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트모세 3세

TuthmosisIII-2.JPG
hatshepsut2011_03_22_117.jpg
Menkheperura Jehutimese-neferkheperu (의 온전한 현현 / 완벽한 존재이신 투트모세)
Thutmose III
(B.C 1481 ~ 1425)

이집트 제 18왕조의 6번째 파라오. 하트셉수트의 공동 통치자이자 후계자로, 고대 이집트 문명의 강역을 최대로 넓힌 정복왕.

1 생애

기원전 1481년 투트모세 2세와 계비 아세트 사이에서 태어났다. 파라오의 하나밖에 없는 후계자로서 왕궁의 모든 관심과 사랑을 독차지하며 자랐...어야 했으나, 그가 태어난 지 3년만에 아버지 투트모세 2세가 사망하고 말았다. 투트모세 2세가 다른 후계자를 남기지 않았으므로, 결국 이 어린 꼬마가 파라오가 되었다. 다만 사리분간조차 명확히 못 하는 나이였던만큼, 통치 일선에 나서진 못하고 고모, 계모 겸 장모이자 투트모세 2세의 정비인 하트셉수트가 실권을 행사하였다.

투트모세 3세에게 실권이 돌아온 것은 하트셉수트가 기원전 1458년에 죽고 난 이후였다. 사실상 눌려 살았던 만큼 하트셉수트와의 관계가 썩 좋은 편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그가 통치자로 등극한 시점의 이집트는 하트셉수트가 기반을 단단히 다져 둔 상태였으므로 그녀가 죽었다고 해서 당장 그녀를 무시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따라서 투트모세 3세는 하트셉수트가 선임한 중신들을 그대로 기용하였으며, 그 자신도 계비에게 '태양신의 사랑을 받는 하트셉수트'라는 이름을 내리는 등 내부적으로 유화정책을 펼쳤다.[1]

그러나 그는 하트셉수트가 다져둔 기반에 안주하고 싶어하지 않았다. 오히려 자신이 하트셉수트보다도 위대한 파라오임을 증명할 목적이었는지, 20년간 무려 17차례에 달하는 정복 사업을 펼쳤다. 먼저 시리아 방면으로 진출하여 메기도, 카데쉬 등의 도시국가를 정복하고 팔레스타인에 이집트 군을 진주시켰다. 이후에도 세 차례 가량 시리아 - 레반트 지역을 정복하여 완전히 이집트 영토로 만들었으며, 이러한 투트모세의 위업에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히타이트 등 중동 지역의 왕국이 선물을 보내왔을 정도. 덤으로 비블로스[2]도 이집트의 강역에 편입되면서, 전량 수입으로 충당하던 목재 공급 문제도 해결하였다.

시리아를 완전히 정복한 뒤에는 유프라테스 강을 건너, 당시 최대의 강국이었던 미탄니를 공격하였다. 이는 그의 할아버지인 투트모세 1세가 유프라테스 강에 도달한 이후 처음으로 이집트 인들이 메소포타미아 유역에 진출한 대역사였다.[3] 그 때까지만 해도 미탄니는 투트모세가 시리아를 순방할 줄 알았지 유프라테스 강을 건널 줄은 꿈에도 몰라서 최소한의 군단조차 준비하지 못했고, 투트모세는 별다른 저항도 없이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입성하였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그리고는 할아버지 투트모세 1세가 세운 기념비 옆에 자신의 정복 기념비를 세우고는 시리아를 거쳐 이집트로 돌아왔다. 이 때 시리아에서 코끼리 사냥을 함으로써 자신의 위대함을 증명하였는데, 그 외에도 다양한 동물들을 이집트로 데리고 와 아문의 대신전인 카르나크 신전에 바쳤다. 이 모든 정복 사업이 누구마냥 쩌리 의혹이 있는 게 아니라 진짜다.

말년에는 나일 강 상류의 누비아를 정복하여 나일 강의 네 번째 폭포까지 진출하였는데, 이것이 그의 마지막 정복사업이 되었다. 기원전 1425년 54세를 일기로 그의 영혼은 검은 땅을 떠났으며, 그의 무덤은 선왕들과 같은 왕들의 계곡에 조성되었다.

2 업적심시티

50여개에 달하는 사원들을 지었다고 전해지나, 대부분이 소실되어 전해지지 않는다.[4] 가장 유명한 것은 카르나크 대신전에 바친 탑문과 오벨리스크로, 그 자신의 정복 사업을 대문짝만하게 새겨넣어 만천하에 자신의 위명이 울렸음을 선포함과 동시에 아문-라를 비롯한 이집트의 신들에게 영광을 돌리고 있다.

