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가쿠레

1 일본의 고서

葉隠(はがくれ). 또는 葉可久礼라고도 쓴다. 사무라이와 무사도를 말할 때 빠질 수 없는 서적이다. 총 11권으로 구성되었으며 저자는 에도 시대의 하급 사무라이인 야마모토 츠네토모[1] 이다.

하가쿠레는 삶이나 사무라이로서의 마음가짐에 대해서 기술되어있으며 무사도는 죽는 것이라고 보았다(武士道と云ふは死ぬ事と見付けたり)는 문구로 유명하다. 에도 시대의 유교의 영향을 받은 사무라이에 대해서 비평적이기 때문에 겐로쿠 아코 사건에 대해서도 바로 행동에 옮기지 않은 점이나 주군의 원수를 갚은 다음에 바로 할복하지 않은 것을 떳떳하지 못하다고 기록했다. 즉, 이론 중심의 무사도보다 행동 중심의 무사도를 강조한 셈이다.

그러나 에도 막부나 다이묘들은 이러한 사고방식을 실제로 행동으로 옮길 경우 사적인 결투나 복수가 횡행할 것을 우려하여 하가쿠레를 좋지 않게 여겼고 대부분의 사무라이들은 자발적으로 분서처분했다. 하가쿠레는 주자학자(성리학자)들에게도 비평을 받았는데 그건 하가쿠레에서 강조하는 무사도라는 개념은 센고쿠 시대에서도 적용되지 않은 것이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전쟁이 없는 시대의 직업군인이 전쟁터에서의 마음가짐을 망상하여 쓴 애매한 책이었던 것. 17대 일본 총리였던 오쿠마 시게노부도 "낡아빠진 생각"이라고 비판했다. 이런 점에서는 세르반테스의 작품 <돈키호테>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 물론 하가쿠레는 낡아빠진 무사도를 주장하는 책이고, 돈키호테는 그 낡아빠진 기사도를 비판하는 책이지만.[2]

하지만 평화에 질리고 막부의 사무라이 홀대[3]에 지친 소수의 과격한 사무라이들은 하가쿠레를 애독했고 그들이 남긴 사본에 의해서 그 내용이 후세에 전해지게 된다. 그래서 얻은 별명이 <나베시마[4] 논어>.

하가쿠레가 재평가를 받게 된 것은 일본이 후에 군국주의에 물들었기 때문이며 생명의 가치를 존중하지 않는 군국주의 국가에서 국가에 절대적으로 충성하며 스스로의 몸을 아끼지 않는 병사는 매우 쓸모가 있기 때문에 정신교육의 교재로 하가쿠레를 퍼트렸고 실제로도 미시마 유키오같은 극우나 군국주의자들에 의해서 애독되었고, 애독되고 있다. 그들은 "무사도=죽음"이라는 해석을 했기에, 반자이 어택을 무사도 정신이라고 미화가 가능했던 것이었다.

전후에는 군국주의의 상징으로 기피되었지만 쇼와 말기에서 헤이세이경부터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제로도 11권 중에는 할복을 비롯한 죽음이나 폭력에 대한 미화를 제외하고도 저자의 이런 저런 이야기가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이 재평가 된 것. 그렇기에 현대에는 처세술 서적이나 비즈니스 서적으로도 읽히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저 유명한 "무사도는 죽는 것이라고 보았다."라는 문장의 경우, 츠네토모가 본디 생명을 중요하게 생각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기존의 "무사도=죽음"이라는 해석을 부정하고, "기본적으로 생명을 중시해야 하지만, 무사에게는 올바르게 사는 것 이외에도 올바르게 죽는 것도 필요할 수 있다. 무사가 '죽음'이라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을 때, 그의 대처법에서 무사도가 드러나는 법이다."라는 해석이 나왔다.[5]또는, 정말 죽으라는 이야기가 아니라, "무슨 일이던지 죽을 각오로 임해야한다" 또는 "하루하루를 허투로 보내지 말고 언제나 죽음을 눈앞에 두고 있다고 생각하면서 삶에 대해 감사하고 진지하게 임해야 한다"라는 해석도 있다. 사실 이런 서적의 성격상 해석이 다양하게 나올 수밖에 없다.

제목인 하가쿠레는 '잎'을 뜻하는 '하'와, '숨다'의 명사형인 '가쿠레(숨음)'의 합성어이다. 이 제목의 유래에 대해서도, "무사는 그림자처럼 숨어 주군을 받들라."라는 의미에서 지었다던가, 헤이안 시대의 와카집 <산가집(山家集)>에서 유래했다는 설, 츠네토모가 '하가쿠레'라고 이름 붙인 감나무를 키워서 이런 제목을 붙였다는 등 여러가지 설이 있다.

2 인명

  1. 山本常朝. 생몰년도는 1659년 7월 30일 ~ 1719년 11월 21일. 사가번(佐賀藩) 출신. 42세 때 출가한 이후에는 '常朝'를 훈독이 아닌 음독으로 바꾸어 '야마모토 조초'라고 하였다.
  2. 사실 돈키호테도 기사도로 대표 되는 구시대의 가치관을 조롱하기는 하지만 주로 돈키호테가 가끔 맨정신으로 하는 얘기들을 통해 이에 대한 낭만적인 향수와 점점 사라져가는 가치관에 대한 연민 또한 강한 작품이며, 기사도 가치관을 때로 긍정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 등 복합적인 해석이 더 많다
  3. 당장 막부의 통치자인 쇼군부터 사무라이지만 에도시대는 사무라이에게 까다롭고 힘든 시대였다. 사무라이는 개인적인 직업을 가질 수 없기 때문에 수입이 녹봉으로 제한되는데 녹은 모두 쌀로 지급되었고 이것을 돈으로 바꾸어 살림을 꾸렸다. 그러나 상인들이 사무라이가 급료를 받는 시기에 맞춰서 쌀 값을 조정하였기 때문에 그들이 실제로 갖게 되는 수입은 명목의 7할 정도였다. 또한 지방세력이 힘을 키워 다시 한 번 전국시대가 되는 것을 우려한 막부는 사무라이나 다이묘의 힘을 깎는데 열심이었던 것도 한 몫했다.
  4. 鍋島. 사가번은 나베시마씨의 영지였다.
  5. 죽음을 두려워해서 비겁한 선택을 하면 안된다는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