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of Rain/아이템

기본적으로 모든 아이템들은 해금 조건을 만족하면 아이템 로그에 까만 실루엣으로 나타나게 되며, 차후 스테이지에서 해당 아이템을 습득하면 비로소 완전한 모습이 나타난다. Drizzle[1]난이도에서 플레이 시, 해금 조건은 만족이 되지만 아이템 습득 기록은 저장이 되지 않으므로 유의할 것. 해금조건만 연습하고 싶은 플레이어라면 Drizzle 난이도에서, 컨트롤까지 기르고 싶은 플레이어는 그 위 난이도로 플레이해보자. 멀티플레이어에서 특정 아이템들은 소유한 플레이어가 살아있을 시 아군 전체가 효과를 보기도 한다. 1.0.2 버전부터 멀티플레이어에서 아이템 공유 강제 기능이 추가되었다. 호스트가 이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활성화된다면 다른 플레이어보다 아이템 갯수가 조금 더 많다면 다른 플레이어와 똑같아질 때까지 무조건 아이템을 못 먹는다. 특정 플레이어만 독식하는 행위를 방지할 수 있지만 캐릭터에게 상당히 유용한 아이템도 못 먹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주의.

등급은 각각 커먼(회색)/언커먼(하늘색)/레어(빨강색)/보스드랍(노랑색)[2]/사용아이템(오렌지)/스페셜(보라색)[3]이다.

1 회복/방어 계열 아이템

아이템/이름
아이템 등급
설명/중첩효과
해금조건
Mysterious Vial(신비한 물약)
10%29_Mysterious_Vial.png
Common캐릭터 주변에 녹색 기포가 생기며, 초당 체력 재생량이 1.2 증가한다.

[기본 체력 회복량 1.2 / 중첩 당 체력 회복량 1.2 증가]
-
Monster Tooth(괴물의 이빨)
13%29_Monster_Tooth.png
Common적을 죽일 때마다 체력 10을 회복한다. 단, 회복약이 등장 후 플레이어에게 날아오는 방식이므로, 대량의 피해가 들어오는 상황에 대처하긴 조금 어렵다.

[기본 체력 회복량 10 / 중첩 당 체력 회복량 5 증가]
-
Medkit(구급세트)
15%29_Medkit.png
Common피격 후 1.1초 뒤에 10의 체력을 회복. 자잘한 생채기 데미지를 카운터 치는 데는 좋지만, 어디까지나 피격 후 1초 후에 체력 회복이기 때문에 다수의 적에게 둘러싸이거나 큰 데미지를 한 번에 받는 상황에서까지 좋다고 볼 수는 없다. 4중첩 이상이면 조금 나..아지려나?

[기본 체력 회복량 10 / 중첩 당 체력 회복량 10 증가]
-
Meat Nugget(고기 너겟)
1%29_Meat_Nugget.png
Common적을 공격할 때 8% 확률로 개당 6의 체력이 회복되는 너겟 두 개를 생성한다.

[기본 체력 회복량 6 / 중첩 당 체력 회복량 6 증가]
-
Sprouting Egg(싹트는 알)
5%29_Sprouting_Egg.png
Common7초간 피해를 입지 않으면 초당 체력 회복량이 2.4 증가한다. 전형적인 체력 리젠용 커먼 템. 용암 속에 들어가면 알이 익어서(...) 체력 회복량을 알기 어럽다 카더라(...)

