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타알릭

틱타알릭
Tiktaalik roseae [1]
Daeschler, Shubin & Jenkins, 2006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육기어강(Sarcopterygii)
미분류스테고케팔리아(Stegocephalia)
†틱타알릭속(Tiktaalik)
T. roseae(모식종)


틱타알릭 모형과 골격 모형

tumblr_lyj6lm8IkV1qbsypgo1_500.jpg
복원도

수중 척추동물과 육상 척추동물의 끊어진 고리를 잇는, 고생물학계의 혁신적인 발견.

틱타알릭은 사지동물과 많은 면에서 유사한, 육기어류에 속하는 데본기 후기의 동물이었다. 2004년 캐나다 누나부트준주의 엘리스머 섬에서 발견되었으며 해당 화석은 잘 보존되어 있었다고 한다. 틱타알릭의 발견자인 닐 슈빈은 이녀석을 발견하고 나서 이에 대해 지은 책인 <내 안의 물고기>를 통해 유명해진다.

잘 발달된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고 이를 통해 어느 정도 물가를 돌아다닌 것도 가능하지 않을까라는 추정도 있다. 현생 육상 척추동물들의 조상격으로 보기도 한다.[2]

800px-Fishapods.png

위의 도표에서 보면 알겠지만, 이미 완전한 육상 사지동물의 형태를 보이고있는 오른쪽의 이크티오스테가아칸토스테가와 같은 원시 양서류들과, 육기어류로서 이미 힘찬 근육이 발달한 사지동물과 유사한 지느러미를 가지고는 있지만 아직은 어류가 분명한 왼쪽의 원시 어류들을 잇는, 그야말로 딱 중간자적인 모습을 보이는 생물로 생물학계에서 가장 유명한 미싱링크로서 언급되는 생물이다.[3] 이 화석의 발견 이전에는 아직까진, 어류에 가까운 양서류나 양서류에 가까운 어류는 있어도 딱 결정적으로 그 중간이라고 지목할만한 생물의 화석은 발견되지 않아 생물학계가 그들 나름대로 꽤나 고심했었으나, 이 생물 화석의 발견으로 생물학계는 환호를 지르고 발광했다. 리처드 도킨스의 저서들을 보면 그 분위기를 잘 알수있다.

어류와 달리 목근육이 발달되어 목을 돌려 주변을 살필수 있었다고 한다. 눈은 머리 위쪽에 위치해 있었기에 땅바닥 밑에서 눈만 내밀고 먹잇감을 감지, 급속도로 덮치는 사냥방식을 이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담으로, 현재 이분들 때문에 관련 포스팅이 시끌시끌 하다고 한다.
  1. 속명인 틱타알릭은 이누이트어로 대구목 어류인 버봇(Burbot, Lota lota)을 의미한다.
  2. 확실한 직계조상이란 뜻이 아니다.
  3. 하지만 데본기 후반에 나타난 어류라 미싱링크까지는 아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