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디트

Judith

구약성경 유딧기[1]에 등장하는 인물로 아시리아의 장수 홀로페르네스(Holofernes)의 목을 벤 여인. 여러 화가들의 그림 속 주인공이 되었기에 대중들에게도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특히 구스타프 클림트가 그린 유디트는 황홀한 표정으로 적장의 목을 들고 웃고 있는 모습으로 유명하다. [2]

유딧기는 실제 역사와는 배치되는 부분이 많다. 그래서 역사를 기록한 역사서라기보다는 유다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쓴 문학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일단 유디트라는 이름부터가 '유다 여자'란 뜻이다.

1 내용

유디트는 유대의 산악도시 베툴리아에 살았던 아름답고 정숙한 과부였는데, 홀로페르네스가 지휘하는 아시리아 군대가 베툴리아를 침략하자 아름다운 치장을 하고 아시리아 군에 거짓으로 투항하여 연회를 즐긴다. 그리고 홀로페르네스와 단 둘이 남게 된 유디트는 만취한 그가 잠들자 그의 칼로 목을 베어 하녀와 함께 수급을 거두어 달아난다.

홀로페르네스가 방심한 것이겠지만, 내막이 어찌되었든 엄청난 활약이다. 민간인 두 명이 적진 한가운데 잠입하여 야전군 지휘관을 죽이고 증거까지 챙겨서 무사히 탈출한 것이다! 그리고 유디트의 활약으로 용기를 얻은 유대의 군대가, 어이 없이 대장을 잃은 아시리아 군대를 물리친 것은 당연한 전개.

성경에서는 그냥 위의 서술 이상의 묘사는 나오지 않지만, 홀로페르네스가 만취한 상태로 유디트와 단 둘이 남았고 자다가 침대에서 참수 당했다는 상황이 미인에게 유혹 당해 즐기고 퍼자다가 살해당한 것 아닌가 싶은 의혹을 불러일으킨다. 실제로 유딧기를 봐도 홀로페르네스가 유딧과 동침하고 싶어 안달이 났다는(...) 내용이 있다.[3] 물론 유딧 본인은 이를 부정한다.[4]

총사령관이 끔살당하고 그 수급까지 빼앗기는 상황에서 그것을 저지할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는 것은, 어떠한 비밀스러운 이유로 호위를 물렸다는 의미. 그리하여 성경에 나오는 유디트는 자신의 조국을 구한 영웅이며 성녀이지만, 시간이 지나며 점차 영웅의 이미지보다는 성적 매력을 이용하여 남자를 파멸시킨 팜 파탈(요부)의 이미지가 씌워진다. 굳이 건전하게 상황을 해석하자면, 뇌물 등을 미끼로 던지며 단독 면담을 요구했을 수도 있다.

2 후대에의 영향

유디트의 이야기는 여러 화가들에게 영감을 주어 작품을 탄생시켰다. 대부분이 살해당한 남성의 목을 들고 있는 아름다운 여인의 모습이다. 그런데 예외적으로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Artemisia Gentileschi)의 작품은 하녀와 함께 홀로페르네스를 짓누르고 단호한 표정으로 목을 베고 있는 생생한 살해 현장을 묘사하였다. 여기서 유디트는 미인이기 전에 건장한 남성을 능히 살해할 수 있는 억센 팔뚝을 지닌 여성이다. 비슷한 시기에 같은 장면을 묘사한 남성 화가 카라바조(Caravaggio)가녀린 소녀가 인상을 쓰며 목을 베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과는 대조적. 유디트의 조력자도 카라바조의 그림에서는 늙은 노파로 유디트를 재촉하는 등의 역할에 그치지만, 젠틸레스키의 경우는 동년배 내지는 약간 연상의 여인으로 홀로페르네스를 짓누르는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여성 화가인 젠틸레스키는 성폭행 피해 경험이 있었는데, 가해 남성 '아고스티노 타시'[5]를 고발했다 오히려 거짓말을 한다며 손가락을 조이는 고문을 받는 적반하장의 상황에 처했던 경험이 있다. 타시는 젠틸레스키를 강간 후 결혼하겠다고 해서, 두 사람은 사건 뒤 3년 간 결혼을 전제로 한 애인 관계였다. 이건 당시 시대상 흔했던 강간 후 해결 방법이었다. 그러나 타시는 이미 다른 데에서 마누라도 있었고, 전 전과자에 처제(14세)와 근친상간죄로 고발된 상태였다(...) 해당 사건에서 유죄로 반 년 징역을 산 이후 두 번이나 체포되었는데 그 중 한 번은 매춘부 폭행 후 금품절도... 참 막장이다 이 그림이 발표되자 사람들은 그림 속 유디트의 얼굴과 젠틸레스키의 얼굴이 너무나도 흡사한 것에 놀랐다고 한다.


반면, 클림트가 묘사한 유디트는 위 두 작품과는 다르다. 클림트가 그린 <유디트와 홀로페르네스의 머리>에서 유디트는 황홀한 표정을 짓고 흉부가 거의 다 드러나는 옷을 입고 있다. 무엇보다 위 두 작품은 홀로페르네스의 머리가 잘려나가는 장면을 묘사했지만, 여기서는 이미 잘린 홀로페르네스의 머리를 들고 있다. 게다가 머리는 화려한 금박에 비해 우중충해서 거의 존재감이 없다. 즉, 홀로페르네스의 머리를 자르고 나서 도취된 치명적인 여자 유디트에 집중되어있다.

  1. 종교개혁을 거친 개신교에서는 정경에서 제외했지만 가톨릭, 정교회 등에서는 여전히 사용한다.
  2. 2011년 도전 달력모델에서 유재석이 분했던 그 그림이다.
  3. "이윽고 유딧이 들어가 앉았다. 그러자 유딧 때문에 홀로페르네스의 마음은 들뜨고 정신은 아뜩해졌다. 그는 유딧과 동침하고픈 강렬한 욕망에 사로잡혀, 그를 처음 본 날부터 유혹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던 것이다." (유딧 12.18)
  4. "제가 저의 길을 걸어갈 때에 저를 지켜 주신, 살아 계신 주님을 걸고 말합니다. 저의 얼굴이 그를 유혹하여 멸망시켰습니다. 그러나 그가 저에게 죄를 저질러 저를 부정하게 만들거나 수치스럽게 만든 것은 결코 아닙니다." (유딧 13.16)
  5. 당시 아버지 오라치오(이 사람도 화가다)와 친했던 화가로, 젠틸레스키에게 원근법을 가르치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