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티베트어족

漢藏語族
Sino-Tibetan Language

1 개요

한장어족이라고도 한다. 한족의 언어와 티베트인(장족)[1]의 언어를 묶은 어족이라고 풀이할 수 있다. 전 세계에서 인도유럽어족 다음으로 가장 어족. 1823년 독일의 동양학자 율리우스 클라프로트(Julius Klaproth)가 주장한 이래로 연구가 계속되어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2 분류

중국어파와 티베트버마어파의 2가지, 또는 바이어파를 별개의 어파로 간주하여 3가지로 나뉘며,[2] 이 어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크게 세 개의 시나리오가 있다.

  • 기원을 사천성 북부로 보고 티베트인과 중국인의 분리가 일어난 후 황하에 정착한 사람들이 농경을 시작했을 것이라고 본다. 즉 동쪽으로 이동해 농경 생활을 시작한 부족은 중국어로, 서쪽으로 이동해 유목 생활을 시작한 민족은 티베트-버마계 언어로 갈라졌고 거기서 티베트에 남은 민족과 미얀마, 운남성, 동남아시아 등으로 남하한 민족들이 또 분화되어 티베트어버마어, 그밖에 티베트-버마어파의 언어들로 갈라진 것.[3] 따라서 중국어가 신석기 시기부터 중국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본다.
  • 기원을 사천성 북부로 보는 것은 동일하지만 확장 시기를 동아시아에서 농경이 시작된 시기 이후로 본다. 따라서 원 농경 정착민을 몰아내거나 흡수하는 일이 수반된다. 원 농경 정착민의 언어는 멸종된 중국티베트어족의 일파일 수도 있고, 아예 다른 어족 집단일 수도 있다. 중국에 들어오게 된 시기에 대해서 세부적으로 학설이 나뉘는데 이르게는 용산(Longshan) 후기 신석기 문화 단계에서 청동기 이리두(Erlitou) 단계, 또는 상나라, 혹은 주나라 시기에 황하에 정착하면서 원시 중국어를 도입한 것으로 생각한다.
  • 기원을 황하 유역으로 보고 농경민들이 점차 확장해 나가면서 언어가 분화한 것으로 본다. 첫 번째와 다른 점은 첫번째에서는 분화가 일어난 뒤 중국어 사용자들이 농경을 시작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고, 이 시나리오에서는 모든 중국티베트어족 사용자가 황하 농경민의 후예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신석기 말기에 광범위한 취락지 소멸 현상이 나타나는 관계로 두 번째 시나리오가 주로 이야기되는 모양.[4]

원래 태국어도 중국티베트어족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 들어 연구가 진척되면서 타이카다이어족이라는 별개의 어족으로 갈라졌다. 물론 태국어가 중국어와 기본 어순이 주어+서술어+목적어로 같고[5] 성조가 존재하는 점은 비슷하지만 그 외에 특별한 공통점이 없기 때문. 단 언어학자들 중에선 아직 태국어를 중국어와 같은 어족으로 묶는 사람도 있고, 심지어 여기에 오스트로네시아어족도 포함한 대어족을 만들려는 시도도 있다.[6] 그런데 이 가설의 경우 사실 그다지 존중을 받지 못하는 게, 고고학적 근거는 많이 발견되고 있으나 정작 어족을 묶는 데에 있어 가장 중요한 기준인 어휘 관련으로는 유사성이 희박하다는 비판이 많다.

한국어일본어, 베트남어는 중국어와 어휘를 상당 부분 공유하고 있고, 특히 베트남어에는 성조가 존재하기 때문에 베트남어와 중국어가 같은 어족일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베트남은 오히려 크메르어와 같은 계열이며 학계에서는 이들은 단지 언어동조대로 보고 있다. 또한 과거에 일본어가 한장어족이라는 설이 있었지만 현재는 일본어족이라는 별도의 어족으로 분류한다.

3 특징

1. 대부분 고립어
2. 성조의 존재[7][8]
3. 어휘의 대부분이 단음절

등이 있으나 중국어와 바이어, 카렌어의 어순이 주어+동사+목적어(SVO ; Subject+Verb+Object)이며 전치사를 사용하는 데 반해 티베트어를 비롯한 티베트-버마어파의 언어들은 어순이 주어+목적어+동사(SOV)이고 우리말처럼 조사를 사용한다.[9] 단 형용사의 위치는 중국어는 우리말과 마찬가지로 명사 앞에 두지만 티베트어에서는 명사 뒤에 둘 수도 있고 앞에도 둘 수 있는데, 명사 앞에 둘 경우에는 형용사를 명사화시킨 뒤에 속격 조사(ki, kyi, gyi, 'i)를 두어야 한다.

