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확

韓確
1403 ~ 1456

1 개요

성종의 외조부이자 명나라 영락제, 선덕제의 처남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명나라 초기의 문신. 자는 자유(子柔), 호는 간이재(簡易齋), 시호는 양절(襄節)이다. 본관은 청주 한씨. 그의 딸 중 둘은 왕족과 결혼했는데, 한 명은 세종의 8남 계양군의 아내고 다른 한 명은 다름아닌 인수대비다.

그는 명나라의 관료이자 조선의 대명 외교통이었다. 이를테면 친중파 정치인의 한 사람. 그의 누나가 영락제의 후궁 공헌현비[1]고, 여동생은 선덕제의 후궁 공신태비 한씨다.

영락제는 뛰어난 외모를 가진 공헌현비를 사랑한 나머지 그를 광록시소경에 봉하였고, 그의 잘생긴 외모에 호감을 갖고 심지어 부마로 삼으려고도 했다고 한다. 공헌현비 사후 여동생을 선덕제의 후궁으로 보내려다가 "누이를 팔아서 출세하니까 좋습니까?"라며 면박당했고, 주변에서도 "누이 팔아 잘 X먹는군."이라는 비야냥도 많이 들은 모양. 그래도 두 누이 모두 황제의 총애를 받았기 때문에 그의 권세도 막강해져서 세종조차 "이 사람은 내가 벌 줄 수 없는 사람이다."라고 말하기까지 했다. 세종세조가 그의 딸을 며느리로 삼은 것에는 이러한 사실도 고려해서였을 것이다.

계유정난 때 세조를 지지했는데, 이걸 보면 권력욕도 대단하고 정치적 감각도 뛰어난 인물이었던 듯. 한확 역시 굉장히 준수한 미남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세조의 왕위 찬탈 직후 명나라에 사은사로 파견되어 세조의 행위는 정변이 아닌 양위였다고 변호를 했고,귀국하던 중 객사했다.

2 한국 사극

  1. 공헌현비는 영락제가 죽을 때 순장당했다. 한민족으로서는 최후의 순장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