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동

대구광역시 달서구법정동
성당동두류동파호동호림동갈산동신당동
이곡동장동장기동용산동죽전동감삼동
본리동상인동도원동진천동유천동대천동
월성동월암동송현동대곡동본동호산동
※ 법정동 코드 순 정렬 (27290 00000 ~ 27290 12500)

1 개요

진천동(辰泉洞)은 대구광역시달서구 남서단에 위치한 동이다. 면적 5.95㎢, 인구 5반 1202명(2008)이다. 서쪽으로 달성군 화원읍과 경계를 이룬다. 월성·상인·동원동과 이웃한다. 삼필봉(三筆峰, 465m)~청룡산(靑龍山, 794m)~앞산(659m) 능선에서 발원하는 진천천(辰泉川)에 의해 넓은 충적 선상지가 발달한다. 선사시대부터 인류의 거주 공간으로 중요하였다. 『대구읍지』에 의하면 원래 대구부 월배(月背)면 용천(龍泉)리 일대였다. 1914년 달성군 월배면에 소속되었다가 1957년 대구시에 편입되었다. 1988년 달서구 신설로 남구 진천동, 대곡동, 유천동이 달서구로 소속되었다.

1996년 도원동 일부를 대곡동에, 대곡동 일부를 도원동에 편입시키면서 월배3동을 진천동으로 개칭하였다. 법정동인 대곡동과 유천동을 포함시켰다. 과거 용천(龍泉)리에 '미리샘'이 있었다고 한다. '미리(미르)'는 용을 뜻하므로 미리샘은 '용천'이고 용천은 '진천(辰泉)'을 의미한다. 대곡(大谷)동은 원래 대구부 인흥(仁興)면 대곡(大谷)리 일대였다. '한실'에서 유래되었는데, 한실은 진천천 지류를 따라 형성된 '큰 마을'을 의미한다. 유천(流川)동은 마을 앞으로 물이 흘러가는 것에서 유래하였다. 마을 앞의 흐르는 물은 진천천 수계에 해당한다. 즉 진천동의 지명은 진천천에서 유래되었다.

법정동인 진천동은 행정동이 진천동이다.

2 하위 행정동 진천동

2.1 진천동

행정동인 진천동은 법정동인 진천동·대곡동·유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구도시철도 1호선의 정차역인 진천역이 있다. 진천동사무소는 진천로 9길에 위치하고 있다. 병원으로는 미즈맘병원, 보강병원이 있다. 노인 요양시설로 대구노인요양원, 대구성로원, 성산노인요양원 등이 있다. 문화재로는 대구 진천동 입석(大邱辰泉洞立石:사적 411)이 있다. 입석을 중심으로 주변에 장방형 석축이 있으며, 주변 판석돌 사이에서 무문토기·적색마연토기·유두상 돌기부토기 등의 토기류와 숫돌·돌파편 등의 석기류가 출토되었다. 이로써 이곳 일대가 청동기시대유적임이 확인되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달서구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