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표(스님)

眞表
(? ~ ?)

통일신라 시대의 승려. 자세한 기록은 부족하나 주로 경덕왕 대에 활동했다. 보통 진표율사(眞表律師)로 불린다.

삼국유사 진표전간에 의하면 완산주(지금의 전주시) 출신으로 속성은 정(井) 씨라 한다. 12세 때 출가하여 변산의 부사의방장[1]에서 망신참법[2]으로 수행한 끝에 미륵불로부터 점찰경 2권, 증과간자 189개를 받고 득도했다고 전해진다.

이후 금산사를 중창하고 신라 5교 9산의 하나인 법상종[3]의 시조가 되었다.

제자로 영심(永深) · 보종(普宗) · 신방(信芳) · 체진(體珍) · 진해(珍海) · 진선(眞善) · 석충(釋忠) 등이 있는데, 모두 산문(山門)의 조사가 되었다고 한다.

미륵 신앙을 중시한 승려로 종파에 따라서는 한반도 미륵신앙의 시조로 보기도 한다.
  1. 변산에 진표가 수행한 부사의방장이라고 전해지는 곳이 있는데, 한사람 겨우 누울 수 있을 만한 절벽에 붙은 바위덩이다.
  2. 팔다리를 돌로 찍어가면서 수행하는 방법이라 한다. -ㄷㄷㄷ-
  3. 진표와 법상종은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고 보는 의견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