[기본 체력 회복량 2.4 / 중첩 당 체력 회복량 2.4 증가]
-
Bustling Fungus(북적대는 버섯)
3%29_Bustling_Fungus.png
Common2초간 제자리에 서있을 시 주변에 귀여운 사운드와 함께 버섯이 피어나며 최대 체력의 4.5%가 매초 회복되기 시작한다. 단, 피해를 입거나 스킬 사용 시 사라진다. 하지만 게임의 특성상 대부분의 캐릭터는 부지런히 움직이는 일이 다반사므로 먹어도 크게 부각이 되지는 않는다. 재장전을 위해 멈춰서 숨을 돌려야 하는 스나이퍼에게 어울린다. 3초간의 은신이 가능한 밴딧도 활용가능. 로프나 사다리에 매달려 있을 때는 적용되지 않으며, 용암 속에서도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멀티플레이에서는 이야기가 달라지는데 위급상황에서 자신이 기사회생을 할 동안 팀원들이 어그로를 끌어줄 수 있기 때문. 한 개만 먹어두어도 순식간에 부활해 다시 전선에 뛰어들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버섯사이에 들어갔을때의 회복효과는 다른 아군들도 받는다. 때문에 버섯요원을 두고 미리 버섯을 깔아둔 뒤, 팀원이 달려가서 힐을 받는 힐러템으로써의 역할 또한 가능하게 된다.

[기본 체력 회복량 4.5% / 중첩 당 체력 회복량 4.5% 증가]
-
Bitter Root(쓴 뿌리)
17%29_Bitter_Root.png
Common캐릭터의 뒤에서 초록색 아우라가 서서히 흩어지며 최대 체력 8% 증가. 본래 이름은 '쓴 뿌리'이나 아이콘은 한국 유저가 보기에는 누가 봐도 산삼(...) [4]서양에서는 산삼이 저런 이미지로 부각되는 듯 하다.. 순수한 최대체력 증가 템이므로, 탱커를 노리는 사람이라면 중첩을 노리자. 하지만 한계 체력은 9999이므로 Infusion을 습득한 상태라면 적정량만 챙기는게 좋다.

[기본 최대 체력 증가량 8% / 중첩 당 최대 체력 증가량 8% 추가 (최대 300%)]
최대 체력 650 돌파.
Leeching Seed(흡수하는 씨앗)
32%29_Leeching_Seed.png
Uncommon적을 타격할 때마다 2의 체력을 회복한다. 여러 적을 타격할 때에도 동시 적용된다. 이 템을 소유하고 거리만 잘 확보하면서 사냥을 다닌다면 초반에 매우 유용하다.

[기본 체력 회복량 2 / 중첩 당 체력 회복량 1 증가]
-
Harvester's Scythe(수확자의 낫)
45%29_Harvester%27s_Scythe.png
Uncommon크리티컬 확률이 5% 상승하고 크리티컬이 발생할 때마다 체력이 8씩 회복된다. [br
[기본 크리티컬 확률 5%, 체력 회복량 8 / 중첩 당 크리티컬 확률 5%, 체력 회복량 2 증가]
체력 5% 미만이 될 때까지 체력 성소를 사용
Infusion(정맥주사약)
26%29_Infusion.png
Uncommon적을 처치할 때마다 최대 체력이 1씩 상승한다. 유리의 아티팩트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증가량이 감소하지 않기 때문에, 초반에 얻는다면 매우 쉽게 그 게임을 클리어하게 해주는 아이템.

[기본 최대 체력 증가량 1 / 중첩 당 최대 체력 증가량 0.5 추가]
-
Guardian's Heart(수호자의 심장)
36%29_Guardian%27s_Heart.png
Uncommon실드 60이 추가되며, 실드는 7초간 데미지를 받지 않는다면 최대치로 복구된다. 피격 관리만 잘 한다면 크고 작은 생채기나 낙하 데미지를 줄여주는 전형적인 언커먼형 아이템.

[기본 실드량 60 / 중첩 당 실드량 60 증가]
-
Tough Times(어려웠던 시절)
29%29_Tough_Times.png
Uncommon아머를 14 증가시킨다.[5] 중첩 상승량이 의외로 높기 때문에, 3중첩만 돼도 1/3에 육박하는 피해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중첩을 할 수 있다면 팍팍 하도록 하자.

[아머 14증가 / 중첩 당 아머 14증가]
-
Interstellar Desk Plant(성간 책상식물 모형)
Interstellar_Desk_Plant_Icon.png
Rare적을 죽인 자리에 개당 체력8을 회복시켜주는 외계식물을 소환한다. 이빨의 하위호환일 것 같지만 열매를 먹으면 가지에서 또 자라난다. 하지만 일정시간안에 열매를 먹지 않으면 가지가 사라진다.

