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sensor size 2.jpg
작은 순서대로 아이폰 3GS(1/4") - 아이폰5(1/3.2") - 캐논 S110(1/1.7") - 후지 X10(2/3") -
- 퓨어뷰 808(1/1.2") - 소니 RX100(1") - 올림푸스 E-M5(M4/3) - 캐논 G1X(1.5") - 소니 NEX-7(APS-C)
Sensor Size
판형
디지털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센서의 여러 가지 크기에 대해 다룬다.
목차
1 6x4.5 (645)
56x41.5mm. 일반 소비자를 상대로 하는 양산 제품으로 한정한다면, 가장 큰 디지털 판형이다.
1.1 6x4.5
56x41.5mm를 꽉 채운, 명실상부한 645 풀프레임 제품은 핫셀블라드 H5X와 페이즈원의 XF 카메라 시스템 정도뿐이다. [1]
센서 수율이 영 좋지 않은지 몇mm씩 깨작깨작 잘라먹은 모델이 많다(...) 소수점 세 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해 1.04크롭이 되는 놈들까지 풀프레임급으로 쳐 주면 리스트는 다음과 같이 늘어난다.
- 53.9x40.4mm (1.03) : 페이즈원 P65+, IQ260, IQ160, 리프 Credo60
- 53.7x40.4~40.2mm (1.04) : 페이즈원 IQ280, IQ180, 핫셀블라드 H5D-60, 리프 Credo80, Aptus12
좀 더 잘라먹었다가 1.05크롭이 된 리프 Aptus10(56x36mm)은... 좀 애매하지만 여기 끼워 주자.
1.2 1.15크롭급 (48x36mm급)
36x24mm 센서 두 장을 붙이면 48x36mm가 되기 때문에[2], 1.14~1.16크롭이라는 애매한(?) 크롭팩터를 갖는 모델도 꽤 많다.
- 49.1x36.8~36.7mm (1.14) : 페이즈원 P45+, 핫셀블라드 H5D-50
- 48x36mm (1.16) : 리프 Aptus7, Aptus5, 마미야 ZD
1.3 1.3크롭급 (44x33mm급)
44x33mm나 그보다 작은 센서들. 주로 엔트리급이다.
- 44x33mm (1.27) : 페이즈원 IQ250, IQ150, 리프 Aptus8, 펜탁스 645Z, 645D, 핫셀블라드 X1D-50c
- 43.9x32.9mm (1.27) : 페이즈원 P40+, IQ140, 핫셀블라드 H5D-50c, H5D-40[3], 리프 Credo40
44x33mm 깎으려다가 손이 미끄러지면 이걸 만드나 보다. - 45x30mm (1.29) : 라이카 S2[4]
6x4.5 판형 기준 1.61크롭이면 그 대각선 길이는 35mm 필름과 거의 같아진다. 어디 가서 중형 카메라라고 명함이라도 내밀고 다니려면 적어도 44x33mm급 센서는 붙이고 다녀야 한다는 이야기.
2 35mm ~ APS-C
35mm 필름을 사용한 필름 카메라에 기반을 둔 DSLR과 DRF에서 사용하는 판형이다.
'풀프레임용' 렌즈를 끼웠을 때 화각이 어떻게 나오는지 알기 쉽게 환산비율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필름 카메라에 기반을 둔 DSLR과 DRF를 제조하던 회사가 만든 미러리스도 이 판형을 따라가는 경우가 많다.
2.1 35mm
36x24mm, 35mm 필름 참고.
2.2 APS-H급
1.3크롭 등으로 불리며, 변태크롭이라는 별칭이 있다.
28.7x19.1mm~27.6x18.4mm의 크기이며, 실측 1.26~1.30배의 환산비율을 가진다.
APS는 원래 필름규격으로, 디지털에서의 APS-H나 APS-C는 필름의 그것과는 큰 연관이 없다. 필름의 APS-H는 16:9의 종횡비이나 디지털의 APS-H는 35mm 필름과 같은 3:2 종횡비.