크리스토퍼 벡위스(Christopher Beckwith)로이 앤드루 밀러(Roy Andrew Miller) 같은 일부 저명한 언어학자들은 중국어와 티베트어가 음운이나 문법적인 면에서 공통점이 별로 없고, 단어의 유사성은 단지 차용 관계에 의한 것일 뿐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웰던 사우스 콜빈(W. South Coblin), 그레이엄 서굿(Graham Thurgood), 제임스 매티소프(James Matisoff), 공황청(龔煌城)과 같은 학자들은 음운과 문법의 유사성이 발견되었다며 반박하고 있고, 주류 학계 또한 이들의 손을 들어주고 있는 실정이다. 중국어와 티베트어, 미얀마어가 같은 어족을 이룬다는 것이 정설이긴 하나 이들 언어를 각각 어떤 어파로 묶어야 하는 가를 놓고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고대 중국어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헤오르허 판 드림(George van Driem)등은 중국어를 단일 어파로 묶지 말고 티베트어와 같은 어파로 분류해야 하며 오히려 미얀마어를 별도의 어파로 나눠 티베트-버마 어족이라 부르는 것을 주장하기도 한다.

사실 중국티베트어족이 인도유럽어족에 비해 논란이 많은 이유는 문자 기록의 시기가 인도유럽어족의 다른 언어에 비해 늦은데다가 문자로 적힌 언어의 수가 적기 때문이다.[10] 실제로 한자를 제외하면 티베트 문자는 7세기에, 미얀마 문자는 11세기에, 서하 문자는 12세기에 만들어졌으며,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한 언어들 중에 문자가 없는 언어들이 상당히 많다. 게다가 뜻글자인 한자의 특성상 발음의 변화를 반영하기 어려워 원시한장어 재구에 반드시 필요한 고대 중국어의 추정음을 알아내기 어렵고, 그나마 복원된 발음 또한 시경(詩經)이나 주변국(한국, 일본)의 한자음이나 중국어의 여러 방언, 다른 한장어계 언어(티베트어, 미얀마어 등)을 통해 재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그 정확성에 대해 어느 정도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밖에 없다.

STEDT라는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만든 온라인 원시한장어 사전이 있다. (proto)gloss라고 적힌 곳에 영어 단어를 입력하면 의미가 같은 한장어족 단어의 공통 어원 및 각 지역(중국어, 티베트어, 미얀마어 등등)에 사용되는 단어들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으니 언어학, 특히 중국티베트어족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한번 가서 얼마나 비슷한지 비교해보자.

  1. 장족(藏族) 또는 짱족이라는 말은 중화인민공화국에서 티베트족을 가리키는 말이다.
  2. 바이어는 중국어의 영향과 티베트-버마어파의 언어들의 영향을 다 받은 언어라 어느 쪽에 속하는지가 불분명하다. 이 언어를 제 3의 어파로 따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중국티베트어족은 세 개의 어파로 나뉜다. 하지만 주류 언어학계에서는 대체로 중국어파로 간주하고 있다.
  3. 물론 티베트버마어파의 민족들 중에도 유목생활이 아닌 농경생활을 하는 민족들도 얼마든지 있다. 당장 미얀마의 다수민족의 생활방식을 봐도 유목생활이 아닌 농경생활을 한다.
  4. George van DRIEM 著, "The Diversity of the Tibeto-Burman Language Family and the Linguistic Ancestry of Chinese" 참조
  5. SVO, Subject+Verb+Object ; 주어+동사+목적어
  6. Sagart, Laurent. "Proto-Austronesian and the Old Chinese Evidence for Sino-Austronesian," <Oceanic Linguistics>.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4
  7. 원래 티베트어에는 성조가 없었다. 최근 티베트어에 성조가 생긴 것은 중국통치하의 영향이다. 라싸에서 쓰이는 표준티베트어는 성조가 존재하는데, 티베트어의 여러 방언들 중에는 성조가 있는 방언도 있고 없는 방언도 있다.
  8. 상고한어 시절의 중국어에서도 성조는 없었다. 성조가 중국티베트어족 전체의 특징이라기 보다는 중국어파를 포함한 몇몇 산하 어군들의 특징이라고 보는 게 더 맞는 말이다.
  9. 한국어와 비슷하다고 설레발친 라후어도 이쪽이고, 부탄종카어도 티베트-미얀마어파에 속하며, 그 어파 안에서도 티베트어와 가까운 편에 속한다. 카렌어는 티베트-버마어파에 속하지만 오히려 중국어와 같은 주동목 어순을 사용한다.
  10. 중국에서는 아직도 입말과 서면어가 반드시 같아야 한다는 인식이 없고, 학문적인 언어로 쓰였던 한문을 대신에 오늘날 입말을 그대로 옮겨적는 백화白话 또한 북경어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외의 방언들은 문자로 적힌 바가 거의 없는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