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천현현결

1 개요

풍종호 무협소설 『지존록(至尊錄)』의 묵연동(默然洞)에서 유가의 무학 중 서열 일 위이다.

유가(儒家)의 무도는 육예(六藝)의 완성을 통해 인의예지를 관철하려는 특성이 있다. 그래서 대학(大學)에 일컫는 대로,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의 단계를 밟기 위해 심법을 먼저 익혀서 바탕을 닦고 이어서 신법을 연마하고, 그 뒤에 비로소 실용적인 기예를 배우게 되는 체계를 따르게 된다. 묵연동의 유가 무학들도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지나, 특히나 심한 것이 서열 이 위인 무망록(无妄錄)으로, 연성하다 한 번 샛길로 빠지면 두 번 다시 연성할 수가 없게 된다. 창천유사(蒼天儒士)는 이러한 무망록의 엄격함에 질려 스스로 무망록의 연공을 그만두고 그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하여 만들어낸 신공이 창천현현결(蒼天玄玄訣)이다.

그런 만큼 창천현현결은 무망록과 반대되는 성향을 가지고 있는데, 구결에 집중하면 할수록 오히려 심법이 샛길로 빠지게 된다. 즉, 한 가지 큰일에 집중하여 덤으로 해두는 작은 일감처럼, 창천현현결은 그 구결에 집중하면 할수록 그 사람이 본래 집중하고 있는 '무엇'인가를 불러내는 것이다. 그래서 풍현이 창천현현결을 익힐 때 계속 무애심법이 튀어나오는 것이었다. 이에 여의천환영(如意天幻影)이 전해준 사자불전(獅子佛傳)[1]을 통해 풍현은 창천현현결의 이러한 성질을 파악하고, 무애심결을 중심으로 여러 일을 한번에 벌여 놓고 슬쩍슬쩍 엿보듯이 창천현현결을 운용한다. 이로 인하여 창천현현결이 완전히 호응하여 창천현공(蒼天玄功)이 자연스레 연성되었고, 최종식인 현현심인(玄玄心印)까지 빠르게 터득하게 된다.

2 무천기(武天記)

창천현현결의 부록인 무천기(武天記)는 신공의 완성을 향해 가는 와중에 얻은 절기를 담아놓고 있다.[2]

  • 흑월도(黑月刀), 묵운창(墨雲槍), 비연검(飛燕劍)[3]
  • 부운보(浮雲步)[4]
  1. 천축의 문파로 묵연동의 불가 서열 제이위 무공이다.
  2. 반면에 무망록은 신공의 완성을 실패한 자들을 위한 광망첩(狂妄牒)이라는 부록이 기술되어 있다.
  3. 이 세 가지는 적수신병(赤手神兵)의 묘결로, 진짜 병기를 손에 쥐어도 상관없고, 맨손으로 펼쳐도 상관없는 절기이다.
  4. 개방(丐幇) 취걸개(醉乞丐)가 익힌 삼대신법 중 창천부운신법(蒼天浮雲身法)의 원형이다. 무천기의 절예는 충분한 상승공력이 뒷바침되면 펼칠수가 있는데, 다만 창천현현결로 받쳐주면 이 할에서 삼 할 정도 더 나을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