기자용 고속연사 모델인 캐논 1D에서 사용된 것이 최초이며, 일반적으로 크롭바디라 불리우는 APS-C급에 비하면 접하기 어렵다. 2009년 말에 발표되었던 EOS 1D mk4 이후로 이 판형의 DSLR은 출시되지 않고 있다. 시그마의 미러리스인 SD Quattro H에 26.6x17.9mm(1.34x)의 APS-H급 센서가 적용되었다.
2.3 APS-C급
크게 니콘/소니/펜탁스, 캐논, 시그마의 3가지 크기가 존재한다.
각각 1.5, 1.6, 1.7크롭으로 불리운다.
1.5크롭 : 23.7x15.7~23.3x15.5mm 사이의 크기이다.
일반적인 APS-C급 디지털로, 실측 1.52~1.54배의 환산비율을 가진다. 대부분 1.50x의 환산비율을 적용하여 계산하나, 삼성이나 펜탁스, 후지 같은 경우 1.53~1.54x를 공칭 환산비율로 사용한다.[5]
1.6크롭 : 캐논의 1.6크롭 센서는 22.7x15.1mm~22.2x14.8mm 사이의 크기를 가지며, 실측 크롭팩터는 1.59~1.62배이다.
후지필름과 코닥 일부 구기종의 센서 크기도 이에 해당된다.
1.7크롭 : 시그마의 독자적인 크기이며, 20.7x13.8mm이다. 실측 크롭팩터는 1.74배.
2.4 애매한 놈들(...)
소니 DSC-R1 : 21.5x14.4mm (약 1.67크롭) 후속모델이 없어서 단발성으로 끝났다.
1.5" : 1.5인치 센서는 캐논의 하이엔드 카메라인 파워샷 G1X 시리즈의 독자적인 포맷으로, 18.7x14mm이며 환산비율은 약 1.85크롭이다. 1.5라는 숫자가 1.5크롭 APS-C와 혼동되기도 한다. G1X 시리즈는 markⅡ까지 이어지고 있으므로 라인업은 당분간 유지될 것 같다.
3 4/3" (포서드) ~ 1"
필름 카메라에 기반을 두지도 않았고, 1세대 하이엔드 카메라의 2/3" 센서보다 큰 센서를 채용한 판형이다.
렌즈 교환식 카메라에도, LX100 등의 일부 하이엔드 카메라에도 쓰인다.
3.1 참고 : 비디콘 튜브
파일:Attachment/판형/디지털/vidicon.png
인치 방식으로 표기되는 센서는 대부분 비디콘 튜브 규격을 쓴다. 비디콘 튜브는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사용된 TV용 비디오 카메라의 규격이며 그 원리에 대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지만, 비디콘 튜브에 들어가는 센서의 대각선 길이는 비디콘 튜브의 직경의 2/3이었다고 한다.
디지털 카메라의 센서는 비디콘과는 개뿔 관계가 없지만(...) 이런 식으로 표기하는 관행이 남아서 1"라고 표기된 센서의 대각선 길이는 1인치(25.04mm)가 아닌 2/3인치(16.69mm)정도가 되며, 실제로는 이보다 좀 더 작은 15.86mm짜리 센서가 1"랍시고 박혀 있다. 상대적으로 큰 판형에서 이러한 세일(?)이 심해서, 4/3"에서 1/2"까지는 비디콘 직경에 x0.63~0.65를 해야 실제로 박힌 센서의 대각선 길이가 나온다.
# (Video Camera Tube)
# (Optical Format)
3.2 4/3"
4/3" : 17.3x13.0mm, 대각선 21.64mm.
포서드와 마이크로 포서드의 판형이다.
필름 카메라에 기반을 두지 않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크롭팩터를 사용할 이유가 없...어 보이는데[6], 실제로는 온갖 렌즈를 이종교배해서 쓰고 있으며 화각을 이야기할 때는 135포맷의 환산화각을 이용하면 편하다. 계산해 보면 2.0의 크롭팩터가 나온다.
