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식 88mm 대공포


제2차 세계대전기의 일본군 화포
곡사포91식 10cm 곡사포, 92식 10cm 캐논포, 96식 150mm 곡사포
야포/산포90식 75mm 야포, 41식 산포, 94식 산포
대전차포94식 37mm 속사포, 1식 기동 47mm 속사포, 97식 57mm 대전차포
보병포11식 37mm 보병포, 92식 70mm 보병포
대공포96식 25mm 고각기총, 5식 40mm 고각기총, 99식 88mm 대공포, 89식 12.7cm 40 구경장 함포

{{틀:화포 둘러보기}}

화포 둘러보기
2차 세계대전
연합군추축군
미국 나치 독일
영국 일본 제국
소련 이탈리아 왕국
프랑스-
냉전 미국 소련

znrv1216129871.jpg

1 제원

무게 6.5톤
포신 길이 3.959m(13 ft) 또는 45 구경장
구경 88mm (3.5 in)
부앙각 -11°~80°
회전각 360°
발사속도 15발/분
포구속도 800m/s (2600 ft)
유효사거리 10,420 m (34,190 ft)
최장사거리 15,700 m (51,500 ft)
포탄
고폭탄 – 9.0kg
소이탄 – 9.5kg
철갑탄 – 10.0kg

2 개요

99식 88밀리미터 대공포 (九九式八糎高射砲)는 2차대전 당시 일본제국군이 사용한 대공포로, 채용된 연도인 황기 2599년[1]에서 따와 99식으로 명명되었다.

3 개발사

중일전쟁 당시 난징 전투에서 일본군은 중화민국이 운용하던 독일제 8.8cm SK c/30 대공포[2]를 몇 문 노획하게 되는데 당시 사용하던 88식 75mm 대공포를 뛰어넘는 사거리와 화력을 깨달은 일본군 기술부는 신속히 SK c/30 대공포를 역설계, 생산에 들어가 1000문 정도를 생산한다.

3.1 형태

99식 88mm 대공포는 포신, 약실과 복좌기를 각각 하나씩으로 이루어졌으며 고정용 나사가 달린 다섯 개짜리 다리로 지탱하였다.
포신은 쉽게 포미에서 분리가 가능했으며, 전체 포 부품은 수송의 편리함을 위해 6개의 부분으로 분리가 가능했다. 9kg(20 lb)의 고폭탄 을 유효사거리인 10,420 m (34,190 ft)까지 발사가 가능하였다. 철갑탄두 역시 대전차전 용도로 개발되었다.

4 실전

연합군을 막기 위해 본토에 배치되었다.
  1. 서기 1939년
  2. 유보트에 달리는것으로 8.8cm Flak과는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