템플릿:철도역/대한민국

역명판 표의 경우는 일반적인 예시이며, 코레일 노선 역처럼 설명이 복잡한 경우에는 다른 문서에서 복사 붙여넣기를 하셔서 편집하시면 됩니다.

1 문서를 생성하기 전에

동명이역이 있는 경우, 다음 가이드라인을 따릅니다.

1. 일반철도역의 경우 - 일반철도와 도시철도를 모두 취급할 경우, 일반철도역으로 칩니다.
 A. 분기역의 경우
  a. 분기 노선 중 간선 철도가 둘 이상인 경우(ex. 순천역, 용산역, 봉양역) - 소속 광역시 또는 도를 붙인다. ex) 봉양역(충청북도)
  b. 분기 노선 중 간선 철도가 하나인 경우(ex. 부전역, 대전역) - 간선 철도명을 붙인다. ex) 대전역(경부선)
  c. 분기는 하는데 지선 철도끼리 분기하는 경우(ex. 가야역) - 본선 쪽의 철도명을 붙인다. ex) 가야역(가야선)
 B. 분기역이 아닌 경우(ex. 좌천역, 전동역, etc.) - 소속 철도명을 붙인다. ex) 좌천역(동해남부선)
2. 도시철도역의 경우
 A. 타 지역에 동명의 도시철도 취급역이 없는 경우(ex. 범일역) - (도시철도)라고 붙인다. ex) 범일역(도시철도)
 B. 타 지역에 동명의 도시철도 취급역이 있는 경우(ex. 교대역) - 소속 광역시 또는 도를 붙인다. ex) 교대역(서울)

2

2.1 기본 형태

2.1.1 중간역

운행계통
노선명
시점 방면
이 전

○.○ km
현 재
□.□ km
종점 방면
다 음
i. 노선명 칸에는 노선색을 적용하며, 글자에는 색상을 적용합니다.

ii. 운행계통 칸에는 수도권 전철, 부산 도시철도, 열차등급(일반철도노선의 경우) 등을 표기합니다.
iii. 시종점 역이 두 개 이상일 경우에는 모두 적되 ,으로 구별합니다. 또한 순환선의 경우 기점 자리에 외선순환, 종점 자리에 내선순환을 적습니다.
iv. 폐역ㆍ계획중인 역은 표에 기재하지 마세요. 표 바깥에 별도의 언급을 하는 형태로 기재해 주세요.
v. 사진은 행선판 아래쪽에 두시기 바랍니다.
vi. 급행은 별도 노선으로 취급합니다. 즉 똑같은 테이블을 바로 밑에 붙여 표기합니다.

2.1.2 시종착역

운행계통
노선명
시종착현 재
□.□ km
종점 방면
다 음
운행계통
노선명
시점 방면
이 전

○.○ km
현 재시종착
i. 일반철도의 경우 시종착 대신 시종점으로 표기합니다.

2.1.3 분기역 (노선이 다른 경우)

운행계통
노선명A
기점 방면
이 전

○.○ km
당 역
□.□ km
종점 방면
다 음
노선명 B
시종착당 역
□.□ km
종점 방면
다 음
운행계통
노선명 A
기점 방면
이 전

○.○ km
당 역
□.□ km
종점 방면
다 음
노선명 B
기점 방면
이 전

○.○ km
당 역시종착

2.1.4 분기역 (노선이 같은 경우)

운행계통
노선명
기점 방면
이 전

○.○ km
당 역
□.□ km
종점A 방면
다음A

◇.◇ km
종점B 방면
다음B
운행계통
노선명
순환구간 들어가는 방면
진 입

○.○ km
당 역
□.□ km
종점 방면
이 전
순환구간 나가는 방면
진 출

◇.◇ km

2.1.5 완급 분리

운행 계통
노선명
기점 방면
이 전

○.○ km
당 역
□.□ km
종점 방면
다 음
노선명 (AA-ZZ 급행)
기점 방면
급 전

●.● km
당 역
■.■ km
종점 방면
급 후

i. 운행계통은 분리하지 않습니다. 단 이전 정차역과 이후 정차역이 다른 완행/급행은 분리합니다.
ii. 주로 도시철도·광역철도 노선에서 이 표를 적용합니다.

2.2 노선색

노선색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일반철도 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의 노선명과 우측 부가정보에 적용합니다. 흰색 글씨는 #ffffff, 검은색 글씨는 #000000의 헥사코드를 사용합니다.

노선색헥사코드
수도권 전철 1호선#0d3692
수도권 전철 3호선#fe5b10
수도권 전철 4호선#32a1c8
수도권 전철 분당선#ffb300
수도권 전철 수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73c7a6
수도권 전철 경춘선#32c6a6
서울 지하철 2호선#33a23d
서울 지하철 5호선#8b50a4
서울 지하철 6호선#c55c1d
서울 지하철 7호선#54640d
서울 지하철 8호선#f51361
서울 지하철 9호선#aa9872
수도권 전철 신분당선#ff0000
인천국제공항철도#3681b7
인천 도시철도 1호선#8cadcb
용인경전철#4ea346
의정부 경전철#FDA600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007448(배경색)
#b2d01a(글자색)
서울 경전철 신림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f06a00
부산 도시철도 2호선#81bf48
부산 도시철도 3호선#bb8c00
부산 도시철도 4호선#2e67ce
부산-김해경전철#8451a0
대구 도시철도 1호선#d93f5c
대구 도시철도 2호선#00aa80
대구 도시철도 3호선#ffff00
광주 도시철도 1호선#009088
대전 도시철도 1호선#007448
순천만 스카이큐브#1E487F

3 내용

이 역은 ○○역○○역 사이에 있었으나 폐역되었다./개통준비중이다.

漢子驛名 / ○○○ Station

역명
(지도)[1]
다국어 표기
영어Station Name
한자驛名
중국어站名
일본어エキメイ
사진
설명
주소
WW도 XX시 YY구 ZZ로 nn
(舊 aa동 mm)
운행계통[2]
운영기관KK사 VV본부
노선A 개업일YYYY년 MM월 DD일
열차등급 영업개시일YYYY년 MM월 DD일
역등급역등급(n급/중추역orEE역 관리)

3.1 개요

노선명의 철도역.[3] ○○도 ○○시/군 ○○읍 ○○리 소재.

3.2 역 정보

해당 역에 관한 정보를 작성합니다.

3.2.1 승강장

A ↑
CC'
↓ B
C노선명완급여부/열차종류주요역1·주요역2·주요역3·종점 방면
C'노선명완급여부/열차종류주요역4·주요역5·주요역6·종점 방면

4 역 주변 정보

역 주변에 대한 정보를 기재합니다.

5 여객열차 운행계통

고속여객열차
OO선 KTX
노선명
기점 방면
이 전

○.○ km
당 역
□.□ km
종점 방면
다 음
특급여객열차
OO선 ITX-새마을
기점 방면
이 전

○.○ km
당 역
□.□ km
종점 방면
다 음
급행여객열차
OO선 무궁화호
기점 방면
이 전

○.○ km
당 역
□.□ km
종점 방면
다 음
관광열차
중부내륙순환열차
기점 방면
이 전

○.○ km
당 역
□.□ km
종점 방면
다 음
  1. 가로 100%, 세로 225 or 300px로
  2. ○○전철 혹은 일반철도로 표기
  3. 역번이 있을 경우 '노선명 ○○○번'으로 적습니다. (예: 서울 지하철 2호선 201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