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적

1 개요

일반 사람의 상상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엄청난 수를 표현할 때 흔히 쓰이는 표현, 우주에 있는 수많은 은하나 별의 개수 수준으로[1] 큰 숫자라고 표현하기 위해 쓰인다.

2 대체 표현

'천문학적'이라는 표현에 대해 리처드 파인만은 이런 말을 남겼다.

은하수에는 10의 11제곱이나 되는 많은 별이 있다고 합니다. 거대한 숫자입니다. 그러나 그 수는 천억 정도에 불과하죠. 미국의 재정적자보다 작은 숫자입니다! 우리는 그걸 천문학적인 숫자라고 불러왔습니다. 차라리 경제학적 숫자(financial number)[2]라고 고쳐 불러야 하지 않을까요?

해설하자면 2010년 7월 말 미국의 재정적자는 약 13조 달러, 한화로 약 1.6경원에 달한다. 그러니까 미국 국민 1인당 빚이 4만 3천 달러에, 매일 불어나는 이자만 41억달러.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우리 은하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전 우주적인 별의 개수는 여기에 약 1천억 개의 은하를 곱하여 대략 100해(1022)개 정도로 예상되고 있으며, 그나마도 이는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우주를 기준으로 예측한 것이기 때문에 이 말이 100% 맞다고 할 수는 없다.

서울대학교 화학부의 모 전 교수님은 화학 교양 수업시간에 아보가드로 수(6.02x1023)의 예를 들어서 천문학적도 아니고 경제학적도 아니고 화학적이라고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무참히 묻혔다

짐바브웨의 경우 전 우주의 별의 개수를 아득히 뛰어넘어 화엄경에나 쓰일법한 단위에 도달하는, 가히 불교인플레이션을 보였다. 짐바브웨 달러 항목 참고. 굳이 '불교적'이라 하는 이유는, 수를 나타내는 불교 용어, 그 중에서도 화엄경에 나오는 용어 중에 빈바타(1056), , 불가설불가설전 등 무지막지하게 큰 수를 나타내는 용어가 있기 때문. 이 정도까지 도달한 경제학적 사례는 짐바브웨 달러 빼곤 전무하다 보니, 이런 수를 빌려서 '불교적'이라 말하는 것이다.

천문학적 < 경제학적 < 화학적 < 짐바브웨적 < 불교적

3 관련 항목

  1. 우주에 있는 모든 입자의 개수를 가리키기도 한다.
  2. 정확히는 재정학적인 숫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