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노누시

1 개요


고문서의 카노누시 모사화.

성료가 섬기는 성주. 즉 베르세리아 시간대의 이다.[1] 기존의 성주교에서 섬기던 4원소의 4성주가 아닌 이름 없는 또 하나의 성주로서, 세계를 형성하는 존재로 섬겨지는 4성주와 구별되어 모순에 가득 찬 세계를 진정시키는 성주로 일부에 전해지고 있었다.

고문에 쓰인 본래의 모습은 여덟 개의 머리를 가지고 있는 드래곤.[2] 본체 머리 하나와 부정함을 먹는 머리 일곱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이 바로 작중 최대 키워드 중 하나인 식마(喰魔)다. 이들이 보내는 부정[3]을 삼킴으로써 카노누시는 완전히 부활할 수 있다.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2 진실


작 중 모습.

본작의 스토리 상의 최종보스로, 한때 4성주와 다툼이 있은 뒤 봉인 당한 후 4성주가 잠에 들자 부활하여 라이피세트 크라우[4]와 융합한 다음 부정함의 발생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지맥을 그릇으로 삼은 뒤 성례를 노예화하고 인간들의 의지를 빼앗으려 들었다. 하지만 벨벳 일행이 4성주를 깨움으로써 지맥에서 추방되어 천공에 머물게 된다. 이후 벨벳 일행이 다시 카노누시와 아르토리우스에게 도전하여 아르토리우스를 죽이고 카노누시를 봉인하는데 성공한다.

공식공략본에 의하면 작 중에 등장하는 카노누시(라이피세트 크라우)는 마음이 없는 존재. 카노누시는 본래 마음과 몸이 나누어져 봉인되어 있었지만 개문의 날에 카노누시의 마음이 성례 라이피세트로 먼저 부활했고, 3년 후 강림의 날에 카노누시의 몸이 라이피세트 크라우의 육체에 강림했다고 한다. 즉, 작 중에서 벨벳에게 정신공격을 가하는 카노누시는 라이피세트 크라우의 기억만을 이용해서 벨벳을 절망시키려고 했다고 할 수 있다. 벨벳에게 정말 좋아했었다라며 과거형으로 대하는 것도 카노누시에게 마음이 없다는 표현 중 하나라고. 하지만 작 중에선 제물인 라이피세트 크라우의 기억으로 인해 자신과 라이피세트 크라우를 혼동하는 묘사가 나왔고, 완전히 다른 존재라고 보기 힘든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3 평가

조금 안습한 면이 보이는, 카리스마가 부족한 최종보스.

스레이의 꿈을 최흉최악의 형태로 이루는 존재.

라이피세트와의 1대 1에서 가볍게 압도하는가 싶더니 나침반을 눈속임에 사용한 라이피세트가 벨벳을 울렸으니 때려주겠다고 공언한 그대로 실천한다. 분노해서 마구잡이로 공격을 날렸는데 그걸 라이피세트가 피하고 되려 다른 벨벳 일행을 막던 드래곤[5]을 일격에 팀킬해버린다.(...)[6] 부정함을 라이피세트에게 날려 쓰러진 드래곤 대신 드래곤으로 만들려하지만 부정함을 태우는 백은의 불꽃의 힘을 각성하는 바람에 되려 자기가 날아가버린다.

이후 라이피세트는 벨벳 앞에서 죽이라고 시킨 뒤 이를 거부하는 업마화 한 아이프리드의 정신을 먹어서 벨벳에게 보내는데, 아이프리드는 죽어가면서이긴 하지만 자기 자신을 되찾았다. 신이란 놈이 제대로 하는 일이 없어 자기는 부정함을 먹어서 없앨 수 있지만 분신격인 라이피세트의 백은의 불꽃은 그냥 없앨 수 있다. 아르토리우스가 죽자 그가 통제하던 카노누시의 힘의 제어가 풀려서 폭주하는데, 엄청나게 큰 목소리로 "배가 고프다고!"라며 괴성을 지르는데 표정이... 스토리가 아닌 플레이로 보자면 최종보스는 카노누시의 카무이를 입은 아르토리우스고, 스토리상의 활약은 간부급인 멜키오르가 더 많다. 게다가 자기 자리를 자기를 엿먹인 분신이 차지했으니...

