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니스의 그랜드슬램 대회 | |
호주 오픈 · 프랑스 오픈 · 윔블던 · US 오픈 |
파일:Attachment/호주 오픈/호주오픈00.png
1 테니스 대회
호주 오픈(Australian Open)
매년 1월에 호주 빅토리아주 멜버른 중심가에 위치한 멜버른 올림픽 파크(Melbourne Olympic Parks)에서 열리는 그랜드 슬램 대회중 하나. 남자 및 여자 단식과 남자 및 여자 복식, 혼합 복식, 주니어 및 시니어 경기 부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드 코트에서 시합을 치루며 대회 기간은 14일.
1.1 역사 및 특징
첫 시작 년도는 1905년. 초기에는 호주와 옆나라인 뉴질랜드에서 치뤄졌으며 1916년부터 1918년까진 제1차 세계대전 때문에 대회 개최가 중단되었었다. 1922년에 규모가 커지면서 여성 테니스 선수도 참가하도록 바뀌었다.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제2차 세계대전으로 대회 개최가 중단되었기는 하지만 이후엔 중단된 적이 없으며 프로선수들의 참여가 허용된건 1969년으로 1972년부턴 호주의 멜버른에서만 경기가 열리도록 세부적인 규정이 확립되었다.
1회 대회가 열린 1905년부터 1987년까지는 잔디 코트에서 진행됐었지만, 1988년부터 메인 경기장을 멜버른 파크로 옮기면서 플렉시쿠션 프리스티지(Plexicushion prestige)재질의 하드코트 대회로 변경.
호주에서 개최되는 정기적인 스포츠 관련 행사중 가장 규모가 큰 대형 이벤트로 꼽힌다. 특히 호주의 휴가시즌에 개최하는지라 가족단위의 휴가를 이쪽으로 나와 구경하는 사람들이 정말 많고 관광객들의 필수 체크 코스로 통한다. 특히 멜버른 파크의 최신식 시설과 더불어 자연친화적인 설계 + 강가에 위치해 있어서 경치도 정말 좋기에 놀러와도 후회안할만 하다.
경기가 열리는 멜버른 파크의 메인 코트인 로드 레이버 아레나 (Rod Laver Arena)[1]와 하이센스 아레나(Hisense Arena)는 우천이나 폭염 등 기상상황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개폐식 지붕을 갖추고 있다.
하드 코트라서 클레이 코트 보다는 바운드가 낮고 공이 빠르지만 잔디 보다는 높고 느리다. 클레이 코트와 달리 달려가다가 미끄러질 수 없기 때문에 상대방이 되받아칠 수 없는 정확히 노려서 위닝 샷을 가져가야 매끄러운 경기 운영을 할 수 있다.
참고로 다른 그랜드슬램 대회에 비하여 역사도 짧고 상금도 적어서 과거 90년대에는 선수들이 참여를 잘 안했다. 멀기도 오지게 먼데다 1월의 호주의 기후가 지독한 폭염으로 악명이 높아 선수들의 개인 컨디션 조절이 힘들기 때문. 더위 때문에 체력안배가 힘들어 중간에 기권하거나 경기중 일사병으로 쓰러지는 선수가 간혹 나오기도 한다. 2014년 대회 때는 30도가 넘는 폭염에 견디다 못한 선수 8명이 1라운드에 기권하며 신기록 세웠다. 이 때문에 호주 오픈 주최측은 기온 및 습도가 위험한 수준까지 상승하는 경우 '폭염시 특별 규정(extreme heat policy)'을 적용하여 선수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노력 중이다. 다만 호주 달러의 가파른 환율상승으로 몇년동안 그랜드슬램 중 최고 상금을 자랑하기도 했다.
그래도 많은 탑랭커 테니스 선수들이 참여 중인데, 가장 먼저 열리는 그랜드슬램 대회인지라 해당년도의 테니스계 판도를 예측해보는 기준점이 되기 때문.
