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도류

二刀流

1 일본의 검술

일본 검술에서 양손에 하나씩 무기를 들고 싸우는 방식유파를 말한다.

1.1 개요

대한민국에서는 검 두자루를 쓰는 것을 쌍검 혹은 쌍검술이라고 한다. 한국이나 다른 나라의 쌍검술을 찾으러왔다면 쌍검 항목을 참고. 이도류는 국어사전에도 없는 단어지만 한국의 서브컬쳐에서 자주 쓰이는데, TRPG 등지에서 무기를 두 개 든다는 dual-wield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쌍수'나 '양손' 등이 '무기를 두 개 들고 싸우는 것'인지 '큰 무기를 양 손으로 잡고 싸우는 것'[1]인지 헷갈리다 보니까 그냥 '확실히 무기 두 개를 드는 것을 뜻하는' '이도류'라는 단어를 쓰다 보니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미야모토 무사시가 이도류를 썼다는 것으로 유명하다. 사실 칼을 2개 들고 다닐 뿐 이도류는 아니라는 설도 있다. 무사시의 이천일류는 대+소 조합이라는 설과 대+대 조합이라는 설이 공존하는데, 현재의 이천일류는 대+소 조합을 가르친다.

1.2 특성

일본도는 원래 양손으로 다루도록 설계된 무기이기 때문에 한손으로 다루기엔 여러모로 난점이 많다.

료마가 간다의 저자인 시바 료타로에 따르면 이도류는 두 검이 서로 교차할 때 틈이 생겨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일정 실력 이상이 되는 사람들끼리의 싸움이 되면 절대로 일도류를 이길 수 없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일도류 중심의 좀 편협한 시각으로, 힘든 건 사실이지만 절대적이지는 않다. 사람들이 잘 안 쓰는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으나, 무술 간의 우열을 섣불리 가리는 것만큼 어리석은 건 없다는 것을 잊지 말자.

실제로 세계 검도 대회에서 이도 수련자가 우승한 사례도 있는 등 꼭 일도보다 무조건 불리하다는 말할 수 없다. 우열은 쓰는 사람에 달린 것이지 유파 자체에 있지 않다. 물론 뒤집어 말한다면 각종 대중매체에서 묘사하는 그런 절대 무적도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대+소 조합은 좌 우 칼의 역할이 딱딱 나뉘는데, 상대가 멀리 있을 떄는 대도로 상대를 격살하고 소도로 막는다. 상대가 접근하면 대도로 가로막고 소도로 찌르고 벤다. 이렇게 운용하려면 대도와 소도 양쪽 다 한손 운용에 능숙해야 하는데, 의외로 일본에서는 병법을 익힌 자는 애초에 항상 다이쇼, 대도와 소도를 휴대하면서 양자에 익숙하기 때문에 이도류를 위한 기본기는 되어있다고 볼 수 있다.

1.2.1 검도

파일:Attachment/이도류/toda.jpg
검도(劍道)에서 이도류(二刀流)라는 말은 잘못이다. 류(流)라는 말은 유파(流派), 계보를 뜻하는 것이기 때문에 검도에서는 이도(二刀)가 옳다. 이도의 자세는 대도, 소도의 위치에 따라 정이도(正二刀)와 역이도(逆二刀)로 나뉘고 양 발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족(正足)과 역족(逆足)으로 나뉜다. 정이도는 왼손에 소도, 오른손에 대도를 들고 역이도는 반대로 왼손에 대도 오른손엔 소도를 든다. 대도를 든 손쪽의 발이 앞으로 나가면 정족, 소도를 든 손쪽의 발이 앞으로 나가면 역족이다. 정이도와 역이도의 가장 큰 차이는 연계 동작과 중심이다. 정이도는 튼튼한 중심으로 상대방의 내부를 붕괴해가는 식의, 전의를 꺾는 플레이가 가능한 반면 역이도는 반격기 위주라고 볼 수 있다. 국내에는 역이도가 많다.[2]

이도가 처음 등장한 큰 시합은 천황어전시합이다. (쇼와천람시합) 이 대회는 쇼와 시대 일본 왕실의 행사로서 일제의 통치 아래 있는 각 지역들의 (만주, 조선, 사할린, 대만 등) 무술 대표들이 그 대상이었다. 그 첫 대회에서 이도가 준우승을 하였고 당시 검도계는 이도를 막아야한다는 의견이 많았으나 천황이 흥미롭다고 한 덕에 무사히 유지될 수 있었다.


