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사전)

(한자사전에서 넘어옴)

1 개요

자전(字典), 혹은 한자사전(漢字辭典)은 개개의 한자를 설명하기 위해 제작된 사전이다.

흔히 옥편(玉篇)으로 알려져 있으나, 원래 옥편은 543년에 중국 양나라의 고야왕[1]이 편찬한 자전인데[2], 이게 너무나도 유명해서인지(…) 자전이라는 말보다 옥편이라는 말을 많이 쓴다. 그래서 '자전' 하면 몰라도 '옥편' 하면 알아듣는 사람이 부지기수. 일본에서는 한화사전(漢和辞典)이라고 한다.

사실 자전(字典)이란 명칭도 청나라 강희제 때 편찬된 강희자전에서 비롯된 명칭이다. 그 전까지만 해도 주로 자서(字書)라고 불렀고, 자전은 곧 강희자전을 가리키는 고유명사였다. 강희자전이 한자사전의 대명사가 되면서부터 그 뒤에 나오는 한자사전들은 죄다 'OO자전'이란 명칭을 붙여 나오게 되면서 자전은 보통명칭이 되었다.

1.1 사용법

한자는 그 특성상 부호 자체가 무궁무진하므로 문자 순서대로의 정렬이 불가능하다. 그래서 자전은 의미의 기본이 되는 부수를 대신 사용하고 부수를 제외한 획수와 모양을 통해 찾게 된다. 이 글자의 부수가 뭔지 모르는 경우를 대비하여 자전에는 총획수를 통해서 찾거나[3] 본문과는 별개의 페이지에서 음가별로 모아놓는 방식을 제공하지만... 그래도 찾긴 힘들다. 최근 포털 사이트들이 제공하는 한자 사전에서는 필기 인식 기능이 제공되어 종이 옥편보다 찾기가 훨씬 편해졌다.

1.2 본래 사용 이외의 사용

대부분의 자전은 해당 사항이 없겠지만 가끔씩 독특한 것들이 들어간 자전들이 있다. 위키러들의 자전 중 하나에는 역대 중국 왕들의 계보도와 (쓸데없이 하나라부터 청나라까지 중간 오호십육국과 춘추전국시대 오대십국 등 분열기까지 다 설명되어 있다.[4]) 한나라, 당나라, 송나라, 명나라, 청나라와의 관직 비교, 지도까지 나와있어 자전은 때에 따라 한자사전이 아니라 중국사사전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물론 이 자전을 사용할 경우

이런 백괴스럽고 괴랄한 자전이 아니라 하더라도 컵라면이나 라면을 먹을 때 유용하게 쓰인다. 라면 받침대라거나 컵라면 뚜껑이 올라오지 않게 하는 용도로. 생활의 지혜

1.3 낡은 훈풀이

현대어 기준으로 한자사전의 훈풀이가 낡은 편이다. 이를테면 가로 왈(曰)[5], 선거 병(浜)[6], 지게 호(戶)[7] 등이 이런데, 상당수가 사어(死語)로 된 뜻풀이이다. 이는 한자의 훈이 보수성을 가지기 때문. 한자의 훈은 언어의 변화에 매우 뒤늦게 따라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덕분에 고어(古語) 연구에 종종 활용된다. 이때문에 뜻을 알아먹기 힘들 때가 있지만 그렇게까지 큰 문제는 없다. 오히려 옛날 고유어가 이거야? 하며 신기해하는 경우도 있다. 山의 뜻은 뫼라고 되어 있는 게 대표적. (뫼는 옛날에 쓰이던 고유어이다.)

1.4 트리비아

玉자가 얼핏 보면 헷갈리는 것을 이용한 말장난 하나. 어느날 삼형제의 아버지가 자식들의 한자 실력을 알아 보기 위해서 월화수목금토일(月火水木金土日)을 한자로 써 놓고 읽게 했다. 첫째가 월화수목토일[8]이라고 읽었고, 둘째는 '월화수목금[9] 그리고 셋째가 월화수목금토[10]이라고 읽자 분노한 아버지의 외침. “야! 가서 왕편[11] 가져와!” 유익한 농담이다. 좋은 언어유희

2 관련 사이트

대한민국포털사이트에서는 네이버다음에서 제공되고 있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자전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성이 고(顧)씨 이름이 야왕(野王)이다. 이름에 王이 들어가지만 절대 왕이 아니다. 오해하지 말자.
  2. 옥편이라는 이름도 처음부터 고야왕이 직접 지은 제목이 아니라, 완성된 초판을 본 당시의 왕이 매우 감탄하며 마치 옥을 꿰어놓은 것처럼 귀한 물건이라하여 옥편이라고 칭한 것을 그대로 제목으로 채용한 것이다.
  3. 부수도 음도 확실히 모를 경우에 유용한 방법이다. 예를 들어, 執이란 글자(잡을 집, 土부 8획)를 부수도 음도 모르는 상태에서 찾아보려면 획수를 세어 11획(幸 8획 + 丸 3획)에서 찾아보면 된다. 하지만 말많을 절 같은 한자는 획이 너무 많다.
  4. 물론 춘추전국시대의 경우에는 나라가 다 있지는 않고 주요 나라들만 있다.
  5. 가로{橫}, 세로{縱} 할 때 가로가 아니라 {말하다}을 뜻한다. 성경같은 오래 전에 번역된 단어들이 쓰인 책에서 '~said'를 '~ 가로되'로 번역해놓은 것을 생각하면 된다. 사실 가로로 죽 늘어져 있는 모양이긴 하다.
  6. 대통령 선거할 때 선거가 아니고 배 대는 곳을 뜻한다.
  7. 등짐 운반 도구가 아니라 (출입하는)문을 뜻한다. '무지개'란 말에 흔적이 남아 있는데 물(ㄹ탈락)로 이루어진 지게(문)'의 뜻이다. 원래 양쪽으로 여는 문이 門이고 한쪽으로 여는 문은 戶인데, 나중엔 크기에 따라 큰 것은 門, 작은 사립문 따위는 戶를 썼다. '문호(門戶)를 개방'한다의 문호도 동의어를 겹쳐쓴 것.
  8. 金의 독음이 둘인 것을 이용한 말장난. 근데 보통 김이라고 읽을 때는 성씨.
  9. 흙 토(土)와 선비 사(士)가 비슷한 것을 이용한 말장난.
  10. 가로 왈(曰)과 해 일(日). 컴퓨터로 보니까 똑같은데?!
  11. 임금 왕(王)과 구슬 옥(玉). 위의 예시에 비해 이건 안 헷갈릴 것 같지만, DQN 네임 문서에 보면 일본에서 이 둘을 헷갈려 자식 이름을 잘못 지은 경우가 있는 걸 보면 그렇지도 않은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