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게이머 연습생

1 개요

프로게이머가 되기 전의 단계이며, 정식 프로게이머가 되기 위해 지나가는 일종의 과정. 하지만 준프로게이머라기보단 프로게임단에서 가능성을 보고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을 통해 선발하여 연습하는 선수라고 보는 게 더 알맞겠다. 또한 치열한 커리지매치와 준프로평가전을 거쳐 프로게임단 드래프트에 뽑힌 신참급 프로게이머들도 대부분 이 생활을 한다.

초창기 때에는 그 실태가 거의 알려지지 않았지만 전 프로게이머들과 프로게임단 연습생 출신들의 증언 및 관련 이야기가 속속 나오면서 이제는 공공연한 사실이 된 항목이다.

2 상세

2.1 현실은 시궁창

몇몇 방송에 출연하는 극소수 프로게이머를 보고서는 프로게이머라는 직업이 인기도 있고 좋아하는 게임을 하면서 돈도 많이 벌 수 있는 직업이라 만만히 생각하고 있는 학교를 중퇴한 중고등학생들로 이루어진다(물론 정말로 프로게이머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도 없는 건 아니지만 대부분은 그냥 '게임을 하면서 돈을 벌 수 있다'는 말에 혹해서 된다). 그렇지만 현실은 시궁창이다.

일단 온라인 연습생과 숙소 연습생으로 나뉘는데 온라인 연습생의 경우는 큰 메리트는 없다. 실력을 키워 숙소 연습생들과 내부를 통해 로테이션되는 게 온라인 연습생들의 1차 미션이라고 할 수 있겠다. 팀 연습생이 되면 한 소속사에 소속되고, 문자 그대로 일어나서 밥 먹고 잘 때까지 게임만 하는 생활을 한다. 얼핏보면 좋을 것 같지만 게임을 하고 싶을 때 하는 것과 하기 싫어도 해야 하는 것의 차이는 매우 엄청나다. 쉬는 시간도 거의 없다시피하며 심지어 휴일날이나 명절 때에도 특별한 일이 없으면 연습만 한다. 거기다가 하루종일 키보드마우스만 쥐고 있으면 손목부상의 위험이 매우 크며[1] 장시간 연습에 따른 정신적 피로와 시력 저하 또한 무시할 수 없다. 싱글플레이 스커미시나 유즈맵 등으로 컨트롤 연습을 하고 연습생들끼리 네트워크 대련도 한다. 이 모든 것들이 하루 스케쥴에 포함되는 것들이다. 가히 게임하는 기계로 키워지는 것이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프로게임단들은 이런 살인적인 스케쥴을 소화하는 대가로 숙식만 제공을 해주거나 용돈 형식으로 해서 30~50만원 정도의 지원금만 준다고 한다.

한 방송사에서 프로게이머 연습생들이 연습하는 연습실을 찾아가 인터뷰했던 적이 있다. 인터뷰에 의하면 이런 환경에서도 진짜 프로게이머가 되어 나오는 사람은(1군 로스터에 포함되고 방송에 나오는 선수) 극소수고 대부분은 중간에 그만둔다고 한다. 이것도 역시 쉬운 일은 아니라는 것. 차라리 쉬운 일을 찾는다면 인터넷 개인 방송 BJ 별창녀가 더 적합하다. 꼭 유명 BJ(대도서관 같은 유명인들은 거의 준 연예인급으로 떠올랐다 광고도 찍기도 하고) 가 아니더라도(이런 자들은 억대 수입도 나오지만) 요즘엔 일반인들도 다양한 컨텐츠(먹방이나 게임 등)로 도전하고 있다 [2]

하이트 소속 프로게이머(이거나 연습생)의 숙소가 서울시 종로구의 모처에 있는데, 보면 한 3~4인이 가정용으로 살면 딱 좋은 건물에서 10여명 이상이 산다. 또 저녁 10시 이전엔 그들이 밖으로 나오는 걸 거의 볼 수 없다.

