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설불가설전

유비트 시리즈의 수록곡에 대해서는 不可説不可説転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불가설불가설전(不可說不可說轉)

큰 수의 단위
불가설불가설(不可說不可說)1018609191940988822220653298843924824064의 제곱
불가설불가설전(不可說不可說轉)

1 개요

큰 수의 하나. 현대 등장한 서양의 큰 수들을 제외한 옛 동양의 구체적인 특정 자연수 가운데 최대급 끝판왕 포지션을 자랑한다. 현대 한국어의 수 체계는 중국의 한수사 체계(漢數詞)를 받아들인 것이나 중국에서도 극(極)이상의 항하사, 아승기, 나유타, 무량대수들은 인도에서 기원한 것이다. 불가설불가설전 또한 인도에서 유래된 것. 역시 0을 발명한 나라의 기상답다. 출전은 화엄경.
큰수의 끝자락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2 크기

1037218383881977645219396597687849648128이다. 지수만 해도 37간 2183구 8388양 1977자 6452해 1939경 6597조 6878억 4964만 8128이다! 지수를 짧게 줄이면 [math]10^{7\times2^{122}}[/math]으로도 표현가능하다.

이 수의 이름은 3단계 전인 不可說(수가 얼마나 큰지말할 수 없다)에서 유래한다. 불가설->불가설전(전의 제곱의 뜻)->불가설불가설->불가설불가설전. 나중 수는 직전 수의 2제곱한 것과 같다. 다른 수와 비교하면 유명한 구골보다는 크고, 구골플렉스보다는 작다. 오늘날에는 큰 수 표기에 지수를 쓰는 경우가 보편화되어 지수가 깔끔하게 나열된 구골이나 구골플렉스와 비교하면 어딘지 어중간한 느낌도 든다.

불가설불가설전의 출전인 화엄경에는 모두 122개의 숫자가 등장하는데, 나무 위키에는 6번째 수인 긍갈라와 함께 두 번째로 작성된 수이다. 화엄경의 수는 모두 실용적인 목적보다는 부처의 깨달음의 깊이를 나타내는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수이기 때문에 여기에 쓰인 수를 실제로 쓸 일은 없을줄 알았으나 긍갈라는 짐바브웨 인플레율을 나타내는데 써먹고 말았지. 무가베는 불교신자어 보인다. 그래도 불가설불가설전은 나름 끝판왕이니 써먹는 사람이 생겨날지도?

3 그 밖에...

  • 화엄경의 수 중에서 무량대수보다 작은 단위가 다섯 있으며 낙차(10만) 구지(1000만) 아유다(100조) 나유타(1구) 반바라(1아승기), 아승기와 나유타는 겹친다. 나유타는 한숫자 쪽이 크고, 아승기는 화엄경쪽이 크다.
  • 일본 히로시마에는 주식회사(...) 불가설불가설전이 있다. 식료품, 주류, 빵 등을 다루는 듯. 불가설불가설전개의 빵을 만들어 팔겠다는 의지를 나타낸다 못 만든다
  • 한국에 이 수가 알려지게 된 것은 일본 웹을 통해서인 듯. 화엄경의 수체계를 오래 전부터 언급해 왔던 일본 웹사이트에 따르면 2003년 무렵의 검색결과에는 이 수의 이름으로 검색해도 검색결과는 거의 없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