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가나(문자)
て
목차
1 개요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 새로 생긴 가나를 작게 표기하는 방법이다. 작은 가나는 일본어에서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스테가나는 주로 다른 가나와 혼용하지만 스테가나만표기할 필요가 있을 때 로마자로 l 혹은 x+모음으로 표기 가능하다.(ex: la,xa➡ぁ)
2 사용법
다음은 작은 가나의 사용법을 모은 것이다.
2.1 요음
이 문단은 요음(으)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일본어에서 /j/ 반모음을 표기할 때 사용한다. い단의 가나 + 작은 가나의 형태로 사용한다.
일본어의 요음은 예전부터 존재했지만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도 요음을 구별해 적는 방법이 없어 '캬', '샤' 등의 음절을 きや、しや로 써 '키야', '시야'와 구별할 수 없었다.[1] 하지만 현대 가나 표기법이 제정되고 난 후, 두 음절은 각각 きゃ、しゃ로 적게 되어 구분이 가능해졌다. 사용되는 가나는 や행의 가나를 축소한 ゃ(ャ)、ゅ(ュ)、ょ(ョ)이며 や행이 없는 え단과 お단의 요음을 표기해야 할 시에는 あ행의 가나를 축소한 ぇ(ェ)、ぉ(ォ)를 사용한다. 외래어의 경우 ティ,ディ같이 쓰기도 한다.
2.2 촉음
이 문단은 촉음 · っ(으)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일본어에서 뒷 글자의 자음을 강조할 때 사용된다.[2] っ + 글자의 형태로 사용한다.
파열음(특히 か행, た행, ぱ행)이나 마찰음(특히 さ행, は행[3]) 앞에 오는 것이 일반적이며, 발음할 때에는 파열음의 경우 다음 파열음의 개폐 정도를 유지한 채 발음을 멈추었다 후음을 발음하고, 마찰음의 경우는 지속시간이 긴 마찰음이 된다. 葉っぱ(happa: 나뭇잎) あった,(atta: 있었다), 真っ赤makka: 새빨감) あっさり(assari: 간단하게), マッハ(mahha: 마하)를 각각 발음하면 '합파', '앗타', '막카', '아ㅅ사리', '마ㅎ하'[4] 처럼 발음된다. 이외의 발음은 보통 오지 않지만, 간혹 グッナイ(gunnai: 굿나잇)처럼 그런 발음이 실제로 오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규칙을 적용한다. グッナイ는 '군나이'에 가깝게 발음된다.
일본어의 촉음도 요음처럼 예전부터 존재했고,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는 つ를 이용해 표기했다. 그래서 ゆつくり는 윳쿠리가 될 수도, 유츠쿠리가 될 수도 있었다.[5] 하지만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는 つ(ツ)를 축소한 っ(ッ)를 사용하여 문제가 해결되었다.
한국어 표기가 좀 애매한데 ㅅ을 받침으로 쓴다. 하지만 っ는 k, p, t에 모두 포함되기에 ㄱ, ㅂ, ㅅ(또는 ㄷ)을 써야 되지 않냐는 주장이 많다.(ex: 北海道(ほっかいど) : 홋카이도➡혹카이도 혹은 혹까이도, いっぱい : 잇빠이➡입빠이) 근데 사실 ㅅ은 [ㄷ]이 아니라 사이시옷의 ㅅ같은 느낌으로 관용적으로 쓰이던 것을 국립국어원에서 정형화한 것일 뿐이다.
로마자 입력방법은 ltsu 혹은 xtsu. 혹은 자음을 두번 입력한 후 모음을 입력하면 된다.
2.3 ヶ/ヵ
ke(케)를 작게 쓴 모양이지만 ka(카) 또는 ko(코)로 발음한다.
ヶ의 경우 일본어의 조수사 箇(개)의 대용으로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三ヶ月(sankagetsu: 3개월), 2ヶの賽(nikonosai: 2개의 주사위). 또는 인명/지명 등에서 '~의'와 비슷한 용법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八ヶ岳(yatsugatake: 야츠가타케), 高天ヶ原(takamagahara: 다카마가하라)처럼 사용된다.
