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미라

상표명 Humira

  • 상위 항목 :
DB00051.png
대각선으로 삐딱하게 위에서 본 모습. 아래쪽 파란색 베타병풍 뭉치가 항체의 몸통 Fc부분, 위의 녹색/노랑 뭉치하고 중앙의 붉은 뭉치가 Fab 부분이다.

1 개요

Adalimumab. TNFα의 항체 의약품이다.
제조판매사는 애보트. 2002년 FDA 허가를 얻었다.

2 설명

혈중 TNFα와 반응하여 농도를 낮춤으로서 자가면역반응을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자가면역질환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승인된 바이오 의약품 중 최초로 완전하게 인간화한 항체다. 간단히, 유전자 서열 전체 중에서 항원항체반응하는 부분 빼고는 전부 인간의 항체 서열하고 같다. [1] 요게 상당히 강력한 장점[2] 이자 특허의 요소여서, 이 이후 개발된 거의 대부분의 항체의약품이 인간화기술을 써서 제조되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 허가받은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3 기타

개발 역사가 좀 복잡하다. 최초 BASF[3] Bioresearch Corporation이란 데랑 Cambridge Antibody Technology라고 항체만 전문적으로 개발[4]하는 회사가 1993년 개시한 프로젝트였다. 개발 중에 레미케이드[5]하고 엔브렐[6]이 튀어나왔고, 하여간 그 와중에 최종 후보를 찾아서 완전하게 인간화한 다음 애보트가 임상 들어가서 2002년 승인. 2014년 현재 가장 시장에서 많이 팔리는 약이다. 따라서 당연히 바이오시밀러의 강려크한 후보.
한국 에자이의 휴미라 설명[7]

개발역사가 복잡하다보니 로열티랑 특허갖고 쌈질한 역사가 있다. CAT하고 애보트가 돈 갖고 싸웠고, 그 와중에 개발 기술 갖고 있던 영국의 MRC[8]도 어부지리로 돈 좀 챙겼다. 그리고 존슨 앤 존슨[9]이 특허 싸움 붙어서 1심에서 이긴 적도 있다. 그러나 최종심에서는 뒤집어엎어졌다.
  1. 같은 TNFα의 항체인 레미케이드는 일부 쥐의 항체 서열을 갖고 있다
  2. 완전히 인간과 동일하기 때문에, 약이 다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줄어든다
  3. 그 유명한 바스프 맞다!
  4. phage display라고, 고속으로 유전자 스크리닝하는 기법을 갖고 있다
  5. 얀센, 1998
  6. 암젠, 1998
  7. 한국의 판매권한을 에자이가 갖고 있다
  8. Medical Research Council, 정부 기관으로 영국의 좀 좋은 대학이면 다 이거 브랜치가 나가서 연구를 하고 있다. 노벨상 수상자가 발로 채이고 주말 세미나하고 간 사람이 그 해 노벨상을 받기도 하는 무시무시한 기관.
  9. 얘들은 레미케이드 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