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대 로마의 실존 인물
Titus Pullo (생몰년도 미상)
고대 로마의 군인으로 갈리아 전기에서 짤막하게 나오는 인물.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부장인 퀸투스 키케로[1] 휘하에 소속된 백부장. 같은 소속의 백부장인 루키우스 보레누스와는 누가 더 훌륭한 전사인가를 다투면서 해마다 주요 보직을 두고 경쟁하는 라이벌 관계였으며 보레누스와 함께 수석 백인대장으로서의 승진을 앞두고 있었다고 한다.
갈리아인 암비오릭스의 계략으로 방벽 바깥에서 전투가 벌어지면서 루키우스에게 용맹을 보여주어 자신들의 대결에 결판을 내자고 제안하여 먼저 나갔다가 갈리아인들이 텔라를 힘껏 던져서 방패가 꿰뚫리거나 칼이 벨트에 박혀 꺼내지 못하게 되자 위험에 빠졌으며, 뒤늦게 쫓아온 루키우스의 도움을 받았다.
그러나 루키우스가 적을 추격했다가 구덩이에 빠져 포위당하자 루키우스를 구하였으며, 루키우스와 함께 여러 명을 죽이면서 열렬한 환호를 받아 방벽 안으로 귀환했다고 한다. 두 호적수는 적을 무찌르면서도 서로의 목숨을 구해줬기 때문에 누가 더 용맹한지 판가름 할 수 없었다고 한다.
2 미국 드라마 ROME의 등장인물
미드 ROME의 주인공. 담당 배우는 퍼니셔: 워존(2008)에서 주인공인 퍼니셔 역할을 맡은 레이 스티븐슨.
위의 인물의 행적이 알려진 것이 적기 때문에 위의 인물의 이름을 따온 인물이다. 단, 실존 인물은 백부장이었지만 드라마에서는 그냥 그 밑의 군단병.
율리우스 카이사르 휘하의 13군단 소속으로, 백부장 루키우스 보레누스의 부대원이다. 브리타니아 출신의어떻게든 드라마에 영국인을 끼워넣으려는 의지가 느껴진다 야만적인 개망나니이자 골치 아픈 말썽쟁이로, 월급을 타면 사창가로 달려가거나 도박장에 드나들면서 난리를 피운다. 게다가 전투광 기질이 있어서 전투 도중에 전열을 스스로 빠져 나와서 적들과 뒤섞여서 싸우는 것을 좋아한다. 드라마의 시작이 바로 이 짓거리 해서 보레누스에게 크게 혼나다가 분을 못참고 보레누스를 들이 박는 하극상을 저지른다. 당연히 벌로 채찍질 당하고 영창행. 보레누스도 이 인간을 천박하다 여기고 별 상대를 안 했었다. 루시우스 보레누스가 불가능한 임무를 맡았을 때 다른 부대원을 죽이기 싫어서 가장 쓸모없다 생각되는 티투스 풀로를 영창에서 특별 사면을 조건으로 데려갔을 정도.
다만 이런 모습을 보이는 주된 이유는 아주 어렸을 때부터 군대에서 살며 군대식 생활 방식만을 보고 자랐기 때문으로, 자신이 13군단 소속 병사라는 것 외에는 소속감이나 연대감을 느낄 구석이 전혀 없다는 것이 굉장히 자주 비쳐진다. 부린 말썽의 상당 부분이 군 생활을 하면서 얻은 싸움 실력을 주체하지 못해서 발생하기도 했고, 오죽하면 보레누스의 아이를 달랠 때 "13...군단! 13...군단!"이라고 할까.
(그리스로 배를 타고 가던 중 난파를 당하고 둘만이 살아남은 장면.)
그러나 금욕주의자인 보레누스에게 떡치는 일(…) 등 하류사회의 일들을 가르쳐 주고 확실한 싸움 능력과 군인으로서의 명예는 잃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중반 쯤에는 의형제와 가까운 사이가 된다. 보레누스를 상관이자 형으로써 존경하며, 몇번 중요한 사태가 벌어졌을 때 보레누스의 조언을 따라 목숨을 건진 적도 있다.
갖은 사고를 치고 다니지만 의외로 인간 자체는 의외로 매우 순박하며 때문에 어머니 아티아에게 억압받고 있던 어린 옥타비아누스(아우구스투스)와 죽이 잘 맞는다. 그냥 생각없이 명령을 받으면 행하기 때문에 남의 충실한 부하 노릇을 잘 하는 성격으로, 옥타비아누스의 시다바리 역할. 옥타비아누스도 풀로를 오랜 친구라고 말하며 굉장히 아낀다[2]. 풀로처럼 훌륭한 전사이지만 스스로의 신념이 뚜렷해서 온갖 불이익이나 혹은 양심에 거슬리는 일을 도맡게 되는 보레누스와는 차이점이다.
