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ow
유니코드 | U+2192 | U+2190 | U+2191 | U+2193 | U+2194 |
영문 명칭 | rightwards arrow | leftwards arrow | upwards arrow | downwards arrow | left right arrow |
기호 | → | ← | ↑ | ↓ | ↔ |
선분 한쪽 끝에 일정한 표시를 함으로써 방향을 지시하는 기호.
일상 생활에서 매우 쓸 일이 많은 기호로, 도로 표지판이나 재활용 표기, 지하철 내리는 문 안내 및 각종 광고뿐만 아니라 알고리즘 순서도나 플로우 차트, PERT, 피드백 모델 구축 등에까지 광범위하게 쓰인다. 물론 화장실 낙서도 빠지면 섭하다. 보통 그 선분의 표시된 쪽의 방향을 지시하게 된다.
그 모양이 매우 제각각이라, 위에서 보듯이 선분을 이중으로 긋기도 하고, 검은 삼각형으로 표기하기도 하고, 안쪽이 패인 검은 삼각형으로 표기하기도 하고, 좌우 비대칭의[1] 표기를 하기도 하고, 심지어는 선분은 없애버리고 왼쪽을 향한 이등변삼각형 내지는 꺾은선만을 한 개 내지 여러 개로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화살표의 양쪽 끝에 동일한 표시를 하게 되면 방향을 지시한다는 의미는 사라진다. 그보다는 두 가지 대상 사이에 해당 표기를 한 후, 그 두 대상이 혼용 가능하다거나 바뀔 수 있음을 보여주는 용도로 더 많이 쓰인다.
화살표의 힘은 어지간한 글자보다도 강력해서, 위에서도 우스개로 언급했지만 ← 오른쪽을 보시오 라고 적어놓으면 사람은 오른쪽을 보는 게 아니라 화살표를 따라 왼쪽을 본다.(…) 물론 화살표 저 끝부분에 "XX, 여기가 오른쪽이냐" 같은 비웃음이 적혀있는 건 예상 가능한 수순.
물론 위 아래 왼쪽 오른쪽 화살표만 있는 건 아니라서, 대표적으로 대각선 화살표 같은 경우는 사선으로 놓여 있는 선분에 표시가 되어 있다. 그 외에도 선분을 꼬거나(…) 선분에 스트로크를 긋거나 원형으로 말아놓기도 한다. 참고로 원형 화살표는 시계방향/반시계방향으로 나누어지는데, 피드백 모델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생각보다 최근에 만들어진 기호로, 18세기 무렵에 화살의 모양을 단순화하여 유래하였다. 그 이전에는 훨씬 오래된 손가락 모양(☞)을 썼었고 지금도 일부 용도에서는 화살표 대용으로 쓰인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한테는 당연해 보이지만 화살표는 문화적인 맥락 없이는 이해할 수 없는 기호인 셈. 파이오니어 10호에 실린 명함에는 탐사선이 지구에서 출발했다는 걸 보이려고 화살표를 썼는데, 외계 생명이 이 표시를 이해할 수 있겠느냐는 지적이 있었다.
컴퓨터 환경에서 MS IME 특수문자로 입력할 경우 "ㅁ" 을 입력한 후 한자 키를 누르고 두 번 내리면 된다. 순서는 각각 오른쪽 - 왼쪽 - 위 - 아래 - 양쪽.(숫자 3~7) 이것이 상당히 귀찮은(…) 데다가 환경에 따라서는 굉장히 흐릿하게 보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대안적인 용법을 많이 사용한다.[2] 가장 자주 쓰이는 화살표는 역시 -> <- 같은 경우. 순서가 짧아서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졌지만, 위나 아래를 표시할 수는 없다는 약점이 있다. 화살표를 길게 하기 위해 ㅡ> <ㅡ 이렇게 쓸 수도 있다. 앞에서 언급한 ☞ ☜ 같은 것도 있지만 이 역시 특수문자인 데다가 더 뒤쪽까지 찾아가야 나오고, 마찬가지로 어떤 환경에서는 굉장히 작게 보이므로, 의도적으로 찾지 않는 한 화살표의 대용으로는 쓰이지 않는다.
일부 계층(?)에서는 넷상에서 코멘트를 할 때 문장 말미에다 왼쪽 화살표를 넣어두기도 한다. ←
DC인사이드에서는 화살표[3]를 활용한 놀이문화가 존재한다. 화살표글 항목 참고.
2016년 4월 1일, 영국에서 부활절 행사를 즐기던 어린이들이 몸으로 화살표를 만들어 도둑들의 도주 방향을 표시해 줌으로써 경찰의 수사를 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