[기본 회복량 8 / 중첩 당 회복량 3 증가]
셰프로 모래 게 20마리를 SEAR/FLAMBE 스킬로 잡을 것.
Repulsion Armor(반발 갑옷)
59%29_Repulsion_Armor.png
Rare1회 피격 시 캐릭터 주변에 생기는 빈 동그라미가 채워지며, 6회 피격 시(동그라미를 다 채울 시) 3초간 피격 데미지를 83% 감소시키고, 감소된 수치만큼 데미지를 반사하는 실드를 형성한다. 매 중첩마다 발동 피격 수치가 1회 감소하므로 5 중첩이 사실상 한계점.
Tough Times을 제외하면 레어도까지 포함하여 명실공히 리스크 오브 레인 최강 방어템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멀티플레이에서 자신이 탱킹을 담당한다면 Tough Times과 더불어 필수로 먹어야하는 아이템.

[6회 피격 시마다 3초간 피해 감소량 83%, 피해 반사 / 중첩 당 발동 피격 횟수 감소 및 지속 시간 1초 증가(최대 5회)]
-
Dio's Best Friend(디오의 절친)
Dio%27s_Best_Friend_Icon.png
Rare사망시 REVIVE!란 메세지와 함께 날개가 활짝 펴지며 최대 체력의 40%를 가지고 부활하며, 동시에 2초간 무적 상태가 된다. 중첩효과는 없으나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이름은 숫자가 될 수 없습니다. 설명적인 이름을 사용하세요
, 또 습득하면 습득 회수만큼 부활 효과가 다시 적용된다. 도전과제는 하다보면 깨지지만 빠르게 깨고 싶은 분들은 유리의 아티팩트를 끼고 플레이하시면 된다. 이 아이템은 1993년에 죽은 개발자 중 한명인 드러몬드의 애완 고양이 디오가 좋아했던 인형을 본딴 아이템이라고 한다. 이 고양이는 개발자 홈페이지에서도 개발자로 명단에 올라와있는 등 제작진이 많이 아낀 듯하다.전에 그 디오 브란도 로 착각했던 사람들은 무슨 기분일까

[최대 체력의 40%로 부활 후 2초 무적 / 중첩 당 부활 횟수 증가]
50번 사망.
Colossal Knurl(거대 옹이)
Colossal_Knurl_Icon.png
Boss itemColossus가 낮은 확률로 드랍하는 아이템. 최대 체력 60, 방어력 6, 초당 체력 회복량이 1.2 증가한다.

[기본 최대 체력 증가량 40, 체력 회복량 1.2, 아머 증가량 6 / 중첩 시 최대 체력 40, 체력 회복량 1.2, 아머 증가량 6 증가]
보스 Colossus가 일정 확률로 드랍

2 데미지 관련 아이템

2.1 공격시 발동 아이템

아이템/이름
아이템 등급
설명/중첩효과
해금조건
Rusty Kife(녹슨 칼)
Rusty_Knife_Icon.png
Common적을 타격시 15% 확률로 2초간 35%의 데미지가 4회 들어간다. 일종의 출혈 데미지라고 보면 편하다. 출혈이 중간에 끊기지도 않으므로 일단 한번 효과가 발동되면 확정적으로 140% 데미지가 더 들어가는 셈.