한국선수로는 주니어 선수들의 성적이 좋은 편으로 1995년 주니어 남자 단식에서 이종민, 2005년 주니어 남자 단식에서 김선용, 2015년 주니어 남자 단식 부분에서 홍성찬 선수가 준우승을 기록한 게 최고 성적이다.
한국 테니스 선수의 호주 오픈 남자 단식에서의 최고 성적은 이형택 선수가 2003년과 2008년에 호주 오픈 남자 단식 본선에서 64강전(2회전)까지 진출하였다.[2]
1.2 호주 오픈 남자 단식 주요 기록
- 호주 오픈 남자 단식 최다 우승 - 노박 조코비치 : 우승 6회
- 호주 오픈 남자 단식 최다 결승 진출 - 노박 조코비치 : 결승 진출 6회
- 호주 오픈 남자 단식 최다 4강 진출 - 로저 페더러 : 4강 진출 12회
- 호주 오픈 남자 단식 최다 본선 승리 - 로저 페더러 : 본선 80승
1.3 상금 규모
2009년 대회 총상금 규모는 2천314만 호주달러이고 단식 우승상금의 경우 200만 호주달러였다.
2010년 대회 총상금 규모는 2009년보다 4% 정도 오른 2천409만 호주달러였으며 단식 우승상금은 전년도와 같은 200만 호주달러가 지급되었다.
2011년 대회 총상금 규모는 2500만 호주달러로 증액되었고 단식 우승자가 받는 상금도 2010년보다 10% 증가한 220만 호주달러로 늘어났다.
2012년 대회 총상금 규모는 전년도보다 4% 증가한 2천600만 호주달러로 늘었으며 단식 우승상금도 2011년보다 증액된 230만호주달러가 지급되었다.
2013년 대회 총상금 규모는 3000만호주달러로 2012년보다 15% 상승했다. 단식 우승상금은 243만호주달러로 늘어났다. 단식 출전자가 본선 1회전에서 탈락해도 2만7600호주달러를 지급받았다.
2014년 대회의 총상금 규모는 2013년보다 10% 증가한 3,300만호주달러이며 단식 우승 상금도 전년도보다 증액된 265만호주달러이다.
2015년 대회의 총상금 규모는 4000만호주달러로 호주달러의 환율이 대폭 하락하면서 출전선수들이 받는 실질적인 상금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하고자 전년도보다 20% 이상 증액하였다. 단식 우승자가 받는 상금도 2014년보다 대폭 증가한 310만호주달러가 되었으며 단식 본선 1회전 탈락자에게도 3만4500호주달러가 상금으로 주어진다.
2016년 대회의 총상금 규모는 전년도보다 10% 늘어난 4400만호주달러였으며 단식 우승자에게 지급된 상금도 340만호주달러로 전년도에서 20% 이상 늘어났다. 단식 본선 1회전 탈락자에게도 3만8500호주달러가 상금으로 주어진다.
2009년과 2016년을 비교하면 7년 사이에 호주 오픈의 총상금은 90% 정도 증가했고 우승상금도 70%가 증가하였다.
1.4 역대 호주 오픈 남자 단식 결승전
호주 오픈이 프로 테니스 선수의 출전을 허용한 1969년 남자 단식 결승전부터 표시한다. 1977년 호주 오픈은 1월과 12월에 두번 개최되고 반대로 1986년에는 호주 오픈이 개최되지 않았다.
먼저 1977년에 호주 오픈이 두번 개최된 이유는 호주 오픈이 1977년까지는 매년 연초에 대회가 개최되다가 1977년부터 1985년 대회까지는 연말 대회로 변경되어서 1977년에는 호주 오픈이 1월과 12월에 두번 열리게 된 것이다.
이후 1985년까지 호주 오픈은 매년 연말에 열리다가 1986년부터 다시 매년 연초에 개최되는 것으로 변경되었는데 이렇게 될 경우 1986년 초에 호주 오픈이 개최되어야 해서 1985년 말에 열리는 호주 오픈에서 1달 정도 후에 다시 호주 오픈이 개최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어쩔 수 없이 1986년 호주 오픈은 열리지 않고 1년간의 간격을 두어 1987년 초에 1987년 호주 오픈이 개최되었다.
