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예고편을(를) 찾아오셨나요?
휠로더를 로우베드(저상) 트레일러에 적재한 모습. 트레일러를 견인하고 있는 트랙터는 볼보 FH16.[1]오오 포스작렬
1 개요
트럭 또는 트랙터의 뒷부분에 견인되는 차 즉 부수차(附隨車)로 표현한다. 또한 한국에서는 업계용어로 츄레라[2][3]라고 하여 앞의 트랙터와 뒤의 트레일러를 합쳐서 부르는 경향이 있지만 엄밀하게는 틀린 표현이다.
방식에 따라 풀 트레일러와 세미 트레일러로 나눌 수 있는데 차이는 화물의 무게를 트레일러 혼자서 지탱하느냐, 아니면 트랙터의 후미와 나눠서 지탱하느냐의 차이다. 트랙터 자체는 단독으로 화물을 실을 수 없고, 오로지 트레일러만을 연결하는 연결체이기 때문.
풀 트레일러의 경우 일반적인 트럭 뒤에 견인장치로 연결하는 형태인데 곡선 구간이 많은 한국에서는 다루기가 힘들기 때문에 많이 찾아보기 힘들다.[4] 90년대까지는 공업단지 인근 도로에서 종종 보이기도 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아웃백이나 미국-캐나다 국경, 미국-멕시코 국경에서 풀 트레일러를 줄줄이 달고 다니는 로드 트레인이 있는데 이 뒤에 달린 트레일러들은 전부 풀 트레일러라고 볼 수 있다.마치 일반도로로 다니는 기차같다.
로드 트레인의 예시.
세미 트레일러는 한국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방식. 트랙터의 후미에 트레일러의 앞부분이 연결되고 세워놓을 때에는 트레일러에서 지지대를 세워서 넘어지지 않게 균형을 잡는 식이다. 대표 사진으로 나온 방식도 세미 트레일러. 트랙터를 제외하면 이렇게 뒷부분만 남는다.
용도는 기본인 카고나 컨테이너 운송 외에도 탱크로리, 덤프트럭, 카캐리어 형태도 있고 대형 건설기계나 군용 차량 운송용으로도 쓰이며 특히 중장비 운송용(로우베드 형태로 쉽게 말하면 저상형이다) 세미 트레일러는 바퀴부분이 안쪽에도 2개를 더 낄 수 있어 1열당 8개씩 조합이 가능하다(대신 일부 저상 트레일러는 바퀴크기가 작은 것도 있다). 축 배열은 보통 2축이나 3축형태로도 나오며 군용 트레일러는 그 이상을 달기도 한다.덕분에 군용 트레일러와 로우베드, 카캐리어형은 꽤 로망이다. 물론 탱크로리형태도. 아니, 세미 트레일러 자체가 좋게 보면 훌륭한 낭만 거리다.
운전자 입장에서는 트랙터를 더 다양한 화물을 운송하는데 쓸 수 있고 회전을 할 때 앞부분이 트랙터의 후미와 맞물려서 같은 방향으로 꺾이기 때문에 운전이 용이하기도 하고 일을 주는 화물주의 입장에서는 트레일러를 아무 트랙터 운전사에게나 맡길 수 있기 때문에 편하고 해서 화물의 대부분은 세미 트레일러로 나르고 있다. 말하자면 누이 좋고 매부 좋고.
여담으로 세미 트레일러는 트레일러 자체와 연결차량 모두 가변축을 장착하여 다니기도 한다(정확히는 6X2). 트레일러 전용 견인차는 일반트럭과는 달리 기본사양이며 후축이 1개(4X2)일 경우는 해당되지 않는다.
다만 한국에서는 세미트레일러 뒤에 풀트레일러를 달거나 위 사진처럼 풀트레일러를 줄줄이 단 로드트레인을 운행할 수 없다. 왜냐하면 현행법상 연결차는 16.7m를 초과하면 안되기 때문이다. 참고로 연결차가 아닌 차는 13m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관광버스가 12m정도 되니 그 길이를 가늠해볼 수 있다.
참고로 서울랜드의 코끼리열차는 가능하다. 서울랜드 내 도로는 도로교통법이 적용되지 않는 도로기 때문이다.
국내 트랙터는 외제차 비중이 높으며 1종특수 트레일러 면허를 취득하면 운전할 수 있다. 트레일러 면허는 국내생산 차량으로 시험을 치른다.
현행법상 1종대형만 있어도 트랙터는 몰 수 있지만 여기에 트레일러를 달면 무면허 운전이다.
