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 료타로

파일:Attachment/시바 료타로/shiba.jpg

司馬 遼太郎(1923.8.7 - 1996.2.12)

1 설명

'어째서 일본인은 이렇게 빠가가 된 걸까' 하고 스물 두 살 때 생각했습니다. 옛날에는 안 그랬을텐데. 거기서부터 저의 소설이 시작되었습니다. 옛날에는 안 그랬을 것이 틀림없어. 그렇지 않다면 일본은 여기까지 살아남을 수는 없을 테니까. 쇼와로 와서 잘못된 것이 틀림없어. 그러나 옛날 일들을 잘 몰랐습니다.

서른 다섯, 여섯 살 때부터 문헌과 자료를 읽으면서 쓴 소설은 스물 두 살 때의 자신에게 부친 편지였습니다.
<료마가 간다>도 <언덕 위의 구름>도 그 이후의 작품들도 '일본인이란 것은 뭐야?'가 테마였습니다. - 시바 료타로(68세) 평성 3년. 문화공로상 수상 기자회견에서

일본소설가. 현대의 시점에서 역사를 되짚어 보는 역사 소설과 일본인의 정체성에 대한 글을 남긴 베스트셀러 작가. 본명은 후쿠다 데이이치(福田 定一)이며, 1923년 8월 7일에 오사카에서 태어났다. 1996년 2월 12일에 흉부 대동맥 파열로 사망. 공교롭게도 소설가 엔도 슈사쿠와 출생년도와 사망년도가 동일하다.

합리적인 사고방식과 역사관을 가진 지성인이자, 지한파(知韓派)에 속한다. 일단 우파의 시각을 가졌지만,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의 일본을 까는 데에 주저함이 없다. 특히 대전 중 일본군에 대해서는 증오한다고 자타가 공인할 정도로 무지막지하게 깐다.[1][2]

쇼와에 대해서는 "귀태(鬼胎)"의 시대, 귀태란 오니의 자식으로 자신의 자식이지만 부모와 닮지 않은 아이. 일본사에서도 특이한 '비연속의 시대'라고 평했다. 즉, 뭔가 잘못돼서 이상해졌다는 것이다. 시바는 <이 나라의 꼬라지(この国のかたち)>에서 이 귀태의 시대의 시작은 러일전쟁의 승리로 [3] , 일본 국민은 "러일전쟁 승리 반자이!! 자국 우월주의(내셔널리즘)"에 빠져, 군부의 폭주와 침략전쟁을 일으키는 쇼와라는 귀태(鬼胎)의 시대를 낳았다고 비판했다.

시바는 나라를 사랑하는 방식을 내셔널리즘(국가주의)과 패트리어티즘(애국심)으로 구분했다. 금수저 명문가에서 태어나서 그것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사람이 있다. 내셔널리즘은 그저 집안 자랑이나 하고, 다른 집안을 업신여기고 깔본다. 그에 비해 자신은 어쩌다 좋은 집안에서 태어났으니, 계속 존경받을 수 있는 집안이 되도록 노력하는 사람이 있다. 이런 감정을 국가적 규모로 행하는 것이 내셔널리즘과 패트리어티즘이라고 정의했다. 일본이 내셔널리즘(비뚤어진 애국심)이 폭주한 것은 러일전쟁의 승리가 계기였다고 시바는 생각했다. 러일전쟁 직후에 일본은 내셔널리즘이 아닌 패트리어티즘의 길을 선택해서, 해군을 축소하고 주변국과 사이좋게 협조하면서 국가를 발전시켰어야 했다고 주장했다.

그 전의 다른 역사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서술했음에도 불과하고 오직 쇼와의 이 시기만큼은 "귀태"라는 단 한 마디로 어물쩍, 일본의 잘못에 대해 제대로 된 비판 없이 은근슬쩍 넘어가려는 속셈이 아니냐는 비판이 일본 내 좌파 지식인들 사이에서 제기되기도 했다. 반대로 극우파들에게는 소위 자학사관의 전파자친미보수니 식으로 까였다. 그런 의미에서는 리버럴한 온건 보수라고 하는 것이 가장 타당할 듯. 한편 작품들을 유심히 살펴보면 중증의 메이지. 쇼와에 대한 비판도 엄밀히 따지면 "메이지 시대의 영광을 너희들이 말아먹었다"고 하는 모습에 가깝다.