ヵ의 경우는 조수사의 대용으로만 사용가능하다. 지명에는 사용되지 않는다.[6]
2.4 일본어에 없는 음가 표기
작은 가나는 표준 일본어에 없는 음가가 있는 사투리나 외래어 등을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2.4.1 ti(di), tu(du)
일본어의 ti, tu 음가는 발음의 변화로 인해 chi, tsu와 같은 발음이 되었다. 그래서 정확한 ti(di), tu(du) 음가를 표기하기 위해ィ와 ゥ를 사용해서 ティ(ディ), トゥ(ドゥ)라는 표기를 이용하기도 한다. 자세한 설명은 テ, ト 항목 참조
2.4.2 외래어 전용 행
영어의 f 또는 독일어의 z같은 발음을 나타내기 위해 ア행의 글자를 축소한 ァ,ィ,ゥ,ェ,ォ를 이용해 외래어 전용 행을 만들기도 한다. 다음은 가타카나 외래어 전용 행이다.
가타카나 외래어 전용 행 | |||||||||||||||||||||||||||||||||||||||||||||||||||||||||||||||||||||||||||||||||||||||||||||||||||
\ | あ단 | い단 | う단 | え단 | お단 | ||||||||||||||||||||||||||||||||||||||||||||||||||||||||||||||||||||||||||||||||||||||||||||||
ヴァ행 | ヴァva | ヴィvi | ヴvu | ヴェve | ヴォvo | ||||||||||||||||||||||||||||||||||||||||||||||||||||||||||||||||||||||||||||||||||||||||||||||
ツァ행 | ツァtsa | ツィtsi | ツtsu | ツェtse | ツォtso | ||||||||||||||||||||||||||||||||||||||||||||||||||||||||||||||||||||||||||||||||||||||||||||||
ファ행 | ファfa | フィfi | フfu | フェfe | フォfo | ||||||||||||||||||||||||||||||||||||||||||||||||||||||||||||||||||||||||||||||||||||||||||||||
ヤ행 | (ヤya) | (ユyu) | イェye | (ヨyo) | |||||||||||||||||||||||||||||||||||||||||||||||||||||||||||||||||||||||||||||||||||||||||||||||
ワ행 | (ワwa) | ウィwi | ウェwe | ウォwo |
2.4.3 w 반모음 표기
외래어와 일본어의 일부 방언에 있는 반모음 w를 표기하기 위해 쓰이기도 한다. ウ단의 글자 + ア행의 작은 가나의 형태로 사용된다. 주로 か행에 많이 쓰인다. 일본어 방언의 kwa 발음을 나타낼 때는 クァ 대신 ワ를 축소한 ヮ를 사용해 クヮ(くゎ)처럼 쓸 때도 있다.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에서도 자음+ㅘ에 ヮ를 사용한다.
2.4.4 구개음화를 피하기 위해
구개음화된 シ、ジ보다 정확한 si, zi 음가를 나타내고 싶을 때 スィ、ズィ같은 표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자세한 설명은 ス 항목 참조
2.5 장음 표기
비공식적인 표기법이지만, あ단 + ぁ, い단 + ぃ, う단 + ぅ, え단 + ぇ,お단 + ぉ처럼 장음을 표기하기도 한다. 인터넷에서 자주 쓰이는 용법이다. 예를들어 소리를 지르는 표현을 사용할때에는 あぁぁ와 같이 쓴다할지 가끔 외래어 표기시 장음 대신에 이 표현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보이기도 한다.- ↑ 후리가나에서는 아직도 저렇게 쓴다. 이미 작게 쓴 글자를 더 작게 쓰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 ↑ 한국어의 겹모음(ㄲ, ㄸ, ㅃ, ㅆ, ㅉ)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 ↑ 근데 ぱ행은 원래 は행과 구분이 되지 않았고 촉음 뒤에 고유어에서 は행이 오면 발음이 /p/로 바뀌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촉음 뒤의 は행은 ぱ행으로 발음하는 게 맞다. 원래부터 は행은 /p/로 발음이 나다가 음운변화를 거쳐 최종적으로 /h/로 바뀌었지만 촉음 뒤에서는 그러하지 않았기 때문
- ↑ '앗'과 '사리', '맛'과 '하'를 따로 발음하는게 아니라 '아'와 '사' 사이에 '스~', '마'와 '하' 사이에 '하아~' 하는 바람 빠지는 무성음이 나면서 이어진다.
- ↑ 촉음도 요음과 같은 이유로 후리가나에서는 이렇게 쓴다.
- ↑ 시치리가하마역의 소재지인 시치리가하마(七里ガ浜)에서는 예외적으로 사용된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