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락

근대 총기 발전사
장전방식전장식후장식
격발방식매치락휠락플린트락퍼커션 캡탄피
강선유무머스킷소총

Wheellock.

머스켓총의 점화 방식의 하나.치륜식(齒輪式)[1]이라고도 한다.
화승총에서 좀더 발전한 방식으로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스케치를 기초로 1490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기존의 화승총(Matchlock)이 이미 불이 붙어 있는 심지를 움직여 화약접시의 점화약에 불을 붙이는 방식인 반면에, 휠락(Wheellock)은 스프링이 연결된 바퀴(Wheel)를 렌치로 돌려서 스프링에 압력을 축적시키고 방아쇠를 당겨서 풀어주면 회전하면서 용두(Dog)가 물고 있는 황철석과 마찰을 일으켜 점화약에 불을 붙인다. 쉽게 말하면 흔히 접하는 일회용 라이터와 같은 원리다.
RoyalArmouries-p10.jpg
RoyalArmouries-p11.jpg
휠락의 상세한 구조와 작동 원리.
1. 바퀴축(wheel axle)에 스패너를 끼워서 돌리면 메인스프링(main spring)에 압력이 축적되기 시작한다. [3-30136-p.png 이렇게.]
2. 어느정도 돌리면 걸쇠에 걸리는 구멍(hole for nose of sear)에 걸쇠(nose of sear)가 걸려서 바퀴가 풀리지 않도록 고정된다.
2-1. 이 시점부터 안전장치(safety catch)를 방아쇠 지렛대의 반대편 끝(other end of trigger lever)에 끼워서 방아쇠를 잠글 수 있다.
3. 화명(火皿) 덮개 해방 버튼(pan cover release button)을 누르면 화명 덮개 복귀 스프링(pan cover return spring)에 의해서 화명 덮개가 닫힘.
3-1. 덮개가 닫히면 연결되어 있는 화명 덮개 조작 암(pan cover operating arm)이 바퀴축 쪽으로 밀려나와서 화명 덮개 개방 캠(cam to open pan cover)에 닿는다.
4. 용두(dog head)를 화명 쪽으로 당기면 용두 스프링(dog head sprign)에 의해 화명 위쪽에 단단히 밀착된다.
5. 방아쇠(trigger)를 당겨서 방아쇠 지렛대(trigger lever)를 들어 올리면 걸쇠 지렛대(sear lever)도 들어 올려져서 걸쇠(sear)가 바퀴에서 빠지고 바퀴가 메인스프링에 축적된 힘에 의해서 회전하기 시작한다.
6. 화명 덮개 개방 캠이 회전하면서 화명 덮개 조작 암을 밀어내서 화명 덮개가 열린다.
7. 덮개가 치워지면서 용두가 물고 있는 황철석이 회전하는 바퀴와 닿아서 불꽃을 일으킨다.
8. 일련의 과정이 끝나고 용두를 손으로 젖히면 초기상태로 돌아간다.

기존의 화승식에서 가장 큰 단점이었던 화승을 쓰지 않는다는 점에서 대단히 큰 의미가 있다. 화승식은 화승이 꺼지기 쉽고 항상 준비할 수 없었기 때문에 관리가 대단히 번거로웠고 불타는 노끈을 들고 화약을 다룬다는 것이 여간 위험한 짓이 아니었다. 이런 장점 덕분에 화승의 불씨 유지가 거의 불가능한 기병도 총을 쏠 수 있게 되어 퀴레시어(Cuirassier)와 같은 병과가 탄생하고 화약고 경비병이나 호신용 권총에도 요긴하게 쓰였다.

그러나 위의 구조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내부구조가 상당히 복잡하다. 구시대적인 전장식 소총 점화 방식에서 가장 복잡하다. 덕분에 화승식에 비해 값이 훨씬 비싸고 고장이 잘났는데 특히 거꾸로 잡고 몽둥이질을 하고 나면 거의 고장 났다고 한다. 이러한 단점 때문에 화승식을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했고 17세기이후 보다 간단하고 튼튼하며 화승을 쓰지 않는 플린트락이 보급되기 시작하자 급속도로 도태되고 말았다.
  1. 톱니바퀴를 이용해 격발하는 방식이기에, 비슷한 의미의 '차륜'식 이라고 오해하는 사람도 많고, 실제로도 박물관에서조차 '차륜식 권총'이라는 표기를 쓰는 경우도 있으나, 치륜식의 치륜 또한 톱니바퀴를 의미한다. 이 쪽이 정확한 표현이긴 하나, 둘이 사실상 의미에 있어 별다른 차이가 없어 차륜이라는 표현을 훨씬 많이 씀에 유의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