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corl9628zi

경고. 이 문서는 그저 사용자 문서에 불과합니다.

이 문서는 저의 개인적이자 개방적인 공간이기 때문에, 삶의 지혜나 재미와는 거리가 먼 쓸 데 없는 내용이 상당합니다. 알찬 내용이나 재미 있는 글을 읽고 싶으신 분께서는 이 글이 아닌 다른 글을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토론을 위해서 오신 분께서는 여기로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틀 색깔에 관심이 있으신 분께서는 이 문서를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사용자 문서 재정비 중입니다.

좀 더 고급스러운 문서로 돌아오겠습니다(...)

1 연습장

연습장이 좀 더 중요한 관계로 맨 위로 올립니다.

2 개요

3 마천

3.1 공주시 시내버스 사진

공주시 시내버스 사진이다.
모든 공주시 시내버스 사진을 업로드 하는 것이 목표.
나무위키 공주시 시내버스 문서에도 동시 업로드 중이다.

공주시 시내버스 문서를 다듬고 있으며, 기존 문서를 다듬거나 없는 문서를 추가하고 있다.
자세한건 공주시 시내버스/노선 문서 참조.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공주시 시내버스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3.1.1 시내순환 (100번대)

번호사진
100[1]350px
101350px
108[2]350px
125350px

3.1.2 이인, 탄천 방면 (200번대)

개인적인 사정으로 200번대 버스 사진은 많지 않다.

번호사진
200350px
205
210
211
220
221
230350px
240
241
242
250
251
260
261
262
263
264
265
270
280
281
290

3.1.3 계룡, 반포, 유성 방면 (300번대)

개인적인 사정으로 300번대 버스 사진도 역시 많지 않다.

번호사진
300350px
301
302
303
310350px
320350px
321
322
330
340
341
342
350

3.1.4 의당, 장군, 세종시 방면 (500번대)

번호사진
500350px
501350px
502350px
510
511
512350px
520
530
540350px
550
560
561
570
580350px

3.1.5 정안 방면 (600번대)

600번대 버스는 다른 버스에 비해 배차간격이 상당히 긴 편이다. 다른 버스가 하루 10회 이상 다닌다면 이건 하루 10회 미만인 경우가 태반. 이걸 타고 가면 천안시 시내버스와 연계를 할 수 있다. 단, 환승은 불가능.

번호사진
600350px
601
602
610350px
611
620350px
630
631
640
641[3]350px
642
650
651
660
661
662350px
670

3.1.6 우성, 신풍, 사곡, 유구 방면 (700번대)

버스가 자주 다니는 편이다.

번호사진
700350px
701350px
710350px
720350px
721350px
730350px
740[4]350px
750350px
760350px
761
770350px

3.1.7 신풍, 유구 지선 (800번대)

대부분이 유구 지선이다. 아무래도 유구까지 갈 일은 별로 없으니 유구쪽 사진은 적은 편.

번호사진
800
805350px
810350px
820
830
840
850
860350px
861
870350px
871
880350px
881
882
890
891

3.1.8 우성, 청양 정산 방면 (900번대)

단 하나밖에 없다. 원래 있었던 노선은 청양군에서 운영 중이다.

번호사진
900350px

3.2 시내버스 여행 연구

4 매연

5 청하

  1. 기존의 기형적인 종합터미널 경유를 과감하게 때려 치고 바로 전막으로 가는 노선이다. 이렇다 보니 학생 통학 수요가 많다.
  2. 시내 순환이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일단 노선이 세종시까지 가고, 주로 기존 시내 순환 노선이 가지 않는 곳을 훑고 지나가며, 배차간격이 정말 길다.
  3. 분명 641이 맞는데 행선표시는 642다. 뭐지...
  4. 참고로 임시차도 있다(...)
    350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