팟인코더

1 개요

다음에서 제작한 동영상 인코딩 프로그램으로, 처음 나왔을 때만 해도 반응은 신통치 않았다. 각종 버그들이 많았고 인코더의 성능 또한 뛰어나지 않았기 때문. 하지만 프로그래머의 꾸준한 갈림노력으로 곰인코더랑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인코더였다. 하지만, 3년이 넘는 동안 업데이트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타 인코더와 비교했을때 장점이 점점 사라져 가고 있는 상황이다. 다음이라는 거대 포털 이름빨로 먹고 사는 인코더

업데이트 중지는 디디오넷과의 특허권 분쟁이 주 원인이다. 아래 문단 참조.

2 장점

일단 무료인 것이 큰 장점이다.[1] 또한 2011년 3월에 엔비디아 CUDA 기술을 지원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엔비디아 그래픽카드를 장착한 컴퓨터에서 인코딩하면 속도가 1.2배 이상 향상된다[2]만, 인코딩 세부 설정을 건들 수 없어서 CABAC를 사용할 수 없고, 프로파일은 무조건 Baseline@3.1이다.[3]

곰인코더보다 h.264 코덱 설정을 좀 더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가 적절하고 어려운 용어 사용도 적어서 초보가 사용하기 좋다. 인코딩 관련 용어를 전혀 몰라도 어느 정도는 사용할 수 있다.

동영상의 오디오를 MP3로 추출할수도 있다. 영상 파일을 MP3로 바꾸는 목적으로는 쓸만하다.

3 단점

안타까운 점은 당최 뭘 작업하는진 몰라도 하드디스크 읽기·쓰기 작업을 지나치게 많이 한다는 것인데, 팟인코더 2개 이상을 돌려보면 팟인코더끼리 서로 친목질병목현상을 일으켜 (...) 인코딩이 진행되지 않는 현상까지 벌어진다. 이유는 불명.

h264 인코딩 시 메모리를 엄청나게 잡아먹는다. 고해상도로 갈수록 기하급수라는 말을 떠올리게 해 주는 위대함을 보여준다. 한편 h264 기본 세팅은 속도에 치중하고 있어 화질이 떨어진다는 평판도 있다.

저작권 문제 때문인지 DTS 인코딩 지원을 중단하였다. 그래서 중단하기 바로 이전 버전을 찾는 수요가 많다. 검색만 하면 바로 나온다.

편집 기능에도 문제가 있는데, Xvid로 인코딩시 초반 화면이 멈춘 상태에서 소리만 몇 초간 재생되는 버그가 있고, 타임라인의 표시를 움직여서 지정한 뒤 스크롤을 하면 해당 시간대에 있는게 아니라 말 그대로 화면상에 그대로 있는, 그러니까 스크롤을 따라가게 되어 결과적으로 엉뚱한 시간대에 있게 된다. 타임라인 크기를 확대,축소해도 마찬가지. 그리고 프로그램 오류로 인한 종료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팟인코더로 편집을 하는 사람이 드물어서 그런지(...) 해당 버그들이 수정이 안 되고 있다.

게다가 업데이트가 사실상 멈춰있다보니, 10bit 영상물을 불러올 수도 없으며[4],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또한 구식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인코더로서의 품질이 매우 좋지 않다. 굳이 초보자가 인코딩을 할 필요가 있다면, 차라리 샤나인코더 쪽을 쓰는 게 낫다. 샤나인코더는 ass까지 인코딩 가능하니 참고할 것.[5]

윈도우7 이상의 컴퓨터에서 팟인코더를 설치하고 사용자 폴더에 포함되어 있는 폴더에 인코딩을 하면 그 폴더가 영어로 변경된다. 이게 싫다면 설치하지 않는 것이 좋다.

4 이야깃거리

카카오가 관련 특허 분쟁에서 승소하였다. 디디오넷 문서 참조. 이에 따라 2013년 1월부터 중단되어 있던 업데이트가 조만간 정상화될 것이라는 공지가 올라왔다.(#)

하지만 전혀 업데이트가 되지 않다가 2015년 1월 7일에 Kakao의 승소 기사가 나왔다. # 위에서 서술한 특허권 분쟁이 끝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2016년 1월 현재까지 버전은 상기 중단된 2013년 1월 업데이트를 마지막으로 그대로다.

업데이트 여부에 대해 문의한 결과 비공식적으로 개발중단 상태라는 답변을 들었다.

5 관련 사이트

  1. 곰인코더무료 체험이 있지만, 5분 후 워터마크 로고가 삽입된다.
  2. CUDA는 지포스 8000 계열 이상에서만 지원하며, 그래픽카드의 사양에 따라 인코딩 속도의 차이가 있다.
  3. 인코딩을 조금이라도 해 봤으면 알겠지만, Baseline Profile는 모바일용으로 주로 사용한다.
  4. 인코딩은 되는데 색이 이상하게 변한다.
  5. 정확히 얘기하면 팟인코더도 ass자막을 인코딩 하는것이 가능은 하다. 하지만 ass자막에 있는 효과들이 버벅이거나, 거의 다 무시해버리니 말 그대로 인코딩만 가능하지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