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고트럭

syj611_1290131281_f.jpg

1 개요

사전적 의미로는 일반 화물차를 모두 포괄하는 뜻이지만 업계에서는 무개(無蓋)[1] 화물칸을 갖춘 트럭을 의미한다. 한마디로 지붕 없는 화물칸을 가진 트럭들은 전부 카고트럭이란 소리. 하지만 탑차도 카고트럭이라고 많이 부른다.

2 특징

나름 사전적 의미와 부합하는(?) 가장 일반적인 화물차이다. 우리가 흔히 화물차 하면 떠올리는 이미지가 바로 이것. 화물칸 윗부분이 비어있기 때문에 운송하는 화물의 부피나 모양새에 따른 제약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것이 장점이다. 반대로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고, 운행시 반드시 방수포[2]를 덮은 다음[3] 화물 결박을 확실히 해줘야 하는 등 이래저래 손이 많이 간다는 단점이 있다.[4]

이런 단점 때문인지 소형과 2.5톤 트럭 대부분은 방수포를 아예 고정적으로 덮게끔 공간을 확보하기도 한다.
또는 적재함 사이드에 프레임을 끼우는 부속을 달고 프레임을 끼운 후, 천막을 덮어서 다니기도 한다. 천막이 찢어지는 경우가 있어서 관리가 필요하다.

1톤급 카고트럭은 출고시 적재함 바닥이 울퉁불퉁한 모양인데[5] 이를 철판으로 깔끔하게 덮어버리는게 보편화되있다.[6]

3 기타

'풀카고' 또는 '풀카'로 불리는 차량들이 있는데 이러한 차량들은 비단 카고트럭을 의미하는것이 아니라 하나의 샤시로 구성된 트럭들을 뜻하는 용어다. 풀카고의 반대말은 트레일러. 여담으로 대중매체에 나오는 트럭 중 유달리 이 카고트럭으로 변형하는 로봇은 거의 없는 편이다. 아니 아예 없는듯.
  1. 화물칸에 뚜껑이 없는
  2. 속칭 '호루'라고 불리는 그것. 적어도 영,호남에선 '갑빠'라고도 많이 부른다.
  3. 큰 화물차일수록 방수포 덮는 작업 난이도가 상승한다. 이러한 이유로 평소에는 귀찮아서 방수포를 안치고 달리던 카고트럭들이 가 내리기 시작하면 차를 갓길에 정차시키고 허겁지겁 방수포를 덮는 광경을 자주 볼수 있다.
  4. 운전 외에 이런 자잘한 작업들을 '까대기 친다'라고 부른다.
  5. 군용차량들에서 자주 볼 수 있다.
  6. 적재함을 잘 보면 '○○차바닥'이라는 시공업체 스티커가 붙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