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레니즘 문화

1 개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영토확장을 통해 그리스의 문화를 정복지에 적극적으로 전파하면서 현지 문화가 결합되어 형성된 문화. 그 과정을 소위 "헬레니즘화(Hellenization)"이라고 한다. 실제 그리스 문화의 영향력이 얼마나 컸는지와 관련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전쟁 이후 그리스는 정복지에 새로운 도시들을 건설하고 그리스 문화 전파를 위한 의도적인 식민 정책을 폈는데, 이를 통해 그리스 문화와 그리스어가 현재 중동지방과 인도 북부 지방에 퍼지게 된다. 이 영향은 생각보다 강력해서 훗날 로마 제국이나 파르티아 제국에서도 그리스어가 널리 쓰였다. 또한 인도에서는 그리스 조각의 영향을 받은 간다라 미술이 등장하기도 했다.

헬레니즘 문화의 가장 큰 성과는 학문에 있다. 아테네에서 꽃피웠던 고대 그리스 철학이 헬레니즘 세계로 뻗어나가며 그 지역 주민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했고, 전보다 훨씬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활발한 학술적 교류를 이루어냈다. 그 중에서도 알렉산드리아(이집트)가 특히 유성했고, 이어 아테네와 로도스섬이 최고 교육기관으로 떠오르면서 헬레니즘 세계의 학문을 주도했다. 안티오크는 중동지방에서 그리스어 학습과 그리스 학문의 중심지로 설립된 대도시였는데, 이후 안티오크는 기독교를 그리스어권으로 전파하는 주요 거점이 되었다. 또한 학술적 목적에서 고전의 보존에도 특히 힘써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비롯한 도서관과 박물관을 곳곳에 설립하여 문학작품과 예술품들을 보존했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은 ① 헬레니즘 제국의 다양한 생각을 받아들이고, ② 헬레니즘 국왕들의 후원을 통해 발전했다는 점에서 그 이전의 고대 그리스 과학과 확연히 달랐다. 이 과정에서 기원전 3세기 경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는 지중해 세계 과학의 중심지가 되었다.

미술은 헬레니즘 여러 군주의 왕성한 도시 건설에 의해 촉진되어 건축과 조각에서 그 기교의 발달이 현저했다. 따라서 알렉산드리아나 아테네는 의외로 걸작이 드물고, 페르가몬, 로도스, 크니도스, 멜로스(밀로), 사모트라케 등 주변 및 섬들의 새로운 폴리스에 많았다

그러나 헬레니즘 시대 문화의 성격을 총괄하면, 실질적으로 융성을 극한 것은 기술적·자연과학적인 것에 편중되어 있으며, 철학·문학 기타 정신적·내면적 요소에 관한 문화적 영위는 오히려 쇠락했다고 본다. 자치국가였던 폴리스가 광대한 영토를 가진 제국의 도시로 포함되면서 시민들의 공적 생활이 크게 변화했다. 즉, '특수성'의 상실로 인해서 '보편성'이 시대의 표지가 되었고, 폴리스 공동체 의식에 대신해서 보편 인류 의식(코스모폴리터니즘)과 개인주의가 시대정신이 된다. 철학은 폴리스적 대응을 잃고, 보편주의적인 스토아 및 에피쿠로스 철학이 되었다. 이제 개인의 영혼 구제가 철학의 핵심 주제가 된 것이다.

이처럼 철학이 종교화하자 대중은 동방 종교에 귀의했다. 공동체의 공적 제사(올림푸스 12신)는 이미 사람들을 종교적으로 묶어 두지 못했고, 사람들은 보다 강렬한 구원의 증명을 찾았다. 동방의 여러 종교가 밀물처럼 흘러들어와 재래 종교와 혼합되어 광범한 '종교 습합(習合)'을 야기시켰다. 융합이야말로 모든 헬레니즘 문화의 기조 현상이었다.

