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평궤도

주의. 폐지된 구간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구간은 이미 폐지되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우만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002.gif
함평궤도에서 운행되었던 동차의 모습. 기동차라는 설도 있으나, 명확하지 않다.

1 개요

함평궤도는 전라남도 함평군에 위치했던 철도 노선. 호남선 학교역과 함평군청 소재지까지 연결하던 궤도 노선이였다.
한국 최초의 궤도 노선이라고 한다.

2 노선 정보

노선명함평궤도
노선 연장6.1km
운영 기관함평궤도 주식회사
궤간1067mm(협궤)
통행 방식좌측 통행
역 수4(추정)
복선 구간없음(전구간 단선)
전철화 구간없음[1]

3 역사

1925년부터 함평군 지역 유지들에 의해서, 노선 구상이 되었고, 1926년 5월호남선 학교역[2]과 함평군 함평읍 사이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부설 허가를 취득하고, 이듬해인 1927년 1월부터 영업을 시작하였다고 한다. 따라서, 한국 최초의 궤도 노선이다.

1930년대 후반까지 적자였으나, 1940년대부터 흑자로 돌아섰고, 이 때부터 합병이 논의되고, 결국 경성궤도와 합병되어, 1941년에는 경성궤도 함평선으로 운행되었다고 한다. 일제 말기에 일시적으로 폐역됐으나, 일자는 미상.

해방 이후에도 법인을 한국인이 인수 받아 운행하다가, 한국전쟁 당시에 북한군의 통행을 막기 위해, 함평교가 폭파되어 운행이 중단된 적이 있었다.

여느 노선과 다를 바 없이, 차량의 노후화도 있고, 규모도 작아서, 수익성 또한 형편 없었다. 당시에 사용하던 경유동차는 노후화 수준이 심각했고, 당시에는 협궤용 동차 구매나 도입 방안도 전무했다고. 시기가 시기이다 보니...

1950년대 말에는 아예 영업 자체가 불가능할 정도였으며, 결국 1960년 10월에 법인 해산 결정과 함께 전 구간이 폐선되어, 함평궤도는 폐지되었다.

폐선 후, 노반의 일부가 국도로 사용되었고, 함평군농어촌버스가 그 지역을 오가고 있다. 함평군의 버스회사인 함평여객의 전신이 바로 함평궤도 주식회사라고.

4 노선

  • 학교
  • 동창
  • 화산(花山)
  • 함평[3]

5 기타

  • 한 철도 동호인이 답사를 한 기록이 있다. #1, #2를 참고하자.
  • '구 궤도버스 앞'이라는 정류장이 함평군 내에 있다. 인근에 함평궤도가 있었다는 증거. 이 때는 궤도노선을 궤도버스라고 부른 듯.
  • 구 학교역이 있던 곳에는 급수탑이 존재한다. 호남선 시절부터 쓰였던 것으로,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함평궤도에 쓰인 기관차의 급수 또한 담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일제강점기 때부터 호남선과 연대운수가 있었고, 연대승차권까지 발매했었다고 한다. 함평궤도의 열차시각은 호남선 학교역 도착시각에 맞춰져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개념환승의 시초라고 한다.
  1. 북한의 자료에 따르면, 함평궤도를 전차로 운영했다고 하는데, 신뢰성이 낮은 편이다. 확실한 것은 통일 이후에나 알 수 있을 듯.
  2. 함평역의 옛 역명이다.
  3. 함평군청 근처에 위치했던 역으로 현재의 함평역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