[적을 공격 시 15% 확률로 2초간 35%의 데미지를 입힘(4회) / 중첩 당 발동 확률 15% 증가(7회 획득 시 100% 초과)]
-
Mortar Tube(박격포)
Mortar_Tube_Icon.png
Common적을 타격시 9%의 확률로 170%의 데미지를 가진 박격포를 포물선으로 발사한다. 확률은 AtG Missile Mk.1보다는 높지만 실성능은 천지차이. 이유를 크게 두 가지로 꼽을 수 있는데, 첫째는 탄이 낙하하는 지점이 캐릭터의 위로 포물선을 그리며 정면으로 떨어지는지라 적의 머리를 한참 지나 멀리 떨어지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거기다가 넉백까지 달려있어 적이 떨어지거나 구덩이로 빠지는 경우도 매우 잦다. 두번째로는 이 박격탄이 지형을 통과하지 못한다. 동굴 스테이지처럼 좁은 틈새에서 싸워야하는 경우에는 탄이 천장으로 날아가서 터져버린다. 공격력에 비해 성능이 극악한 수준이므로 이 아이템을 사느니 빠루를 하나 더 구비하는게 좋다.이토록 실망스러운 성능때문에 모탈레기라는 굴욕적인 이름도 붙혀졋다....

[적을 공격 시 9% 확률로 170%의 데미지를 가지는 박격포를 2개 발사 / 중첩 당 박격포 데미지 170% 증가]
-
Crowbar(쇠지렛대)
Crowbar_Big.png
Common이미 입에 붙어버린 마성의 이름 빠루 체력 80% 이상인 적을 공격할 때 50%의 추가 데미지를 입힌다. 그럴싸해 보이지만 겉보기에 속지 말자. 저 말을 뒤집어 보면, 적 체력이 80% 아래로 떨어지면 이 아이템은 고자가 되어 버린다(...) 하지만 한 방이 강력한 캐릭터(스나이퍼), 혹은 GLASS 아티팩트를 사용 중이라면 강력한 일격으로 적을 즉사시킬 수 있을 확률이 높아지므로 모으면 모을수록 강력해지는 아이템 중 하나이다.

[체력이 80% 이상인 적에게 50% 추가 데미지 / 중첩 당 추가 데미지 30% 증가]
-
Sticky Bomb(점착 폭탄)
Sticky_Bomb_Icon.png
Common적을 타격시 8% 확률로 140%의 데미지를 가진 점착 폭탄을 적에게 붙인다. 초창기에는 너무 작아서 확인이 불가능할 정도였으나 공격할 시에 몬스터에게 부착되는 형식으로 변했고 사이즈도 눈에 띄는 수준으로 커진데다가 터지기까지 계속 빨간색으로 깜빡이니 이제 확인하기가 쉽다.

[적을 공격 시 8% 확률로 140% 데미지를 가지는 점착 폭탄을 붙임 / 중첩 당 데미지 40% 증가]
엔지니어 직업으로 5초 내에 15개의 지뢰를 터뜨린다.
Taser(테이저 총)[6]
Taser_Icon.png
Common통칭 그물총. 공격 시 7% 확률로 1.5초간 적을 속박시킨다. 1:1 특화 아이템이지만 다수가 둘러싸이는 상황에서는 약간 빛이 바래는 경향이 있으므로 유의.

[적을 공격 시 7% 확률로 1.5초간 속박 / 중첩 당 속박 시간 0.5초 증가]
로더의 C스킬로 2만 피트를 날아갈 것.
AtG Missile Mk.1 (ATG 미사일 MK.1)
AtG_Missile_MK._1.png
Uncommon보조 딜용 아이템 중에서는 가장 무난한 성능을 지녔다. 캐릭터 주변에 X자 모양의 녹색 에임이 뜨며, 공격시 10% 확률로 공격력의 300% 효과를 지닌 미사일을 발사한다. 한가지 특이한 점은 기본공격의 300%가 아닌 발동시킨 공격 스킬의 300%라는 점이다. 이는 Crowbar의 데미지 증가 효과와 중복하여 쓴다면 매우 강력한 데미지가 나온다는 점이다. AtG Missile Mk.2와 함께 장착시 특유의 에임 효과가 둘 다 나타난다. 하지만 발사되는 형태가 똑같아서 확인은 불가능

[적을 공격 시 10% 확률로 300%의 데미지를 가지는 미사일 1개 발사 / 중첩 당 발동 확률 10% 증가]
-
Ukulele(우쿨렐레)
Ukulele_Icon.png
Uncommon적을 공격 시 20%의 확률로 33%의 데미지를 가진 전기 줄기를 4번 발사한다. 감전 효과는 해당 아이템이 발동한 적에게서 나타나며, 발동된 적을 중심으로 데미지가 들어가는 형식이다.