연도 | 우승 | 준우승 | 스코어 |
1969 | 로드 레이버 | 안드레스 히메노 | 6-3, 6-4, 7-5 |
1970 | 아서 애시 | 딕 크릴리 | 6-4, 9-7, 6-2 |
1971 | 켄 로즈월 | 아서 애시 | 6-1, 7-5, 6-3 |
1972 | 켄 로즈월 | 말 앤더슨 | 7-6, 6-3, 7-5 |
1973 | 존 뉴컴 | 오니 파룬 | 6-3, 6-7, 7-5, 6-1 |
1974 | 지미 코너스 | 필 덴트 | 7-6, 6-4, 4-6, 6-3 |
1975 | 존 뉴컴 | 지미 코너스 | 7-5, 3-6, 6-4, 7-6 |
1976 | 마크 에드먼슨 | 존 뉴컴 | 6-7, 6-3, 7-6, 6-1 |
1977 1월 | 로스코 태너 | 기예르모 빌라스 | 6-3, 6-3, 6-3 |
1977 12월 | 비타스 게룰라이티스 | 존 로이드 | 6-3, 7-6, 5-7, 3-6, 6-2 |
1978 | 기예르모 빌라스 | 존 마크스 | 6-4, 6-4, 3-6, 6-3 |
1979 | 기예르모 빌라스 | 존 사드리 | 7-6, 6-3, 6-2 |
1980 | 브라이언 티처 | 킴 워윅 | 7-5, 7-6, 6-2 |
1981 | 요한 크리크 | 스티브 덴튼 | 6-2, 7-6, 6-7, 6-4 |
1982 | 요한 크리크 | 스티브 덴튼 | 6-3, 6-3, 6-2 |
1983 | 매츠 빌랜더 | 이반 렌들 | 6-1, 6-4, 6-4 |
1984 | 매츠 빌랜더 | 케빈 커렌 | 6-7, 6-4, 7-6, 6-2 |
1985 | 스테판 에드베리 | 매츠 빌랜더 | 6-4, 6-3, 6-3 |
1987 | 스테판 에드베리 | 팻 캐시 | 6-3, 6-4, 3-6, 5-7, 6-3 |
1988 | 매츠 빌랜더 | 팻 캐시 | 6-3, 6-7, 3-6, 6-1, 8-6 |
1989 | 이반 렌들 | 밀로슬라프 메치르시 | 6-2, 6-2, 6-2 |
1990 | 이반 렌들 | 스테판 에드베리 | 4-6, 7-6, 5-2(기권) |
1991 | 보리스 베커 | 이반 렌들 | 1-6, 6-4, 6-4, 6-4 |
1992 | 짐 쿠리어 | 스테판 에드베리 | 6-3, 3-6, 6-4, 6-2 |
1993 | 짐 쿠리어 | 스테판 에드베리 | 6-2, 6-1, 2-6, 7-5 |
1994 | 피트 샘프라스 | 토드 마틴 | 7-6(7-4), 6-4, 6-4 |
1995 | 안드레 애거시 | 피트 샘프라스 | 4-6, 6-1, 7-6(7-6), 6-4 |
1996 | 보리스 베커 | 마이클 창 | 6-2, 6-4, 2-6, 6-2 |
1997 | 피트 샘프라스 | 카를로스 모야 | 6-2, 6-3, 6-3 |
1998 | 페트르 코르다 | 마르셀로 리오스 | 6-2, 6-2, 6-2 |
1999 | 예브게니 카펠니코프 | 토마스 엔크비스트 | 4-6, 6-0, 6-3, 7-6(7-1) |
2000 | 안드레 애거시 | 예브게니 카펠니코프 | 3-6, 6-3, 6-2, 6-4 |
2001 | 안드레 애거시 | 아르노 클레망 | 6-4, 6-2, 6-2 |
2002 | 토마스 요한슨 | 마라트 사핀 | 3-6, 6-4, 6-4, 7-6(7-4) |
