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zongkha | |
종카어 | |
언어 기본 정보 | |
주요사용국 | 부탄 |
원어민 | 171,080 |
어족 | 중국티베트어족 티베트버마어파 Himalayish Tibeto-Kanauri Tibetic Tibetan Southern 종카어 |
문자 | 티베트 문자 |
공식적 정보 | |
표준어 사용국 | 부탄 |
공식 연구 기관 | 종카어 개발위원회(རྫོང་ ཁ་ གོང་ འཕེལ་ ལྷན་ ཚོགས) |
언어 코드 | |
ISO-639 | DZ |
부탄 내 주요 사용 지역 | |
밝은 노란 부분은 위에서부터 가사 현, 푸나카 현, 팀부 현 왕두에포드랑 현, 파로 현, 하 현 추카 현이다. 부탄에서는 전국민의 25%가 종카어를 사용한다. |
1 개요
종카어(Dzongkha)어는 중국티베트어족 티베트버마어파의 언어로, 티베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문자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한다. 종카어라는 이름은 성(城, dzong)에서 쓰이는 말(kha)이라는 뜻이다.
2 사용
역사적으로 부탄에서는 고전 티베트어[1]를 공용어처럼 사용해 왔으나, 1971년 종카어를 공용어로 지정하게 되었다. 다만 부탄에서는 종카어를 공용어로 지정하긴 했지만, 실제로 종카어를 사용하는 부탄 국민은 전체의 25%가 채 안된다. 이는 부탄의 언어 사정이 매우 난잡하여(...) 사용하는 사람이 적은 것이다. 부탄에서는 무려 50여개의 언어를 사용하며, 각기의 지역마다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 이때문에 종카어는 공용어라도 다른 언어들 때문에 사용지역과 인구가 적은 것.
현재 부탄에서는 왕두에포드랑 현, 푸나카 현, 팀부 현, 가사 현, 파로 현, 하 현, 다가나 현, 추카 현의 8개 종카그에서 종카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부탄과 맞닿아 있는 인도의 마을에서도 사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지금의 웨스트 뱅골 지역에서 소수가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3 문자
티베트 문자를 사용해 표기한다.
종카어의 경우 공식 로마자 표기법이 존재하긴 하는데 표기보다는 발음에 중점을 뒀는데, 티베트어처럼 이쪽도 표기와 발음 간 괴리가 있다. 실질적으로 쓰이는 예는 많지 않은 듯 하다. 부탄 내 지명만 살펴 봐도, Wangdue Phodrang, Samdrup Jongkhar 같은 지명은 공식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Wangdi Phodr°a, Samdru Jongkha라고 적게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앞의 표기가 훨씬 많이 쓰인다.
4 기타
부탄 정부에서 펴낸 종카어 회화- ↑ 부탄에서는 최께(ཆོས་སྐད, Chökê)라고 불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