Thutmose_III_at_Karnak.jpg
투트모세 3세의 정복 부조

오벨리스크는 하트셉수트의 오벨리스크 바로 옆에 세워 한 쌍으로 세우는 오벨리스크의 전통을 충실히 따랐지만, 그 와중에 하트셉수트의 오벨리스크 주변에는 벽을 둘러 잘 안 보이게 해버렸다. 그 업보인지 하트셉수트의 오벨리스크는 지금도 카르나크 대신전에서 멀쩡히 자리보전중이지만, 투트모세의 오벨리스크는 절단되어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히포드로메 광장을 장식하게 되었다. 로마 땅에 서 있는 이집트 정복기념비 테오도시우스 개객기 해봐

Hippodrome_of_Constantinople_Obelisk_3.jpg
이스탄불 히포드로메 광장의 투트모세 3세 오벨리스크.

그의 무덤은 왕가의 계곡 34번째 무덤(KV34)인데 내부 벽화가 정복왕으로 알려진 그의 명성이 무색하게 상당히 수수한 편이다. 벽화 몇 점은 온전히 부조를 새긴 것이 아니라 단순히 그려둔 것에 불과하며, 비문 또한 완전한 신성 문자라기보다는 신성 문자와 신관 문자의 중간 단계에 가깝다. 추가로 그의 미라는 무덤 안이 아니라, 참으로 뜬금없게도 1881년 데이르 엘 바하리 근처의 무덤(DB320)에서 제 18~19왕조의 다른 파라오들과 함께 발굴되었으며 그나마도 도굴꾼들에 의해 많이 훼손된 상태였다.[5] 미이라는 1881년 발견되었지만 무덤은 그것보다 뒤늦은 1894년 프랑스의 빅토르 로레에 의해 발견되었다.[6] 즉, 미이라의 상태를 볼 때 무덤이 이미 도굴되었다는 것은 발견 전에도 기정사실화되었던 것이다. 무덤은 높은 절벽 중턱에 뚫어 놓은 형태였는데 무덤 건설 당시 석공들이 계단을 만들어 굴을 뚫어 만들고 장례가 끝나고 봉인한 후 계단을 제거한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탈탈 털려서 발견 당시 내부는 엄청난 폐허였으며 명성이 높았던 파라오답게 부장품은 극히 일부만 수습되었다. 거기다 후기 왕조 시대에 재사용된 누군가의 미이라가 안장되어 있었다.

3 트리비아

출애굽 전기설 지지자들에게 출애굽 파라오 후보 중 하나로 꼽히는 파라오이기도 하다. 성경의 가나안 지역으로 병력 진출한 것을 인용한 것도 있고, 또 모세를 건져올린 공주가 하트셉수트라는 주장도 있기 때문이라고. 허나 그보다는 그의 아들인 '아멘호테프 2세'가 좀더 꼽히는 전기설의 후보라고 한다. 아멘호테프 2는 진짜 묘하게 가나안 쪽으로 병력을 돌린 기록이 있었고, 그 원정이 그의 마지막 원정이었다고. 거기다가 아멘호테프 2세의 장남인 웨벤세누도 진짜로 일찍 죽어서 결국 그의 차남이자, 투트모세 3세의 손자 투트모세 4세가 죽위한 것도 전기설 지지자들에게 힘을 실어준다고 한다.
  1. 그 외에 하트셉수트의 딸인 네페루라와 결혼하여 장자인 아메넴하트를 두었다는 설도 있으므로, 마냥 계모 하트셉수트를 증오했다고만 보기는 어렵다.
  2. 현재의 레바논
  3. 이 당시 이집트 인들은 나일 강만 보고 살았기에, 나일 강과 반대로 흐르는 메소포타미아 강을 신기하게 여겼다. 그 때문에 투트모세의 칭호 중에는 '역류를 건넌 자' 라는 호칭이 있다.
  4. 그의 장제전은 데이르 엘 바하리로 알려진 하트셉수트 장제전의 바로 옆에 지어졌는데, 지반이 침하되어 그만...
  5. 코는 뭉개져 있고 양쪽 다리는 아예 찢어져서 없는 상태였다.
  6. 여담이지만 이 무덤 다음으로 발견한 무덤이 그의 아들 아멘호테프 2세의 무덤(KV35)이며 역시 빅토르 로레에 의해 발견되었다. 아멘호테프 2세의 무덤에서는 아멘호테프 2세의 미이라를 포함하여 DB320처럼 다른 무덤에서 이장해 온 미이라들이 대거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