지상에 내려온 천족들의 관점으로 봐도, 명백히 이단에 해당되는 존재이다. 보통 천족들은 부정함에 취약해서 극도로 경계하는 데 반해, 이 녀석은 오히려 부정함을 자기 관할로 두고 먹이로 삼는다. 또한 인간과 공존하려 지상에 내려온 작중의 천족들과 달리 마치 지상이 자신의 목장이라도 되는 양 성례와 인간의 의지를 빼앗아 극도의 통제사회를 만들려고 했다. 물론 부정함을 먹어서 없앤다는 부수효과만큼은 매우 귀중한 능력이지만 기본적으로 4성주를 포함한 다른 동족들로서는 설령 지상이 파멸한다고 해도 용납하기 힘든 악마같은 존재였을 것이다. 작중에서도 오래 전에 다른 성주들에게 봉인되어버렸었고. 하지만 숨겨진 던전인 하늘의 계단에서 카노누시는 4성주가 잠들고 세계가 멸망의 위기에 빠질 때 부활해서 세상을 리셋하는 안전장치란 진실이 밝혀진걸 보면 애초에 그런 역할을 짊어진 이름없는 성주라 봐야할 듯 하다.

그래도 작중에서 부정함에 대한 카운터로서의 힘은 카노누시가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제스티리아까지 고려할 때, 백은의 불꽃을 써서 부정함을 태운다는 마오테라스마저도 용량에 넘치는 부정함에는 결국 오염되고 마는 천족의 태생적 한계에 갖혀있었던 반면, 그냥 태생적으로 부정함을 먹이로 삼아 흡수해버리는 카노누시는 부정함에 먹혀버릴 여지 자체가 없다. 이 점만큼은 짝퉁과 원조의 차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의 격차이다.[7] 게다가 제스티리아 시대로 가면 그냥 일개 천족이 서약으로 백은의 불꽃과 비슷하게 재화를 태우는 불꽃의 힘을 사용하기도 한다[8]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테일즈 오브 베르세리아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제스티리아 시간대에서는 마오테라스가 카노누시의 자리를 대체하고 있다.
  2. 카노누시의 모습을 알게 된 벨벳 일행들은 <머리가 여덟 개 달리고 부정함을 먹는 드래곤이라니, 전혀 성스러운 느낌이 안 든다.>고 말했다.
  3. 양보다는 질이 중요하다고 하며 식마들이 보내는 부정함마다 감정에 따른 속성이 있다고 한다. 가령 벨벳의 경우 증오와 절망을 보내야 했다.
  4. 그래서 카노누시의 성우도 쿠기미야 리에다. 부활한 4성주의 성우도 제물로 바쳐진 특등, 1등 대마사의 성우 마에노 토모아키, 호리에 유이, 나카이 카즈야, 토비타 노부오와 동일한데, 성주는 제물로 바쳐진 자의 영혼에 인격이 기반하는 듯 하다. 또한 활동에 사용하는 육체도 라피와 닮았는데, 제물로 바쳐진 라피의 육체를 보존해서 자신의 것으로 사용한 것인지, 라피의 육체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육체를 만들었는지는 나오지 않는다. 카노누시의 행동을 보면 카노누시와 라피의 구분을 하지 않는다.
  5. 인간들에게서 부정함이 사라진다면 카노누시에게 보급할 부정함도 없는데, 드래곤은 무한히 부정함을 내뿜으니 카노누시에게 부정함을 보급하긴 딱 좋았다. 좀더 미래의 이야기를 다루는 제스티리아에서 스레이 일행이 드래곤 목장이었던 카리스에 와서 시설들을 보고 부정함으로 뭘 하려는 생각이었을까? 라고 생각하는데 만약 카노누시의 존재를 알있다면 스레이의 멘탈이 가루가 되었을 것이다.
  6. 그리고 서브 이벤트로 사실 그 드래곤은 살아있었다는 진실이 알려지는데, 그 드래곤의 막강함을 드러내는 이야기지만 어찌 카노누시가 그리 대단하지 않게 여겨지게 만든다.(...)
  7. 다만 마오테라스가 더 뛰어난 부분이 있는데, 바로 업마, 혹은 빙마가 된 존재를 죽이지 않고 무사히 원래대로 되돌린다는 것이다. 물론 실체화 한 드래곤은 되돌리지 못하고, 돌아가기 전에 이미 생명이 지장이 있는 존재는 되돌린다고 해도 죽는다.
  8. 그런데 서약 은 거 없이 그냥 일반 천족 시절부터 백은의 불꽃을 사용할 수 있는 게 마오테라스다. 서약은 제약이 너무 많아서 서약에 저촉되는 문제가 생기면 그 천족은 옴싹달싹 뭇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