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버마어파

藏緬語族
Tibeto-Burman Languages

1 개요

중국티베트어족을 구성하는 2개 어파 중 하나로 티베트어, 미얀마어 및 기타 400여개 소수 민족들의 언어로 이루어진 어파이다. 화자의 수가 가장 많은 언어는 미얀마어(3200만), 티베트어(600~800만)와 카렌어(300만) 정도이며 나머지는 화자 수가 수만에서 수십만 밖에 되지 않는다.

2 역사

18세기에 들어서면서 비교언어학이 발달하자 몇몇 학자들은 티베트와 미얀마 및 그 주변지역의 언어가 동원관계인 단어가 많고, 음운 대응이 일치한다는 사실을 밝혀 냈다. 특히 티베트어와 미얀마어는 오래 전부터 문자 기록이 남아 있어 고어의 형태를 밝혀 내기가 상대적으로 수월한 점도 있었다.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하는 언어의 최초 기록은 후한서(後漢書)에 적혀 있는 백랑족(白狼族)의 노래인데, 한자로 음차한 표기와 한문 번역이 같이 적혀 있다. 재구된 당시 중국어 발음을 통해 분석한 결과, 이 언어는 롤로버마어군에 속한 언어들의 조상격 언어와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1]

3 특징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하는 언어의 어순은 대개 주어-목적어-동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립어로서 문장 구조가 단순한 편에 속한다. 하지만 티베트어와 미얀마어에는 조사 개념이 있어 교착어적인 요소도 적지 않아 한국인이 배우기 쉬운 언어들이 꽤 많다. 단지 성조나 사용하는 문자들이 생소할 뿐. 이들 언어의 분포가 중국과 인도 사이에 있기 때문에 중국어인도유럽어족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일례로 카렌어는 주변의 태국어의 영향으로 어순이 주어+동사+목적어를 띄며,[2] 티베트어에는 관계대명사 혹은 관사가 존재하는데, 이는 산스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4 분류

언어학자들의 분류 중에서 가장 유명한 분류는 1978년에 제임스 매티소프가 제시한 분류법이다.

4.1 아삼어군[3]

4.2 히말라야어군

4.3 창어군

4.4 롤로버마어군

4.5 카친어군[4]

4.6 카렌어군

4.7 논란이 있는 어군

5 논란

티베트버마어파는 다른 어파에 비해 논란이 많은데 이는 몇 가지 이유가 존재한다.

5.1 티베트어와 미얀마어는 같은 어파로 볼 수 있는가?

티베트버마어파라는 용어는 폴 베네딕트와 매티소프(James Matisoff)가 만든 것으로 매티소프는 라후어를 연구하면서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한 언어들의 조상인 원시 티베트버마어를 재구해 냈다.[7] 문제는 고대 중국어와 티베트어는 어휘 면에서 매우 비슷한데 미얀마어나 다른 어군의 언어들은 티베트어와 유사성이 떨어지며, 매티소프가 제시한 방법이 타당한 지를 놓고 게오르그 반 드리엠과 같은 학자들은 "중국티베트어족 가설은 티베트어와 미얀마어가 하나이며 중국어가 갈라져 나갔다는 가설을 내포하고 있다. 이는 등어선(等語線)이나 음운, 형태를 통해 충분히 증명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하지만 티베트버어파의 언어가 중국어와는 다르다는 사실은 증명되지 못했다. 따라서 베네딕트가 주장한 중국티베트어족의 티베트버마어파를 입증할 어떠한 증거는 존재하지 않는다." 결국 그는 중국티베트어족은 '티베트버마어족' 으로 수정되어야 하며 중국어와 티베트어를 같은 어파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아직까지도 전통적인 분류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5.2 바이어는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하는가, 중국어파에 속하는가?

바이어는 매티소프의 분류법에 따르면 이 어파에 속했으나 최근의 연구 결과는 중국어파의 일부로 간주하고 있다. 더 자세한 사항을 아시는 분은 추가바람
  1. [1]
  2. 티베트버마어파에서 주동목 어순을 쓰는 건 카렌어군이 거의 유일하고, 중국티베트어족 전체로 확대해도 카렌어군, 바이어, 중국어파의 언어들만이 주동목 어순을 띄고 있다.
  3. 영어로는 Kamarupan인데 여기에선 네이버 백과사전의 표기를 사용하였다.
  4. 영문 위키에는 Jingpo-Nungish-Luish로 표기되어 있지만 마찬가지로 네이버 백과사전에 나온 용어를 사용.
  5. 매티소프는 카친어와 눙어가 서로 관련이 깊다고 주장했으나 다른 학자들은 이를 뒷받침할 만한 증거를 아직 찾지 못했다.
  6. 과거에는 티베트버마어파로 분류했지만 현재는 오히려 중국어파도 티베트버마어파도 아닌 제3의 어파로 간주하거나 중국어파로 분류하는 경향이 더 우세하다.
  7. Handbook of Proto-Tibeto Burman: System and Philosophy of Sino-Tibetan Reconstruction 참조, http://escholarship.org/uc/item/19d79619 에서 pdf파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