제 서남 방언에서는 오오미라는 표현을 쓰지 않는다. 지역과 사람에 따라 오메 내지는 워메라고 한다. 그리고 저 두 말이 글로도 가장 흔하다.[4] 다만, 사투리라는 게 다 그렇듯이 본고장 사람이 말하고 쓰는 것과 타지 사람들이 듣고 적는 것은 다를 수 있고[5] 호남지역도 전남, 전북이 말이 다르고 군마다 말이 다르다. 과거 오오미라는 말이 쓰이지 않았다 해도 어차피 의성어, 감탄사라 보면 누가 그렇게 듣거나 말을 만들어 쓸 수는 있는 일이었다. 하지만 이 쪽으로 시작해 비어로 굳어 버린 말이라 일부러 욕먹어가며 쓸 필요는 없는 말이 됐다. 온라인에서 퍼진 비속어가 오프라인 금기어를 하나 만든 사례가 되었다.

흔히 희화적이고 상대방을 조롱하는 듯한 뉘앙스를 가진 감탄사로 사용되며, 일본의 2ch와 동일한 정치성향을 가진 야갤, 정사갤 등등에서 특정 지역이나 다른 정치성향을 가진 사람을 악의적으로 조롱하는데 사용되었다.[6] 그러니까 진짜 쓰이는 줄 알고 밖에 나가서 쓰면 심히 곤란하다 이런 말을 만들고 퍼뜨리는 데 큰 역할을 하는 몇몇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활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은 다른 온라인 속어와 마찬가지로 이것의 의미를 전혀 모르므로 쓴다고 화부터 내지는 말 것. 그리고 뜬금없이 지역차별주의자로 낙인찍히지 않으려면 생각없이 쓰지 말 것.무작정 낙인찍지도 말자
  1. 이렇게 설명해두니 굉장히 안습해보이지만, 그래도 당대 최고의 정치적 실력자였다.
  2. お 다음에 う가 오면 장음이다. '오우'가 아니라 '오-'라고 발음해야 한다.
  3. 예를 들자면, 오오미 츠카사
  4. 전라남도 강진군 출신인 김영랑이 쓴 시 중에 《오매 단풍 들겄네》가 있고, 송대관이 부른 《분위기 좋고》라는 노래에도 "오메 좋은 거"라는 가사가 있다.
  5. 경상도 일부 지역 사람들이 타지역 사람에게는 영락없이 "살"이라 들리게 발음하지만 적을 때는 "쌀"이라 쓰는 것처럼.
  6. 듣고 나서 그냥 호남쪽 감탄사를 대충 쓴 정도로 짐작할 뿐 연원따위 모르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누가 쓰면 화부터 내지 말고 친절하게 지적해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