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각선 화살표

↖↗↙↘

1 개요

특수 문자의 하나로, 대각선 방향의 화살표 기호이다. 유니코드에는 다음과 같이 등록되어 있다.

NORTH WEST ARROWU+2196
NORTH EAST ARROWU+2197
SOUTH EAST ARROWU+2198
SOUTH WEST ARROWU+2199

2 입력하는 방법

2.1 Windows

키보드에서 [ㅁ]을 입력하고 [한자]를 눌러서 특수문자 메뉴를 연 다음,

  • 특수 문자 입력란이 가로형(문자 10개가 가로로 나열되고 메뉴가 회색으로 나올 때)일 경우
오른쪽 화살표[→]를 6번 누르고 [3]↗, [4]↙, [5]↖, [6]↘번 키를 누른다.
  • 특수문자 입력란이 세로형(문자 10개가 세로로 나열되고 메뉴가 흰색으로 나올 때)일 경우
아래쪽 화살표[↓]를 6번 누르거나 위쪽 화살표[↑]를 3번 누르고[1][3]↗, [4]↙, [5]↖, [6]↘번 키를 누른다.

그 외 언어판의 경우는 원래 이 기능이 한글 입력기(IME)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기능인지라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재주껏 검색해서 타인이 올린 화살표 문양(이 항목 등)을 복붙하는 수 밖엔 없다. 사실 다른 방법도 있긴 하나 검색해서 복붙하는게 제일 간편하고 빠른 방법이다.[2]

2.2 OS X

매버릭스(10.9) 이전 버전은 cmd + opt + T 를, 매버릭스 이후 버전은 ctrl + cmd + space 를 입력하면 특수문자 입력기가 표시된다. 왼쪽 내비게이션 창에서 화살표(Arrows) 또는 유니코드→화살표를 찾아 들어가면 여러 가지 화살표를 선택해서 입력할 수 있다. 키보드에 커맨드 물리키가 없는 경우 자동으로 파워 키가 커맨드로 매핑된다.

3 사용

억양의 전체적 상승(↗)과 전체적 하강(↘)을 나타낸다.
함수의 증가, 감소를 표시한다.
필살기 커맨드를 설명할 때 이 문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A' 이런 식으로. 하지만 입력하기가 귀찮은 관계로 보통은 키보드 우측 키패드의 숫자배열에 착안해 5를 중립으로 두고 각 방향에 맞는 숫자를 대신 적는다. ↓↘→A의 경우라면 236A가 되는 것.
발판 배치와 대응되는 노트 모양이 이 화살표의 방향과 모양을 따른다. 다만 이쪽은 가운데에 화살표가 아닌 발판과 노트가 있는데, 원래는 양 발바닥 모양이 그려진 네모 모양이지만 텍스트로 표기할 때에는 그런 기호는 없으므로(...) 그냥 □로 쓴다. 판정선은 ↙↖□↗↘ 형태로 되어 있다.
음성 합성물에 성조 효과가 있는 경우 댓글로 올라가는 소리 뒤에 ↗ 표시를 쓰고 내려가는 소리 뒤에 ↘ 표시를 쓴다.[3] 참고로 일본에서는 일본어 입력기에서 대각선 화살표를 입력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와 같은 표기를 일반 화살표(↑,↓)로 사용한다. 니코동의 코멘트를 보면 쉽게 이해가 갈것이다. 또한, 이것이 다른 사이트에도 퍼져서 음성 자료를 설명할 때 억양이 특이하게 오르락내리락 할 때도 쓰이고 있다.[4]
  • 그 외에도 스타크래프트유즈맵 중 텍스트 표시 부분과 같은 텍스트만 제한적으로 사용해야 할 곳에서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언제부터인가 일부 스마트폰 기종에서 이모티콘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위, 아래 화살표와는 달리 주황색의 두꺼운 형태로 바뀌었다.
  1. 다른 방법으로는 [Page Down]을 6번 누르거나 [Page Up]을 3번 누르면 된다.
  2. 영문 윈도우를 예로 들자면 Start -> All Programs -> Accessories -> System Tools -> Character Map 순으로 들어가면 코드표가 나오는데 여기서 입력할수 있다. 만약 코드표에 대각선 화살표가 뜨지 않는 경우 선택된 폰트에 대각선 화살표가 없기 때문이므로 대각선 화살표가 있는 폰트를 선택한 후 다시 찾아보면 된다. 한글 윈도우에서도 가능한데 상술했듯 [한자] 키를 쓰면 다 되므로 굳이 그 방법을 쓸지는...
  3. 택↗용↘아→ 체력을↓너↗무↘많↗이↘쓴↑것→같↘아↗, 조선의↗궁궐에↘당도한→것을↗환영하오→낯선이여↘, 나를 지금 바보로 아는거↗야↘
  4. 서울말은 끝말만 올리면 되는 거 모르 ~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