2 국가별 특징
2.1 한국
한국의 경우 도로사정상 트럭을 주로 사용하고 트레일러는 트럭에서는 수용할 수 없는 컨테이너 박스 운송용 이라든지 대형 중간재[5] 운송용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한국의 도로에서 다니는 트레일러는 대게 항구가 기종점인 차량들이다.
그 외에도 대공원 같은 관광지에서도 풀 트레일러 형태의 관광차량으로 쓰기도 한다.
2.2 일본
히노 프로피아.
미쓰비시 후소 슈퍼 그레이트.
JR화물 항목에도 설명되있듯이 열악한 일본의 화물철도는 국제 표준 컨테이너를 실는데 큰 제약이 있다. 대부분은 해상수송 하지만 그것을 수송하기 위해서는 육로로 수송하는 운송수단이 있어야 하는데 그게 트랙터 트럭의 몫이다. 철도수송 처럼 40피트 해상 컨테이너에서 12피트 컨테이너에 담을 수고를 할 필요가 없기에 항구의 컨테이너 기지에 가면 수십대 가량의 트랙터가 대기하는 것을 볼수있다.
2.3 북미
아메리칸 트럭 시뮬레이터
켄워스 T660.
프레이트라이너 Cascadia.
북미는 그야말로 트레일러의 천국이라고 할 수 있는데 특히 서부 고속도로를 줄줄이 달리는 대형 트레일러는 그야말로 장관. 트레일러 운전사들이 자신의 트랙터를 가지고 프리랜서로 일할 경우 트랙터에 수없이 전구를 박아서 튜닝하고 트레일러까지 가지고 있는 경우는 물론 트레일러에도 장식한다. 은은한 고시인성으로 교통사고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경우. 영토가 넓은 관계로 가로등 같은 인프라가 부실한 미국에서는 반드시 달아야 하는 옵션으로 비행기의 항법등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 한국에서는 주로 12톤 탑차에 박아넣는 경우가 많다.
2.4 유럽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메르세데스-벤츠 악트로스.
스카니아 R730 Streamline.
네덜란드와 북유럽 일부 스웨덴, 핀란드에서만 사용하는 LZV라고 불리는 전용 로드트레인이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로드 트레인과는 다르게 이쪽의 경우는 미국차럼 풀카고를 길게 늘린 예. 그러나 나머지 국가에서는 풀 트레일러 형식이 제일 많은 형식이다.
2.5 북한
파일:Attachment/트레일러/7 53 7 i1.jpg
북한에서는 트레일러를 련결차라고 부르며 화물수송에서 꽤 중요하게 취급하고 있다. 1970년대부터 철도수송이 시설의 노후화로 적체현상을 빚자, 높으신 양반이 직접 련결차를 대대적으로 생산해 화물수송에 투입하도록 지시한 이후 15+10톤 규모의 트레일러들이 대대적으로 생산되었다.
3 기타
한국의 일부 면허시험장(강남, 부산남부, 인천, 안산, 대전, 예산, 울산, 문경, 포항, 전북, 전남, 제주)에 대형견인차 시험용 트레일러가 비치되어있다. 관절이 있어서 운전이 힘든데, 특히 후진이 가장 고난이도이다. 후진하면서 좌,우회전을 하려고 한다면 꺾고자 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핸들을 돌려야 한다.[6] 일자로 후진을 하는 것도 어느 정도 가다 보면 트레일러의 방향이 한쪽으로 조금씩 틀어지기 때문에 흔히 와리가리(...)라고 말하는 좌우로 왔다갔다하는 스킬로 트레일러의 방향을 잡아야 한다. 그래서 면허시험 종목은 T자 끄트머리(일명 X통)에 테라를 후진으로 집어놓고 나오기, 하나뿐이지만 대체로 7개 면허 종류 중 두번째로(!!) 어렵다는 평이다.가장 어려운 것은 2종 소형
사실 워낙에 크고 아름다운 차량이라 안전을 위해 대형견인차 기능시험에서 선 밟는 즉시 불합격한다는 무시무시한 규정을 들이미는 것이며 수십 년간 잘 써온 코스이므로 열심히 유튜브 등으로 공부하고 시험치자. 참고로 1종 대형은 서너 번까지는 밟아도 되며[7] 레커는 1번까지는 용서해 준다. 그런데 대형견인차 기능시험은 자비따위 없다. 이게 대형견인차 기능시험의 핵심 복병.
그래서 난이도를 대폭 낮춘 소형견인차 면허가 등장했으나, 문제의 ㄱ자 후진은 거의 그대로 살아남았다. 이 경우에는 그나마 1번의 실수는 봐 준다는 것이 다행.