[적을 공격 시 20% 확률로 33%의 데미지를 가지는 번개를 4회 발사 / 중첩 당 데미지 33% 증가]
-
Golden gun(황금 총)
Golden_Gun.png
Uncommon캐릭터 옆에 자그마한 게이지가 생기며, 골드를 먹을 때마다 게이지가 차오른다. 700골드 당 1%씩 / 총 40%의 추가 데미지를 입힌다.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현재 보유한 골드량이 감소하면 추가 데미지 효과도 사라진다. 아이템 파밍하기 바쁜 초반에는 골드가 남아나질 않아 큰 효과를 보긴 힘들지만, 골드 수급이 쉬워지는 후반으로 가면 갈수록 진정한 효과를 발휘하는 아이템이다.

[소지 골드 700당 1%씩 총 40%의 데미지 증가(28000골드 소지 시 최대) / 중첩 당 요구 골드량이 절반으로 감소]
20000골드 소지
AtG Missile Mk.2 (ATG 미사일 MK.2)
AtG_Missile_MK._2.png
RareAtG Missile Mk.1의 강화판으로 획득 시 캐릭터 주변에 붉은 색의 십자 에임이 생기며, 적을 공격 시 7% 확률로 각각 300% 데미지를 주는 미사일 3개를 발사한다. 발사 확률은 Mk.1 보다는 낮으나 발사체 개수는 3발이라 발동률이 떨어졌다는 느낌은 크게 받기 힘들다. 하지만 Mk.1의 Crowbar를 이용한 데미지 증가 효과는 발동되지 않는다. 미사일이므로 기본적으로 지형을 무시하고 적에게 날아간다. Mk.1을 보유하고 있다면 특유의 에임 효과가 둘 다 나타난다.

[적을 공격 시 7% 확률로 300%의 데미지를 가지는 미사일을 3개 발사 / 중첩 당 발동 확률 7% 증가]
-
Brilliant Behemoth(끝내주는 거수巨獸)
Brilliant_Behemoth.png
Rare캐릭터의 모든 공격이 폭발을 일으키며 범위 공격을 가하며, 20%의 추가 데미지를 입힌다. 게임 특성상 대부분의 캐릭터의 무기가 총기류라 몹 여러 마리를 관통하지 못하는 단발형 캐릭터와의 상성이 매우 좋다. 그리고 몬순 난이도에서 가끔 스폰되는 검은 준보스급 투명 몬스터를 투명상태에서 쏘면 폭발이펙트가 뜨므로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캐릭터의 모든 공격이 폭발 공격으로 변경. 폭발 데미지 20% 추가 / 중첩 당 폭발 데미지 20% 증가]
-
Heaven Cracker(천공 분쇄기)[7]
Heaven_Cracker.png
Rare매 4회의 기본 공격마다 100%의 데미지를 가진 적을 관통하는 직선형의 공격을 가한다. 근접캐릭터의 경우에는 4번 공격마다 파동권(...)을 쓰는걸 볼 수있다. 아이템 특성 상 캐릭터를 약간 가린다. [8]