고대 그리스에 있어서 훌륭한 변론술(수사학)은 원래 폴리스적인 시민 생활에서 생긴 공생활상의 필요 기술이었는데, 폴리스적 공생활이 해체된 이래 변론술은 그 기능을 상실하고 형해화, 단순한 수사술은 교양주의로 퇴화했다(테오프라스토스의 인성론 등). 희극도 마찬가지이다. 폴리스적 정치 생활에의 대응을 상실하고 위축되고 인생론적인 '신희극' 또는 대중 흥행적이고 선정적인 미모스 등으로 변화했다.

창조성의 저하는 고전기를 능가하는 철학·문학이 탄생 못한 반면, 전대의 소산에 대한 주해서·교정 따위가 많았다는 것으로도 설명할 수 있겠다. 훈고와 주석이 알렉산드리아 학문의 주류였다. 즉 유산의 정리와 문물의 양적 보급에는 기여했으나, 질적으로는 전대보다 나아갔다고 보기 힘든 것이다.

문화적 성숙과 쇠락의 상관관계를 가장 잘 드러내는 것은 조형미술의 경우이다. 조각상은 세부묘사가 갈수록 정교해서 치밀해져서 기교적으로는 더욱 숙달되지만, 핵심인 내적 충동과 생명력은 쇠퇴되고 있었다. 여체는 차츰 관능적이 되지만 오히려 얼이 빠져 있다. 신전의 기둥은 최초 간소한 도리아식(고전기 초·중)에서 이오니아식(고전기 말-헬레니즘 초기)을 거쳐 코린트식(고전기 중·말)으로 발전하는데, 그것은 웅장→우미→섬세로의 발전임과 동시에, 창조→완성→쇠락의 과정이었다. 코린트식에서는 이미 생명력의 충실성은 없다. 후에 로마가 모방하는 그리스 문화란 실은 이와 같은 2류품적인 헬레니즘 문명이었던 것이다.

이상과는 반대로 수학·실험과학·천문학·해부학 등의 소위 자연과학 분야는 헬레니즘 시대에 확실히 괄목할 만한 성과를 올렸다. 그 학자들은 오늘날 생각하더라도 일류급 학자들이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와 같은 성과는 실천적 응용에서 떨어져 나갔기 때문에 아무런 사회적 의미도 갖지 못했다. 그것은 고대 사회의 본질적인 결함이었던 노예제도 때문이며, 즉 그들은 생산의 증대를 과학기술의 적용에 의하지 않고, 노예의 숫자를 증가하는 것에서 찾았기 때문이다.

인용한 문헌의 논조가 비판적이어서 일단 그대로 싣습니다.
정작 인용한 문헌이 뭔지는 적지 않는 작성자의 패기

2 성과

과학
에라토스테네스천문학지구의 자오선 측정
아리스타르코스천문학지동설, 달·태양의 거리를 계산
스트라톤물리학진공의 이치를 연구
헤론수학,물리학기하학에 관한 저서 <도량>을 집필함, 기체의 연구[1]
아르키메데스수학·물리학지렛대·비중, 원·구의 구적, 순수학문 중심이던 기하학을 실생활에 응용함
에우클레이데스(유클리드)[2]수학기하학 원리에 대해 설명한 <원론>을 집필함[3], 연역추리의 방법을 발전시킴
아폴로니오스수학자원추곡선[4] 정리의 발견
헤로피로스해부학신체 기관의 연구
철학
피론-회의파 창시
제논-스토아 학파 창시
에피쿠로스-쾌락주의 창시
문학
테오크리토스시인, 미모스 작가
헤론다스희곡-
메난드로스신희극-
역사
플리비오스-로마사 40권
-구약성서의 그리스어 번역

3 하위문서

  1. 최초의 증기기관인 헤론의 공을 고안
  2. 무제이온의 수학교수
  3. 기하학의 아버지라 불림
  4. 이차곡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