트레일러는 헤드(트랙터)와 테라(트레일러)로 구분이 가능한데 일반 자동차로 피견인자동차(750kg 이상)를 같이 운전할 경우에는 일반 자동차에 해당되는 면허(1종 대형, 1종 보통, 2종 보통 중 하나)와 1종 특수(대형견인차)나 1종 특수(소형견인차, 견인자동차는 3.5t 이하, 피견인자동차는 3t 이하일 때만) 운전면허가 필요하지만, 견인형 특수자동차로 운전할 경우에는 트레일러 부착 여부와 상관 없이 1종 특수(대형견인차 또는 소형견인차) 면허가 있어야 한다. 법제처 유권해석
여담으로 추레라라는 이름 자체가 1980년대에 국내 최초로 양산된 트랙터(차)이름이다. 1970년대만 해도 한국에는 트레일러라는 개념이 도입되지 않았었고 더군더나 당시 열악한 국내 자동차 제작 사정상 수입산 차량들이 즐비했다. 더군더나 저 추레라(츄레라)를 처음 만든 회사가 쌍용자동차. 그리고 한때는 도로교통법에도 등장하는 정식 용어였으나 2001년에 이르러서 트레일러로 개정되었다. 정작 인터넷을 뒤져보면 문화어(북한말)라고. 아직도 군대에서는 관련 차종에 정식으로 이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취사 츄레라 등 개정되었다. 문서상으로는...
현대나 대우 등의 국산 차량들도 있으나 볼보나 스카니아 등 외산 차량들이 좀 더 인기가 많은 편이다.
모터사이클 문화가 발달한 해외에서는 모터사이클용 트레일러도 상당히 많다. 12캠핑용 티어드롭 트레일러도 있다.
옵티머스 프라임은 어디론가 사라지고 어디선가 나타나는 희한한 트레일러를 가지고 있다.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인 소닉 어드벤처 2의 City Escape 후반부에선 G.U.N[8]이라 쓰인 무시무시한 트레일러가 소닉을 향해 돌진한다.[9] 엄연한 로드킬, 트럭 운전사가 소닉을 좋아하는 얀데레임이 틀림없다
2차 창작물에 등장하는 트레일러 운전사는 썬글라스에 우락부락한 팔근육과 치렁치렁한 문신, 그리고 덥수룩한 수염을 기르고 있다는 클리셰가 있다. AVGN의 빅 릭스 리뷰에서도 일단은 트레일러 게임이라서 '이런 쓰레기가 광고로 나왔으면 어떻게 됐을까?'라는 상상 속에 등장한 제임스 롤프가 이 클리셰를 완전히 따라한 분장으로 나왔다.
2012년말부터 유행을 타기 시작한 유로 트럭 시뮬레이터 2로 국내 게이머들에게도 익숙해지고 있다. 해당 문서를 참조.
4 창작물에 등장하는 트레일러
- ↑ D16K 750마력 유로 6 엔진 + 8x4 섀시 + 험로용 범퍼 사양이다.
- ↑ 츄레라는 문화어이자, 북한식 외래어발음이다. 즉 trailer의 일본식 표가에서 나온 발음이라고 하지만, 정작 일본에 토레라(トレーラー)로 발음되기 때문에 츄레라를 일제 잔재어로 생각되면 섣부른 판단이지만 아마 위의 토레라로 추정해 보았을때 일본▶북한▶대한민국순으로 넘어온듯...
- ↑ 그리고 러시아에서도 츄레라가 아닌 트레일레르(трейлер)라고 한다.
그러나 이걸로 검색하면 캠핑 트레일러와 영화 예고편이 나온다(...) - ↑ 가끔 고속도로를 달리다 보면 풀카고 차량 뒤에 풀 트레일러를 달고다니는 경우가 있긴 하다. 대부분이 주류 운반 차량(...)
- ↑ 예를 들면 강판 코일.
- ↑ 왼쪽으로 방향을 꺾는다고 가정하면, 오른쪽으로 핸들을 돌려 뒤에 있는 트레일러를 왼쪽으로 꺾어주고 나서 왼쪽으로 핸들을 돌려야 한다. 사실 모든 차의 후진도 같지만 트레일러는 관절 때문에 더 신중해야 한다.
- ↑ 대신 대형은 시험코스가 굉장히 많다.
- ↑ 소닉 어드벤쳐 2 세계관에서의 군대이다.
이름 센스가 영... - ↑ 소닉 제너레이션즈에서도 해당 스테이지가 리메이크되었기 때문에 이 트레일러 또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