굉장히 운이 좋은 인물로 잡혀 있는 여자 노예를 건져볼까 하고 찾아본 곳이 폼페이우스의 군자금을 모아 둔 수레였다던가,[3] 호위 임무를 맡았다가 클레오파트라 쪽에서 먼저 떡을 치자고 한다던가... 좀 황당할 정도로 운이 좋다. 드라마 각본 상 클레오파트라와 카이사르의 아들 카이사리온은 사실 풀로와 클레오파트라 사이의 아이로 되어있다. 누군 떡이 굴러떨어져도 못 처먹는데...[4]
한편 여러모로 중대한 사고를 치고 다니는데, 예컨대 폼페이우스를 따르는 건달들이 운영하는 도박장에서 사기도박임을 알아채고 분노하여 사기꾼의 목을 따버리고 패싸움을 했다.[5] 그리고 얼마 후 폼페이우스가 카이사르를 역적으로 선언하는걸 저지하기 위해 안토니우스가 의회에 입장하려 할때, 폼페이우스는 자신 휘하의 건달들을 동원하여 안토니우스를 겁주려고 했다[6]. 이 도박패가 안토니우스를 경호중인 풀로를 발견하고는 보복하려고 행렬을 습격해서 단체로 칼부림이 난다. 모두들 이걸 폼페이우스가 안토니우스를 막기 위해 지시한 걸로 생각한다. 폼페이우스는 부하들의 과잉행위로 인식. 아무튼 안토니우스가 원로원에 입장도 못하고 ㅌㅌ한 결과 카이사르는 역적이 되었다. 카이사르는 병사들에게 이걸 보여주고, '나도 늬들도 역적됐다'며 선동해서 로마로 진군(...) ROME의 대표적인 역사비틀기 장면.
(갈리아 노예 이레네를 구출하는 장면.)
갈리아인 노예 이레네를 보고 한눈에 반해 그녀를 사온다. 우여곡절 끝에 이레네도 풀로와 사랑에 빠져 결혼한다. 풀로는 이레네를 노예에서 해방한 다음 극진하게 사랑했고, 역시 가족을 사랑하지만 표현이 지독하게 서툴렀던 루시우스 보레누스와 대조적으로 화목한 가정을 꾸린다. 이레네의 전남편을 쳐죽인 것 같지만 상관 없겠지 키케로를 암살하러 와서도[7], 아내 갖다줄 복숭아를 챙기며 좋아하는 애처가. 그러나 풀로의 첫아이를 임신한 아내 이레네는 치정싸움으로 죽고말아 풀로는 큰 충격을 받고 한동안 슬픔과 정신적 공황에 빠진다. 이후 루시우스와 함께 일을 하나 루시우스는 가정파탄으로 성격이 변해버려 예전과 다른 모습까지 보여주면서 그를 걱정한다.
최종화에 자신의 아이 카이사리온을 지키기 위해 모든 것을 내던지고 아무도 얼굴을 모르는 예루살렘으로 길을 떠나면서 끝을 맺는다.
여담이지만 조명이나 분장문제인지 배우가 나이가 확 들어보이게 삭은 모습을 보였다가 다음 씬이나 다음 화에서 다시 젊어 보이다가 하는 문제가 있다.- ↑ 유명한 공화주의자 키케로의 동생. 카이사르의 정적인 키케로의 동생은 카이사르의 부하였다는 점이 흥미롭다. 카이사르 전기에는 퀸투스 키케로의 군단이 몇 군단인지는 나오지 않는다.
- ↑ 드라마 마지막 장면에서 풀로와 옥타비아누스가 마지막에 만날때 옥타비아누스가 "오랜 친구는 귀중한 재산이지"라고 말하며 반겨준다.
- ↑ 이 때 이 금을 혼자 다 차지할수도 있는데, 보레누스에게 나눠먹자고 찾아가기도 한다. 국고에서 나온 금이라고 야단맞지만.
- ↑ 처음에 클레오파트라의 시종이 하룻밤 상대로 데려간건 보레누스였는데, 보레누스는 '난 못함'이라고 뻗대고 대신 풀로를 들여보냈다. 그리고 풀로는 바로 검열삭제...
- ↑ 이때 머리를 다쳤는데 이 치료비로 보레누스가 돈을 엄청 쓴다. 사실 현대에도 머리를 수술은 굉장히 비싸다.
- ↑ 겁주고 위협은 하려했으나 절대 해할 생각은 없었고, 이를 부하에게 시켜서 여러번 되풀이하며 지시했다.
- ↑ 곧 자기가 죽일 키케로에게 '복숭아가 잘 익었군요. 조금 따가도 될까요?'라고 물어본다. 키케로도 담담하게 그러라고 하는 인상적인 장면. 하지만 물론 '뭐?'라며 어처구니 없어하긴 한다. 생각해보면 이제 곧 자기가 죽일 사람한테 복숭아좀 따가겠다고 물어보는것 부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