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즈 에어웨스트 706편 공중충돌 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파일:Attachment/휴즈 에어웨스트 706편 공중충돌 사고/crash.gif

당시 추락사고 재현 영상

1 개요

1971년 6월 6일 일어난 휴즈 에어웨스트사[1]DC-9미국 해군F-4 팬텀이 공중 충돌한 사고다.

2 두 비행기의 이륙

당시 706편은 2년전 도입된 기체로, 로스앤젤레스에서 이륙해 솔트레이크 시티, 보이즈, 루이스톤, 파스코, 야키마를 들린뒤 시애틀에 갈 예정이었다. 기장은 테오도루 니콜라이, 부기장은 프라이스 부르너였고, 승객 44명 승무원 5명, 총 49명이 탑승한 706편은 6시 2분에 이륙해 목적지로 향했다. 이륙후 IFR을 따라 비행했다.

한편 네바다 주 해군 항공기지에서는 1964년 4월 15일에 도입된 F-4 팬텀이 조종사와 레이더 요격 관제사를 태우고 이륙했다. 이 둘은 MCAS 엘 토로 소속으로, 항공기는 Mountain Home AFB에서 수리받고 엘 토로로 귀환할 예정이었다.  Home AFB에서 점검한 결과 라디오와 트랜스폰더가 작동하지 않았고, 산소 시스템과 레이더 시스템에도 문제가 있었다. 라디오는 수리받았고, 산소는 낮게 날아서 문제를 해결하기로 했으며, 트랜스폰더와 레이더는 수리할줄 아는 사람이 없어서 못했다.

3 충돌

당시 F-4는 안개가 심하게 껴서 300m에서 4,700m로 고도를 높였다. 이후 기지까지 80km 남은 상황에서 에리언 롤[2]을 했고, 이 때문에 제때 706편을 못봤다.

거기다 F-4가 낮게 나는 바람에 레이더에도 잡히지 않았고, 너무 빨라 706편 쪽에서도 보지 못했다. 거기다 F-4의 레이더는 수리를 아직 안받아 다른 항공기를 보지 못하는 상황이었고, 비행기의 도색때문에 다른 비행기는 잘 볼수가 없었다.

결국 6시 11분 지상 4,620m에서 F-4가 마지막에서야 706편을 발견하고 회피기동을 취했으나 꼬리날개로 기수를 갈라버렸다. 그러면서 기체가 회전해 날개로 한번 더 706편을 쳐서 706편은 기수가 떨어진채로, F-4는 날개가 부러지고 불이 붙은채로 추락했다.

충돌음이 근처 마을에 울려 퍼지고, 레이더 요격 관제사는 간신히 탈출하는데 성공했으나 조종사는 실패해 사망했다. 706편은 충돌로 산의 910m 지점에 추락해 생후 3주된 유아를 포함해 49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이후 추락으로 작은 산불까지 발생해 구조대와 조사단이 사고 현장에 오는데 어려움을 겪었다.[3]

4 사고 이후

사고조사 보고서에는 항공 공역을 고도에 따라 더 정확히 나누고, 군용기의 민간항로 진입을 통제할 것, 또한 레이더 기록 녹화장치와 관제소에 대화기록 녹음장치 설치 등 5개의 변경사항이 실렸다.

FAA와 국방부는 민간항공지역과 군사지역이 겹치는 곳에 대한 관리 프로그램 제작을 요청받았고, 더불어 국방부는 저고도 고속비행 금지를 요청받았다.

5 유사 사고

전일본공수 시즈쿠이시 공중충돌 사고 - 마찬가지로 전투기와 여객기의 충돌사고다.

 
  1. 이름에서 보다시피 하워드 휴즈 소유의 회사다. 원래는 그냥 에어웨스트였는데 하워드 휴즈가 구입한뒤 휴즈가 붙었다.
  2. 기수를 지평선보다 약간 위의 지점을 향하게 한 상태서 1회전 하는 비행. 배럴 롤과는 다르다.
  3. 당시 안개가 심한 탓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