철저한 고증을 거쳐 작품을 쓰기로 유명하다. 또다른 유명 역사소설가인 요시카와 에이지와 비교할 때, "요시카와 에이지는 서재에서 펜 한자루에 의지하여 소설을 쓰는데 시바 료타로는 트럭 한 대분의 자료를 들고 와서 소설을 쓴다."는 말이 있을 정도. 고서점 거리에 트럭 한 대를 몰고 나타나 손에 잡히는 대로 트럭에 던져 넣었다느니, '언덕 위의 구름'을 집필할 당시 역시 러일전쟁을 소재로 쓰려던 작가가 있었는데 자료 수집을 위해 고서점에 가보니 시바 료타로가 다 쓸어가버려서 아무 것도 남아 있지 않았다는 등의 전설이 남아 있다. 심지어 학술 논문에 인용이 될 정도라고 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스로에게 만족하지 못한 듯, 사마료태랑이라는 필명도 '사마천(《사기》의 저자) 에게 다다르려면 아직 멀(遼 요원하다)었다'는 뜻으로 지었다고. 중일 문화 교류를 위해 교류 협회의 이사직을 맡았을 때에도 '내 작품이 뛰어나다고 해도 '스승' 사마천에 비하면 아무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다만 이러한 철저한 고증이 곧 역사적 사실에 충실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자신의 주관 및 사상을 드러내기 위한 수단으로, 역사적 사실을 철저한 조사를 통해 재구성한다는 느낌이 강하다. 그렇기에 이 사람의 시선을 통해 소설화된 역사적 사실을 실제와 같다고 보면 위험한 것[4]. 소위 일본식 역사소설의 스타일이라는 것이 이러한 것이며, 장르가 다소 다르다고는 해도 다나카 요시키시오노 나나미와 같은 작가들도 이러한 시바 료타로의 스타일에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시바 료타로 작품들의 특색은 역사 속에서 패자 혹은 무명으로 남겨진 이들에 대한 재조명이라 할 수 있다.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 우에스기 겐신, 다케다 신겐 등의 소위 1급 인물들은 작중 주인공들이 넘어야 할 벽 내지는 그들이 활동하는 무대라는 느낌이 강하며,[5] 대신 사이토 도산, 이시다 미츠나리, 야마우치 카즈토요 등의 알려지지 않았거나 부정적으로 기록된 인물들을 주인공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이런 작가의 스타일 때문에 도쿠가와 이에야스 안티라느니 이시다 미츠나리를 광적으로 존경한다느니 하는 이야기가 있었지만, 이시다 미츠나리에 대한 시바 료타로의 호의적인 서술은 사이토 도산에 대한 그것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라는 점을 생각하면, 그냥 그런 부류의 주인공을 다루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그렇다는 정도로 생각해둘 필요가 있다. 더욱이 작가의 세키가하라 전투를 읽어보면 미츠나리의 인격적 결함도 서술하고 있어서 미츠나리 빠라고 말하기도 어렵다. 이에야스에 대해서는 "재미없는 현실주의자" 정도로 평가한 적이 있을 뿐이지 딱히 안티라고 보기도 힘들며, 소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도 이에야스가 천하를 잡을 수 있었던 이유나 이에야스의 강점과 장점 역시 빼놓지 않고 잘 서술하고 있다. 다만 소설 속의 이에야스가 악역을 맡고 있어서 그렇게 보일 뿐.

가만히 보면 게임이나 만화 등 오늘날 일본 여러 매체에서 표현되는 전국시대 무장의 캐릭터에 알게 모르게 많은 영향을 끼쳤다. 오다 노부나가의 스승처럼 묘사되는 사이토 도산, 불의와의 타협을 모르는 이시다 미츠나리, 여유만만한 성격의 시마 사콘, 단순한 모반자라기보다는 자신의 능력을 나라와 백성을 위해 쓰고 싶어한다는 아케치 미츠히데 등.

1946년부터 61년까지 기자 생활을 하며 틈틈히 작품을 발표했다. (첫 직장은 당시 재일 조선인이 운영하던 지방의 작은 신문이었다고.) 우리나라에서는 일본 문화 개방의 흐름에 따라 본격적으로 접할 수 있었던 영화올빼미의 성》의 원작 소설을 썼다. 이 작품으로 1956년 나오키상을 수상했으며, 일본에 닌자붐을 일으켰다.

66년 기쿠치칸상을 받은 《료마가 간다》라는 작품이 가장 유명하여[6] 다섯번이나 드라마되고 만화화 되기도 했다. 또한《신선조 혈풍록》은 만화바람의 검심》의 주 모티프를 제공한 소설이기도 하다. 실제 바람의 검심 작가 와츠키 노부히로가 가장 좋아하는 소설가.