2003 | 안드레 애거시 | 라이너 슈틀러 | 6-2, 6-2, 6-1 |
2004 | 로저 페더러 | 마라트 사핀 | 7-6(7-3), 6-4, 6-2 |
2005 | 마라트 사핀 | 레이튼 휴이트 | 1-6, 6-3, 6-4, 6-4 |
2006 | 로저 페더러 | 마르코스 바그다티스 | 5-7, 7-5, 6-0, 6-2 |
2007 | 로저 페더러 | 페르난도 곤잘레스 | 7-6(7-2), 6-4, 6-4 |
2008 | 노박 조코비치 | 조 윌프리드 송가 | 4-6, 6-4, 6-3, 7-6(7-2) |
2009 | 라파엘 나달 | 로저 페더러 | 7-5, 3-6, 7-6(7-3), 3-6, 6-2 |
2010 | 로저 페더러 | 앤디 머레이 | 6-3, 6-4, 7-6(13-11) |
2011 | 노박 조코비치 | 앤디 머레이 | 6-4, 6-2, 6-3 |
2012 | 노박 조코비치 | 라파엘 나달 | 5-7, 6-4, 6-2, 6-7(5-7), 7-5 |
2013 | 노박 조코비치 | 앤디 머레이 | 6-7(2-7), 7-6(7-3), 6-3, 6-2 |
2014 | 스타니슬라스 바브린카 | 라파엘 나달 | 6-3, 6-2, 3-6, 6-3 |
2015 | 노박 조코비치 | 앤디 머레이 | 7-6(7-5), 6-7(4-7), 6-3, 6-0 |
2016 | 노박 조코비치 | 앤디 머레이 | 6-1, 7-5, 7-6(7-3) |
1.5 기타
다른 그랜드슬램 대회와 달리 단식 본선 와일드카드 8장 중에 3장을 대륙별 플레이오프 우승자에게 부여한다.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호주 오픈이 연초에 열리는데 호주 오픈이 열리기 전인 전년도 연말에 북미, 유럽, 아시아 지역에서 단식 본선 자동출전권을 받을 수 없는 세계 랭킹 순위의 선수들이 참가하는 플레이오프를 개최한다. 그리고 이렇게 열린 각 대륙별 플레이오프 우승자에게 각각 본선 출전 와일드카드를 부여하는 것이다.[3]
참고로 국내 자동차 기업인 기아자동차가 메인 스폰서인 대회. 2018년까지 계약을 연장했다고 한다.
1.6 참고 링크
- ↑ 호주의 전설적인 테니스 선수 로드 레이버의 이름을 딴 경기장이다. 로드 레이버는 테니스 역사상 남녀 통틀어 두차례나 한 해에 그랜드슬램 타이틀 4개를 모두 따낸 유일한 선수이며, 오픈 시대 이후로 그랜드슬램을 달성한 유일한 남자 선수이다. 아직도 정정하신터라 남자&여자 단식 결승 경기에선 항상 초청되어 관전을 하신다.
- ↑ 호주 오픈 남자 단식 본선에 출전해본 한국 남자 테니스 선수 자체가 김봉수와 이형택, 정현까지 이렇게 3명 뿐으로 여기에 김봉수는 1988년에만 출전하여 통산 1회 출전에 그쳤다. 이형택은 2001년부터 2008년까지 대회 출전을 포기한 2002년을 빼면 호주 오픈 남자 단식에 통산 7회나 출전하였다. 정현은 2016년에 처음으로 출전하여 아직 통산 1회 출전중이다.
- ↑ 즉, 북미 플레이오프 우승자, 유럽 플레이오프 우승자, 아시아 플레이오프 우승자에게 호주 오픈 단식 본선 와일드카드 출전권이 부여된다는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