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자전

康熙字典

1 개요

중국 청나라 대에 강희제의 칙명에 의하여 편찬된 한자사전. 당대 유명 학자들을 초빙해 저술했으며, 저술 기간은 약 5년이 걸려서 1716년(강희 55년)에 완성되었다.

2 특징

후한 시대의 《설문해자(説文解字)》 이후의 역대 자전들을 광범위하게 참고해 편찬하였으며, 12집(集) 119부(部) 분량에 수록 글자는 47,035자에 달한다. 그리고 총 214개의 부수를 나누어 각 한자들을 부수에 배속시키고, 반절(反切)에 의한 발음 표기,[1] 훈고(訓詁), 자해(字解), 속/통자(俗通字) 병기 등 사실상 현대의 한자사전의 포맷을 완성한 책이라고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역대 중국 왕조들의 수많은 시인, 문사들의 작품들과 인용과 교차검증을 함으로서 각 한자 뜻의 변천사까지 고증하기도 했다.

(예) 木부 1획 첫페이지 보기

하지만 이렇게 철저하게 만들어졌어도 일부 고증오류가 존재했는데, 1827년 왕인지(王引之)가 《자전고증(字典考證)》을 출판해 오류를 교정함으로서 어느 정도 수정되었다.

3 의의

근대 이전 최고의 한자사전

강희자전 편찬 이래, 1900년대 이전 자전 중에서는 강희자전을 능가하는 자전이 없으며, 1900년대 이후 자전 중에서는 강희자전에 영향을 안 받은 자전이 없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현대 자전의 포맷(한자, 부수, 음, 뜻, 속자, 용례 등)을 정립하다시피 한 자전이며,[2] 그 분량에 있어서도 당대 최고 수준이었다. 이렇듯 강희자전이 워낙 영향력이 컸기 때문에, 원래는 이 사전만을 뜻하는 고유명사였던 '자전(字典)'이 의미가 확대되어서 지금도 중국에서는 사전을 뜻하는 일반명사로 자전이라는 단어를 쓸 정도이다.[3]

또한, 강희자전은 일부 글자에서 설문해자의 소전체를 바탕으로 변환한 글꼴 등을 채용해 소위 '강희자전체'라는 글꼴로 출간되었는데, 강희자전체는 기존 정자체와 비교해서 미묘하게 다른 점이 있었다.

세번째 줄이 강희자전체, 네번째 줄이 전통적인 해서체(정자체). 위 사진에서 도(圖)자 등을 보면 미묘하게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와중에 강희자전은 거의 한자문화권 사전의 스탠다드화되고 많은 사람들이 이 자전을 참고하는 바람에,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한자문화권 각국에서 쓰이던 정자체가 강희자전체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대표적인 예로, 한국에서 쓰이는 한자의 자형은 다른 지역에 비해 강희자전체에 가장 가깝고, 일본에서 구자체(舊字體)라고 불리는 소위 '옛날 한자'들은 거의 강희자전체라고 보면 된다.

4 트리비아

근원 김용준의 수필 '강희자전과 감투'가 2014년 수능 국어 과목에 출제된 적이 있다.
  1. 훈몽자회에도 사용되었던 그 발음표기법이다. 예를 들면 東이라는 한자의 발음을 德紅切라고 써놓는데, 해석하면 첫 한자음 '덕'에서 앞소리인 'ㄷ'를 가져오고 뒷 한자음 '홍'에서 뒷소리인 'ㅗ+ㅇ'을 가져와서 '동'이라고 읽는 식이다.
  2. 하지만 강희자전에서는 한자 하나하나의 뜻풀이에 중점을 둔 나머지, 숙어에 대한 내용이 빠져있다.
  3. 그 전까지는 자서(字書), 자해(字解) 등으로 주로 불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