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천강

주의. 이곳은 여행금지 국가·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대한민국 여권법에 의한 여행금지 또는 기타 법률에 의해 출입이 금지된 지역입니다.
해외 여행 시 반드시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에서 해당 국가 또는 지역에 대해 정보를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淸川江

0133E80953920885FF80808133E68B83.jpg
0133E80D047E0941FF80808133E68B83.jpg
2011년 중국 관광객이 찍은 청천강 대교

북한에 있는 강으로, 길이 199km. 유역 면적 9,470km²이다. 옛 이름은 살수(薩水). 살수대첩의 그 살수가 맞다.

낭림산맥의 낭림산(狼林山: 2,014m)과 웅어수산(雄魚水山: 2,019m)에서 발원한다. 남서쪽의 요동(遼東) 방향을 취하여 유원진, 희천시, 영변군, 박천군, 안주시 등을 지나 황해로 흘러들어간다. 하류에서는 평안남도평안북도의 경계를 이룬다. (평안남도와 북도를 청천강을 경계로 청남/청북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청천강은 구조선이 거의 직선을 이루어, 압록강이나 대동강에서 감입곡류(嵌入曲流)[1]가 심한 것과는 좋은 대조를 보인다. 중류 유역은 침식 개석된 평지를 형성하며, 하류지역에는 많은 토사를 퇴적하여 안천, 운천 등의 비옥한 충적평야를 전개한다.

지류인 희천강, 구룡강, 대령강을 합류하여 수량이 항상 풍부하므로, 주운(舟運)[2]의 편의가 많으며, 포장수력 또한 25만 6000 kW에 달한다. 북한은 현재 고질적인 전력난 해결을 위해 청천강상에 희천수력발전소를 준공, 가동하는 한편 청천강계단식발전소를 건설중이다.

그러나 한반도의 네임드 강 치고는 하류에 이렇다 할 항구가 발달하지 않았다. 서해안이 그 지형적 특성(갯벌) 때문에 주로 강 하구에 항구가 발달된 것과는 대조적이다.[3] 현재 청천강 하류지역에서 최대의 항구는 문덕군 서호로동자구에 위치한 문덕항이지만 규모는 작은 어항+화물항 수준이다. 아무래도 근처에 대도시나 대수요처가 없고, 해상운송에 있어서 지리적 이점[4]도 그다지 크지 않으니 항구 개발의 동력이 약한 탓일 듯.

을지문덕장군의 살수대첩이 있었던 곳이다. 안주에 있는 골적도(骨積島)는 수나라 군사의 시체가 쌓여 이루어졌다는 전설이 있다.

전략적으로는 원산 혹은 함흥(함흥과 이을 경우 대동강-원산)과 이어서 한반도를 동서로 가르는 지경선으로 많이 쓴다. 6.25 전쟁 당시 북진할 때도, 38선부터 몇 개의 구획을 나눠 단계적으로 북진하였는데 그 라인 중 하나. 해리 트루먼을 비롯한 미군 수뇌부는 맥아더가 38선 돌파하는 것을 그다지 바라지 않았으며, 하더라도 이 라인을 지키고 중공과 소련에게 위협을 가하지 않길 바랐으나 맥아더는 압록-두만강 라인까지 완벽히 밀길 원했으며 가능하다면 중공군과 전면전까지 해도 상관없다는 의도를 밝혔다. UN군의 급속 북진과 공군의 잦은 월경 등은 중공군의 참전을 야기해 버렸다. 만일 통일 시점에서 이 선을 지켰다면 북한은 압도적인 국력차로 결국 흡수되었…거나, 혹은 아예 전체가 중국에 넘어가 버렸거나 했을지도.
  1. 산지나 구릉지에서 구불구불한 골짜기 안을 따라 흐르는 하천.
  2. 배로 짐따위를 나르는 일.
  3. 신의주(압록강), 남포(대동강), 군산(금강), 목포(영산강) 등. 한강의 경우는 19세기 개항기에 수도 방위를 위해 일부러 한강으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 제물포로 대체한 것에 가깝다. 그리고 그나마도 경인아라뱃길로 바다와 연결되었다
  4. 청천강 연선 정도 되면 중국 동북지역으로 갈 때는 철도가 압도적으로 우세하고, 중국 중남부지역으로 수송할 때는 그냥 남포항 등을 이용해도 무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