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고사성어
고사성어 | ||||||||
春 | 來 | 不 | 似 | 春 | ||||
봄 춘 | 올 래 | 아닐 불 | 같을 사 | 봄 춘 |
1 뜻
봄이 와도 봄 같지 않다는 말.
2 출전
동방규(東方虬), <소군원(昭君怨)>
3 유래
이 말은 왕소군을 두고[1] 지은 시 가운데 있는 글귀다.
왕소군은 전한 원제의 궁녀로 이름은 '장'이었고, 소군은 그의 자였다. 그녀는 절세의 미인이었으나 흉노와의 화친정책에 따라 흉노왕에게 시집을 가게 된 불운한 여자였다. 그러한 그녀의 불운한 정경을 노래한 글귀 가운데,
이 땅에 꽃과 풀이 없으니봄이 와도 봄 같지 않다.
胡地無花草 春來不似春
라는 말이 나온다.
살풍경한 북녘 땅을 그대로 표현한 말이었는데, 이 시가 유명해지자 다른 비슷한 경우에도 이 말을 많이 인용하게 되었다.
4 응용
예를 들어 연말이 되어도 상여금을 타지 못하는 사람은 거것을 비유해서 '춘래불사춘'이라고 한다. 또 연초에 남들은 떡이야 술이야 즐겁게 먹고 있는데 혼자 그런 기분을 느끼지 못하면 이 역시 '춘래불사춘'이다.
그러나 한때 '추래불사추(秋來不似秋)'라는 말이 농촌에서 유행하기도 했고 지구온난화 등으로 따뜻한 겨울을 가리켜 '동래불사동(冬來不似冬)'이라 말하기도 한다.
레이철 카슨의 침묵의 봄도 어떻게 보면 춘래불사춘과 의미가 통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봄이 왔지만새가 사라져 조용한 봄이니.- ↑ 왕소군이 지은 시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