천람시합에서 이도 영상(1분5초)

검도 초창기인 일제시대에는 죽도 길이나 무게에 대한 규정도 없었고 현대 검도와는 한 판의 개념이 달라서 소도로 툭 쳐도 한 판이 됐기 때문에 이도를 드는 것이 굉장히 이득이 되는 상황이었다.[3] 득점만을 추구하는 경향이 심해지자 당시 전일본검도회 측에서 학생부이도금지령을 선포했고 죽도 규격이 정해지면서 미군정이 끝날 때까지 연구의 목적이 아니면 이도가 공식 석상에 나오는 일이 없었다.
파일:Attachment/이도류/nito.jpg

이도를 잘 모르는 심판들이 한 손으로 치니까 격자가 약하다는 괴이한 편견으로 판정을 굉장히 짜게 주면서 이도를 박대하고 있다. 그래도 제한된 격자 부위와 규칙으로 보호받는 검도니까 이도가 홀대받고 약하다는 평가가 나올 뿐, 실제로는 상당히 상대하기 어려운 기술임은 명백한 사실이다. 한손으로 막는 동시에 다른 손으로 공격할 수 있어서 상대하기가 매우 껄끄럽다. 한마디로 칠 곳이 없다. 더구나 이도나 상단을 체계적으로 가르치지 않다보니 대부분의 검도가들이 중단에만 익숙해서 이도나 상단을 대회에서 만나면 당황하기 일수다. 하지만 이도 측도 여전히 판정을 짜게 받는 편이라서 쉽게 승부가 안 나는 편이다.

검도계가 워낙 보수적이다 보니 초보가 이도나 상단을 배우고 싶다고 하면 중단이나 잘 하라고 핀잔주는 관장들이 많다. 중단이 근본인 것은 사실이지만, 본인들이 상단이나 이도 경험이 없어서 가르치지 못하는 것을 솔직하게 말하지 않고 중단이나 잘 하라는 경우가 다수라고 짐작된다.

이도는 목을 찌르면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한국 검도계는 찌름 연습을 잘 안 하기 때문에[4] 반격당하기 십상이다. 소도로 상대의 공격을 막아서 상대방의 상체가 기울 때 대도로 공격하면 쉽게 한 판으로 인정이 되니 주의하자. 심지어 대도로 상대 칼을 막고 소도로 공격해도 한 판으로 인정된다.

1.2.1.1 관련 항목

2 양성애자를 뜻하는 은어

양성애자를 뜻하는 은어로 쓰기도 한다. 말그대로 성적취향에 있어 남성, 여성을 가리지 않는 타입, 쉽게 말해서 바이다. 간혹 양손의 꽃과 혼동하는 케이스가 있지만 엄밀히 말해 전혀 다른 표현이다.

3 투수와 타자를 겸업하는 선수

일본 야구계에서 투수타자를 겸업하는 특이한 선수를 가리키는 단어. 대표적인 선수로는 오타니 쇼헤이 선수가 있다. 지명타자 제도가 없는 센트럴 리그내셔널리그에서는 이런 말을 쓰지 않는다.

4 미식축구와 야구를 겸업하는 선수

  1. 실제로 무예도보통지에서 양손검이 쌍수도라고 불린다.
  2. 대표적인 이유는 시합 상대가 대부분 중단(中段)인데 오른손에 대도를 들면 상대의 오른손목을 치기 어렵다는 점이다. 왼손 단련을 위해 역이도를 드는 경우도 가끔 있다.
    인구의 반이 넘는 오른손잡이들에게는 소도를 다루기 쉬운 역이도가 더 편하기 때문이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대도가 일도용 죽도보다 작긴 하지만 크기 차이가 작아서 주로 쓰는 손으로 들어도 힘들기 때문이다.
  3. 러일 전쟁이 끝나고 일본 사회적인 분위기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이겨야한다는 인식이 팽배해져 있었다
  4. 찌름 자체가 상대에게 위험한 기술이다 보니 안전 문제로 인해 이를 금기시하고 있다. 300이하 맛세이 금지 처럼 3단 이하 찌름 자제가 암묵적인 규칙일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