우연인지 의도한 바인지는 모르나, 110 필름의 판형 크기(13×17mm)와 거의 같다.
게시판에 '포서드는 2배크롭인가요?'라고 물어보면 리플이 아주 많이 달린다 카더라.
3.3 2.6크롭
13.8x9.2mm.
코닥의 극초기 DSLR들에 사용되었다. 지금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며, 그에 근사하는 1" 센서가 나왔다.
필름 카메라에 기반을 둔 판형이지만 너무 작아서 여기로 들어와 버렸다.
3.4 1"
13.2x8.8mm.
환산은 2.7배. 렌즈교환식으로는 미러리스 시스템들인 니콘 1(니콘 CX포맷)과 NX-M 마운트에 채용되었다.
또한 소니의 RX시리즈, 파나소닉의 FZ1000, 캐논의 파워샷 G7 X 등 하이엔드 컴팩트 기종들에 많이 채용되고 있다. 가히 이전의 2/3"급의 인기.
4 컴팩트 카메라
인치 방식으로 센서 크기를 나타내는 표기법은 비디콘 튜브 규격을 쓴다. 위의 내용 참고.
같은 인치수로 표기된 센서를 채용했더라도 모델에 따라 센서 크기가 오락가락할 수 있으므로, 각 모델의 정확한 센서 크기는 직접 확인할 필요가 있다.
4.1 2/3"
8.8x6.6mm 상당. 크롭팩터는 약 3.93.
구형 하이엔드 카메라 기종들의 판형이었으며, 컴팩트로 분류될 수 있는 제품군들 중에서 가장 큰 판형이다. 현재는 대대수의 회사들이 사용하지 않는 판형. 단 후지필름은 하이엔드 카메라에 1/1.7" 대신 이 판형을 사용하고 있고, 카메라폰으로 유명한 노키아의 Lumia 1020의 카메라 센서도 이 크기를 가지고 있다.
4.2 1/1.7"
7.6x5.7mm 상당. 크롭팩터는 약 4.55.
2010년 중반을 기준으로, 시판되는 대부분의 고사양 컴팩트 카메라들이 이 판형이며, 1/1.8"와 더불어 2000년대 초반부터 고급형 컴팩트 카메라의 판형으로 인식되고 있는 크기. 특이하게 렌즈교환식인 Pentax Q에서도 사용된다.
4.3 1/2"
6.4x4.8mm 상당. 크롭팩터는 약 5.41.
과거에는 하이엔드 카메라의 판형으로 사용했던 판형이지만 지금은 후지필름 정도만 사용하고 있다. 아래의 1/2.33"과 큰 차이는 없다.
4.4 1/2.3"
6.16x4.62mm 상당. 크롭팩터는 약 5.62.
2008년 전후로 사용되기 시작한, 컴팩트카메라용으로는 가장 작은 센서 중 하나. 대부분의 소형 컴팩트와 고배율줌 기종들이 이 판형을 사용한다.
Pentax Q의 판형이기도 하다.
한편 휴대폰 제조사들이 카메라 특화폰을 만들 때 이 규격의 센서를 사용하기도 한다. 대표적인 게 엑스페리아 Z1과 갤럭시 S4 줌.
4.5 1/2.5"
5.76x4.29mm 상당. 크롭팩터는 약 6.02.
1/2.3" 판형이 출현하기 전 대부분의 컴팩트카메라는 이 판형을 사용했다.
아래 규격까지 포함하여, 이 크기 이하의 규격은 현재의 컴팩트 카메라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7]
이 판형 이하로는 폰카에서 많이 사용된다.
4.6 1/2.7"
5.37x4.04mm 상당. 크롭팩터는 약 6.44.
2000년대 초기, 디카붐이 불기 시작했을 때의 200만화소, 300만화소급 초창기 디지털 카메라들은 이 규격의 센서를 가지고 있었다.
4.7 1/3"
4.8x3.6mm 상당. 크롭팩터는 약 7.21.