초창기만 해도 상당히 적었지만 매주 열리는 커리지매치(준프로자격증 획득 공인대회), 프로게임단의 많은 선발로 인해 그 인원이 상당히 많아져 연습생 메리트가 상당히 줄었다. 애초에 이런 대접을 하는 것 자체가 '너 짤라도 뽑을 인간들 많음' 이라는 프로게임단 관계자들의 마인드를 가감없이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프로게이머 연습생(궁극적으론 프로게이머)이 되고 싶은 청소년들을 모아서 숙소를 만들어 돈을 받고 게임을 가르쳐 주는 곳도 우후죽순 생기기도 했다(물론 숙식도 하지만 보통 한달의 45~50만원의 큰돈이 들어간다). 또한 명문 클랜들은 따로 숙소를 마련해서 이 곳에서 합숙하며 전문적인 프로게임 능력을 다지고 클랜 내의 우수 인력을 프로게임단으로 배출하기도 한다. 그렇게 나온 게이머들은 클랜명과 자신의 아이디를 달고 클랜의 명예를 드높히기도 한다.

이런 연습생들이 정말 얼마 없는 기회인 개인리그 예선을 통과하거나 WCG 국가대표가 되거나 한다면 그야말로 이들에겐 엄청난 명예가 되고 주전으로서도 한층 가까워지는 계기가 된다. 오늘도 주전이 되기 위해 그리고 연습생 신화를 위해 불철주야 모니터 앞에서 연습에 매진하는 이들에게 많은 관심과 경의를 보내주자.

그나마도 재능이 받쳐주지 못하면 견디지 못한다. 일단 컨트롤이 빨라야 하는데 손이 느려서 그게 불가능한 사람은 애초에 프로게이머가 될 생각을 버려야 한다. 괜히 손이 느린 사람이 프로게이머 연습생이 되었다가 중간에 그만두거나 평생을 연습생으로 살아가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손이 느리더라도 정확명료한 컨트롤로 게임을 잘 하는 경우도 있으니 이에 재능이 있으면 낙담하지 말고 도전이라는 문을 두들여보자. 대표적인 손이 느린 프로게이머로는 진영화가 있다.[3]

2.2 스타크래프트 몰락 이후

2011년 ~ 2012년경, 스타크래프트의 몰락과 리그의 해체, 그리고 스타크래프트 2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과정에서 스타크래프트 연습생들은 수가 많이 줄었다. 심지어 높으신 분들도 위기감을 느끼고 연습생들을 모셔갈려고 힘을 썼었다. 그러나, 리그 오브 레전드의 등장으로 인해 리그 오브 레전드 쪽에 많은 프로게이머 지망생이 생기며, 스타크래프트 2에서는 연습생을 구하기 힘이 들어 문제고,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는 인력이 넘쳐나면서, 오히려 대리랭크 관련한 폐단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그나마도 알짜배기 유망주들은 중국 등 해외로 빠져나가면서 질적인 하락도 일어나기 시작했다.
  1. 수근관 증후군의 원인으로 꼽힌다.
  2. 전 스타크래프트1 프로게이머 출신의 한 선수가 개인 방송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1군 상대로 약 30% 정도의 승률 즉 10판해서 3판 정도만 따낸다면 1군 진입도 가능하다고 하는데, 이게 언뜻 보면 그리 어려워 보이지 않을 수 있겠지만 해당 선수는 그걸 계란으로 바위치는 것에 비유했을 정도로 힘든 일이라 표현했다.
  3. apm이 거의 200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아니면 250이 넘는 경우도 있다고 하나 여기서 더 웃긴건 200밑으로도 떨어진다고 한다. 하지만 손이 느릴 뿐이지 정확도 만큼은 손에 꼽힐 정도로 뛰어나서 프로토스의 특성을 더해 뛰어난 정확도로 게임을 잘 하는 경우가 진영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