일본 근대 역사소설을 거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쳐야 할 인물 중 하나이며, 일본 근대 역사소설은 물론이며 일본의 역사소설에 크게 기여한 대표적인 역사소설가이다.

70년대 이후 소설 집필은 줄고, '어쩌다 일본, 일본인이 이 지경이 되었는지' 일본의 현재와 미래를 고심하는 에세이를 주로 썼다.

71년부터 96년까지 에세이집(기행문) 가도를 가다(街道をゆく)를 집필 중 사망. 25년간 연재한 이 에세집만 단행본으로 43권(...) 분량이다. 우리나라에는 이 중 2권 '한나라 기행'(중국의 한나라가 아니라 우리나라를 말한다. 원제는 韓のくに紀行. 원문에 가깝게 옮기려다 보니 한국이 아니라 한나라로 번역한 듯)과 28권 '탐라기행'만이 번역되었다. 우리나라 기행문이 두 번째 기행문이라는 것이 의외라면 의외. 시바 료타로가 전선으로 끌려갈 때, 기차 안에서 서울역 인근의 청자 기와(착각이었을 거라고 덧붙이고 있기는 하다)를 덮은 지붕들을 보면서 '내가 만약 이 전쟁에서 살아남는다면 조선에 꼭 와봐야지'라고 다짐했다고 한다. 그래서 한일 수교가 되자마자 기를 써서 노력한 끝에 한국에 올 수 있었다고 한다. 한일 수교는 1965년, 이 책이 나온 것은 1972년. 대단한 근성이다.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1980년 김대중 (훗날 대통령이 되는 그 인물)이 조작된 혐의로 신군부에 의해 사형선고를 받았을 때, 당시 스즈키 젠코 총리에게 김대중씨 구명에 나서 달라는 서한을 보낸 적이 있다.

그가 쓴 수필이나 칼럼 등에서 한국을 상업이 발전하지 않았다거나, 봉건제가 발달하지 않았다고 하거나, 후지와라 시대와 비교해서 고찰하는 등 후쿠다 도쿠조가 연상되는 내용이 간간히 들어있어 이것이 비판받기도 하였다. [7] 그래도 우파로서는 가장 온건한 인물이며 첫 직장을 재일교포 회사로 정할 정도로 거리낌이 없어 한국계 지인들도 많은 편이라 우리나라에서는 지한파 작가로 인식되고 있다.[8]

다만 실제로 시바 료타로의 경우 친한파냐 혐한파이냐 구분하는것 자체가 무의미한 인물로서 실제 시바는 단순한 고도의 메이지빠로서 한국에 대해서는 특별히 친한이라든가 혐한이라든가의 감정을 가진 것은 아니었다. 실제로 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한국에 대한 표현이나 이미지들은 모두 철저히 근대시대의 일본의 관점에서 쓰여져 있다. 즉 위에서도 이야기된 바와 같이 전형적인 보수우익.[9] 그리고 이와 같은 뉴스에서도 나타나다시피 시바 료타로는 고도의 메이지빠이기 때문에 근대 역사에서의 한국에 대한 관점은 어디까지나 일본이 근대화시키고 이끌어줘야 하는 상대 딱 그 이상도 그 이하로도 보지 않았다. 물론 이것 자체가 한국인의 입장에선 모욕적인 것이고, 실제로 일본의 시도가 역사에서 어떻게 나왔는가를 보면... 사실 이것만으로도 문제가 크기는 하다

또한 여성에 대해 성차별적 의식을 갖고 있는 사람으로서, 작중 남성 인물이 속좁은 행동을 하면 그것을 '여성적인 감정'으로 평하는 경우가 많다. 많이 해당하는 사항이 '자기 주장을 반대하는 사람을 자기를 공격한다고 생각해서 호전적으로 공격하는 것'인데, 작중에서도 '다 남자들이 하는데' / '여성적인 감정' / '여성다운 부분' 운운하고 있는 걸 보면 성차별이 확실하다.