아래의 1/3.2"와 큰 차이는 없으며, 2013년 기준으로 최신의 스마트폰인 아이폰 5s, 갤럭시 S4, hTC ONE 등의 카메라에 사용하는 판형이다.
4.8 1/3.2"
4.54x3.42mm 상당. 크롭팩터는 약 7.61.
위에서 설명된 1/2.7과 비슷한 시기에 혼용되던 크기의 센서. 화소 집적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화소수는 비슷하게 두고 센서 크기를 줄여 원가를 절감한다는 방식이었다. [8] 최근에는 중고가 스마트폰용 카메라의 판형으로 사용하고 있다. 일례로 아이폰 5와 갤럭시 S III의 카메라 센서가 이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4.9 1/4"
이 급 크기에 해당되는 센서 중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3.2x2.4mm 상당. 크롭펙터는 약 10.81. 엄밀히 말해서는 1/4.5"라고 불러야 한다
굉장히 작아 디카용으로는 초창기부터 지금까지도 쓰지 않고, 폰카/태블릿용으로만 쓴다. 피처폰용 카메라에도 많이 썼던 규격이고, 아이폰 3GS의 카메라 센서도 이 정도 크기를 지원했다. 2013년 기준으로 삼성전자 센서중 500만 화소를 지원하는 센서가 이 정도 크기를 가진다.
이외에 더 작은 판형 규격으로 1/6", 1/8" 등이 있지만 화상통화용 전면카메라, 펜에 들어가는 몰카용 등으로 용도가 제한되어 있다.
- ↑ 허나 이미 몇세대부터 CCD버전 풀프레임은 존재해왔다. 나온지 오래된 P45+같은것도 풀프레임. 핫셀블라드와 페이즈원이 유일하게 풀프레임 카메라를 만든다고 보면 된다.
- ↑ 마미야 ZD의 달사 센서는 이렇게 제작되었다 카더라.
- ↑ 핫셀블라드 모델은 43.8x32.9mm
- ↑ 참고로 라이카의 45x30mm만 화면비가 3:2다. 6x4.5판형의 크롭이라기보다는 35mm 판형의 확장판으로 이해할 수 있겠...으나 3000만원짜리 바디에 요만한 센서를 심다니 무슨 짓이냐 라이카! (M시리즈 디지털 카메라를 발매할 때 1.33크롭 M8로 시작해 풀프레임 M9로 온 것처럼, S2를 1.29크롭으로 시작해 후속 모델에서 풀프레임급으로 갈 수 있다. 참고로 57.99x38.66mm정도면 화면비 3:2로 6x4.5판형과 거의 유사한 대각선 길이를 맞출 수 있다.)
- ↑ 소니가 니콘과 펜탁스에다가 센서를 팔고 있다. 2013년 이후 니콘은 생산 사정에 따라 도시바쪽 센서를 쓰기도 하는 데 소니 공장제 센서와 비슷하거나 좀더 우위를 차지할정도...
- ↑ 필름 카메라용 렌즈를 APS-C급 DSLR에 끼우면 잘려나가는 영역이 있으니 1.5배 크롭이니 하는 것인데, 포서드와 마이크로 포서드는 마운트를 공유하는 필름 카메라가 없다.
- ↑ 고화소 집적의 한계. 너무 작은 크기의 센서에 억지로 화소만 높이다 보면 노이즈를 버틸 수가 없다.
- ↑ 같은 시기에 1/2.5"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센서는 400만 화소급의 고급 모델로 판매되곤 했다. 디카란 것이, 일반적으로 같은 크기의 판형에 비슷한 시기의 기술이라면 화질 또한 엇비슷하다. 해서 1/2.5" 400만화소가 1/2.7" 200만화소에 비할 때 해상도를 제한 색감이나 화질에서는 크게 나아진 것이 없었다. 이쯤해서 화소는 화질과 무관하다는 개념이 일반화되기 시작했다. (그렇지만 화소수는 아직 훌륭한 마케팅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