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대 주선

1 가톨릭의 7대 주선 (Seven virtues)

7대 죄악의 반대되는 개념. 7대 죄악도 마찬가지지만 이 개념은 사실 조로아스터교에서 차용해왔다. 선신 스펜타마이뉴와 7선을 관장하는 천사들이 있다.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제시한 '현명, 정의, 절제, 용기'의 기본 미덕사도 바울이 여러 편지에서 제시한 '믿음, 소망, 사랑'을 바탕으로 초대 교회의 교부[1]들이 정리한 것들이다. (참고)

가톨릭의 7대 주선7대 죄악
순결 (Castitas)색욕 (Luxuria)
절제 (Temperantia)식탐 (Gula)
자선 (Caritas)인색 (Avaritia)
근면 (Industria)나태 (Acedia)
인내 (Patientia)분노 (Ira)
친절 (Humanitas)시기 (Invidia)
겸손 (Humilitas)교만 (Superbia)

2 고대 철학의 기본 미덕(Cardinal Virtues)

7대 주선의 기본 베이스는 고대 그리스 아테네의 플라톤이 그의 저서 국가에서 주장한 통치계급의 모델에서 언급된 미덕들에서 파생된다. 그러다가 중세 기독교에서 지배 모델을 중심으로 했던 플라톤의 주장과는 약간 다른 내용으로 변형된다.

  • 지배자: 지혜 ▶ 선과 악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
  • 군인: 용기 ▶ 두려움 없이 역경을 이겨낼 수 있는 능력
  • 생산자(시민): 절제 ▶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
  • 정의[2] ▶ 타인과의 관계에서 이기심을 억제하고 의무를 다하는 능력

3 기타

7대 죄악이 종종 문학이나 성경 등에서도 의사를 가진 하나의 존재로 묘사되듯이, 이러한 7대 주선도 일종의 인격체 혹은 의인화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이들 중 대표적인 것이 정의를 의인화한 유스티티아이며, 중세 성당이나 건물 등에서도 7대 주선을 의인화한 조각상이나 벽화가 발견된다.

하지만 현대의 각종 창작품에서 7대 죄악을 사골마냥 우려먹는 것에 비해서 이쪽은 그다지 유명하지 않다. 주인공이든 적이든 이 만들어내는 이미지가 강렬해서 그럴지도.
  1. 오리게네스, 성 예로니모,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 성 폴리카르포, 성 아우구스티노 등등. (참고)
  2. 지혜, 용기, 절제가 모두 준수되는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