시바는 독자들로부터 쇼와시대 전반기와 2차 대전에 관련된 작품을 써달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끝내 이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은 쓰지 않았다. 몇 번이고 이 시대를 다루고자 자료도 조사했지만 결국 쓸 수 없었다. 시바 료타로가 역사소설을 쓰게 된 계기가 학도병으로 징집되어 경험한 전쟁 체험이었고, 그래서 자신이 체험한 제국주의 일본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하지만, 이 시대를 다룰려고 조사하면 조사할수록 우울함과 허무함을 느끼고 정신적인 데미지가 컸다. 만일 내가 쇼와 시대를 소설로 쓰게 되면, 제정신을 잃고 죽어버릴지도 모른다라고...미친 척하고 썼더라면 비판하는 목소리가 조금은 줄었을지도

실제로 출판사의 의뢰로, 노몬한 전투에 대해 30년간 취재를 했다. 그의 마지막 작품으로 어울리는 소설이라고 주변에서도 기대받고 있었다. 러일전쟁을 일본의 승리로 미화하고 국민들을 속인 윗대가리들은, 노모한 전투도 일본이 승리했다고 정신승리했고, 시바 료타로는 이런 짓을 되풀이하는 멍청한 윗대가리들과 바보가 된 일본인들에게 역사의 진실을 알리고자 했다. 그러나 끝내 집필하지 못했다.어쩌면 앞에서 서술한 것처럼 이걸 소설로 썼다가 제정신을 잃을까봐 그만둔 걸지도 요즘도 일본 우익들은 사실은 소련에게 진 것이 아니라 전략적으로는 우리가 이긴 싸움이라고 유투브에 영상을 올리고 있다.

오히려 태평양 전쟁을 극력 미화한 것은 역시 일본 역사 소설계의 거두인 야마오카 소하치. 다만 시바 료타로의 소설에 비판할 점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긴 하지만..

2 기념관

400px

오사카시에 시바 료타로 기념관이 있다. 시바 료타로가 소장했던 책들과 유품들을 전시한 기념관과 생전에 살았던 자택이 같이 있다. 기념관 자체도 유명 건축가안도 다다오의 설계로 아름답다.

3 저서

(번역된 작품 위주로 작성)

  1. 대전 말기 학병장교로 전차소대장이 되었다고 한다. 당시 작전 중 시민과 병사들이 패닉을 일으키면 어째야 하냐고 상급자에게 묻자 "치어 죽이며 가라"는 대답을 듣고 충격을 받은 나머지 전쟁 바보가 되어버린 일본인을 규탄하기 위해 소설을 쓸 결심을 했다고 한다.
  2. 전쟁 중에 치누 중전차에 탄 적이 있다고 한다. 그리고 고문관...이었던 듯.#
  3. 실상은 손해 막심하고 그 승리라는 것도 미국의 중재로 얻은 것이라는 것인데 이런 실상을 국민들에게 알려지지 않고 훗날 태평양 전쟁에서 같은 짓을 되풀이했다고 시바는 지적한다.
  4. 그렇다고 이러한 방식이 잘못되었다는 것은 아니다. 픽션의 영역에 속한다는 것을 분명히 인지하고 접할 필요가 있다는 것 뿐.
  5.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주인공인 패왕의 가문의 경우에는 도쿠가와 조차 천재적인 노부나가나 히데요시에 비해 부족한 천재성을 우직한 면으로 버티면서 극복하려는 느낌으로 묘사된다.
  6. 1962년부터 1966년까지 신문 연재. 요시카와 에이지한테 이전 작품은 고증이 엉터리라고 지적받고, 1000만엔 이상의 취재비를 들여서 철저하게 자료를 조사했다.
  7. 사실 한국은 중세 유럽이나 일본에 비해 봉건제도가 발달하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평민의 입장에서는 대체로 중앙집권국가에서의 삶이 봉건국가에서의 삶보다 대체로 더 나은 경우가 많았으니 비난으로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 단 중앙집권하에서는 "돈"이나 "무력"에 의한 권력/신분상승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상업이 발전하지 못하는 것 역시 사실이다.
  8. 사실 80년대 중반까지도 일본의 좌파는 우리나라를 독재정권, 군사정권으로 규정, 경원하여 무시하는 경향이 강했다. 일본 공산당은 오직 북한하고만 교류했으며 사회당(현 사회민주당)이 남한을 인정한 건 1990년대 이후이다. 때문에 80년대까지 일본에서 지한파라고 한다면 거의 대부분 우파 인물이었다. 하지만 이런 우파 지한파들은 '내선일체'식의 인식을 밑바탕에 깔고 있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해야 한다. (일본 주도하에) 동아시아 국가가 연합해서 서구 문명에 대항해야 한다는 논조가 많이 보인다. 이런 논리가 국가적으로 확장된게 바로 대동아공영권이다.
  9. 실제로 흔히 현재 일본에서 이른바 우익이라 불리는 세력의 무조건적인 혐한 속성은 일본내 정통우익세력에게도 어느정도 비판받고 있는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