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확인 환호응답

350px
확인해야 할 사항을 눈으로만 훑는 것이 아니라, 직접 하나하나 손가락으로 굳이 가리키고 이상 여부를 말하면서 확인하는 행위. 안 하면 큰일나는 삿대질.

1 개요

공사현장, 산업생산현장 등에서 사용한다. 선생 등 사람을 인솔하는 일을 하는 사람들 중에서는 사람들이 제대로 모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손가락으로 가리켜 가면서 세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는데, 이 경우를 규정으로 제도화시킨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요령은 상태를 확인할 물체를 손가락으로 지적 한 다음 물체의 상태를 목소리로 환호(喚呼)[1]하면 된다. 상황에 따라서는 지적하지 않고 물체의 상태를 눈으로 확인하고 목소리로 환호만 하는 확인 환호도 사용된다.

이 행위의 의의는 작업의 실수를 줄이고 인지적 집중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실제 사람이 눈으로만 확인할 때 나타난 2.68%의 실수 확률이 지적확인을 하면 최대 0.38%까지 줄어들었다.[2]

이걸 가장 먼저 시작한 일본에서는 '유비사시 카쿠닌指差し確認'이라고 한다. 지적확인 자체는 100여년 전 일본에서 처음 등장했지만,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한건 NASA아폴로 계획때로, 이때 상당한 효과가 있어 철도에서는 일본국유철도가 처음 제도화했고, 우리나라의 경우 일제 강점기때부터 존재했던 이 개념을 1970년 시범 도입을 거쳐 1976년 본격적으로 제도화했다.

2 용례

2.1 운송

철도나 항공운송[3] 등에서는 특히 이것을 중요하게 취급하는데, 둘 다 공통적으로 운전사가 실수하면 대형참사로 이어지는 위험이 상존하기 때문에 중요하게 취급한다. 일본에서 메이지 시대에 고안되어 철도 현장에서부터 사용하기 시작했고 일본의 영향을 크게 받은 대한민국이나[4]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등 아시아권의 철도 현장에서는 표준적으로 사용하고 서양에서도 상당 부분 차용하고 있다.

2.2 건설 및 산업

공사장이나 제철소에서는 근무 투입 전에 TBM(Tool Box Manual)을 실시하는데, 이 때 작업자들이 한데 모여서 왼손끼리 서로 잡은 뒤 선임자가 먼저 "지적확인 좋아!"를 외치면 나머지 사람들이 오른손 검지손가락으로 가운데를 가리키며 "좋아, 좋아, 좋아!"를 외치게 된다. 특히 중장비 사용이 많은 곳에서는 인명 및 설비 사고가 잦기 때문에 항상 작업자들은 지적확인을 한다.
게다가 무거운 자재를 운반하기 위해 크레인을 높이 설치하다 보니 수신호자의 신호를 반드시 따라야 하며 이 때에도 지적확인은 필수이다. 공사장에서의 타워크레인이나 제철소에서의 천장크레인에서 운전하는 조종자는 아래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이 제대로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5] 특히 제철소에서는 열연 코일 및 냉연 코일, 혹은 후판(선박용 철판) 운반시에 크레인 이동에 의한 후리[6] 및 충분한 높이로 들지 않아 사고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크레인 운전자는 설비 상태 및 작업장 상태를 항상 지적확인해야 한다.

3 매체에서

  1. 네이버 국어 사전에서는 "소리를 높여 부름"으로 설명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동음이의어인 환호(歡呼)와는 다르다.
  2. 1994년 일본 철도종합기술연구소의 실험결과.출처
  3. 특히 항공운송 쪽에선 상황별로 나뉘어있는 체크리스트를 보면서 지적확인을 한다.
  4. 코레일 역에는 '지적확인 안전수칙 환호응답 생명수칙'이라고 적힌 현수막이 걸린 경우가 종종 있다.
  5. 보통 지상에서 10m 이상에 있을 경우 원근에 의한 착시 현상으로 위험물임에도 장난감으로 보이기 쉬워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6. 振り:흔들림. 좌우 혹은 앞뒤로 일어나는 흔들림으로 물리 시간에 배운 단진자 운동을 생각하면 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