[매 4회 기본 공격(Z)마다 100% 데미지의 관통 공격 / 중첩 당 발동 기본 공격 횟수 1회 감소]
-
Hyper-Threader(하이퍼쓰레더)
Hyper-Threader_Icon.png
Rare기본공격시 주변의 적에게 40%의 데미지를 가지고 1번 튕기는 레이저가 발사된다. 40%의 데미지가 실감이 크게 안 날 수도 있지만 생각 외로 박히는 데미지도 쏠쏠하고, 튕겨나가는 범위도 생각보다 꽤 된다.[9] 그리고 투사체가 왠만한 캐릭터의 투사체보다 빠른 축에 속하고 레이저에도 크리티컬이 터진다! 무엇보다 이 아이템의 의의는 폭발형 공격을 제외한 모든 공격에 레이저가 묻어나간다는 것에 있다. 코만도가 쥐는 순간 딱총이 레이저로 변하는 기적을 맛보게 될 것이다. 그야말로 그동안 곶통받았던 것에 대한 보상인 셈. 아티팩트의 추가로 중첩을 시키기도, 아이템 배열에 추가하기도 편해졌다. 레어도도 레어도이고 그 어떤템에도 꿀릴 것이 없는 기특한 친구. 그러나 이 아이템을 보기 힘든 이유 중의 하나는 역시 해금조건인데, 조건이 고대의 홀, 분쇄하는 정의[10], 처방전, 실드 제네레이터 뺨치는 수준으로 끔찍하다! 아니, 끝판왕이다![11] 무려 코만도로 단 한 번의 데미지도 받지 않고 스테이지 3의 텔레포터를 작동시키는 것. 3스테이지 보스까지 깰 필요는 없다. 실험 결과 낙하데미지와 '엘리트'몬스터중 붉은 녀석들이 남기는 불길의 데미지[12])만 허용된다. 체력성소도 피격판정으로 처리되므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게임을 여러 번 해본 사람은 알겠지만, 공격을 되도록 받지 않으려면 난이도도 낮아야 하고, 포탈을 빨리 찾아야 하는데다, 장소가 협소하면 안 된다. 바야흐로 리오레 안전 클리어의 삼위일체 요소. 저렇게 해도 받을까 말까인데, 더 큰 이유는 저 진리를 알게 될 즈음이면 이미 솔플링이 매우 편한 헌트리스가 해금되어서 구태여 코만도를 쓰고 싶지 않아진다. 하지만 결국 아이템 로그를 오픈하기 위해서는 도전해야 할 과제이며 지금도 수 많은 플레이어들의 눈물을 쏟게 한다. 그런데 이 아이템을 한 아이템을 써서 쉽게 끝낼 수 있는 한 방법이 등장했으니.. 바로 지구본. 지구본의 공격이 자신에게도 날아오지만 밧줄에 매달려 있을 때는 공격을 받지 않는다는 희대의 꼼수를 이용한 일종의 작 방법으로 가는 방법이 있다! 한 러시아 유저가 보여주는 예시[13] 추가로 친족의 아티펙트와 지휘의 아티팩트를 사용한다면 그래도 무난하게 클리어 할 수 있다. 친족의 아티팩트의 경우, 지구본 클리어시 가장 골치아픈 해파리 스폰을 막을 수 있고, 지휘의 아티팩트의 경우, 지구본을 얻을 확률을 그나마 늘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휘의 아티팩트를 사용할 시, 지구본을 제외한 나머지 아이템을 이동속도 증가 아이템들(common의 경우 염소발, uncommon의 경우 붉은 채찍)과 추가 점프 아이템 (uncommon의 경우 Hopoo Feather, Rare의 경우 Photon Jetpack)으로 맞추어 두는 것을 추천한다. (텔레포터를 최대한 빨리 찾을 수 있고, 일반 이동 중의 회피에도 유용하기 때문). 지구본 사용이 어렵고 귀찮은 사람들은 유리의 아티펙트를 사용하자. 몹을 순살시킬수 있어서 한결 수월하다. 어차피 해금하려면 1대도 맞으면 안되니 죽는것과도 같으니 그게 그거다. 사실 그나마 쉬운 방법으로는 멀티에서 팀원들에게 미리 말한 뒤 3스테이지까지 안전한 데서 밧줄 타고 짱박혀 있으면 된다. 아이템 해금은 다른 유저들이 아직 해금하지 못했으면 다 같이 해금되기 때문에 몬순 난이도가 아닌 이상 별말하지 않는다.
참고로 맞지않은 레이저가 계속 맵에 남아있어 렉을 유발하므로 먹는데에 주의하기바란다.

[기본 공격(Z) 시 40%의 데미지를 가지고 1회 튕기는 레이저 발사 / 중첩 당 레이저의 튕김 횟수 1회 증가]
코만도로 단 한 번의 공격도 받지 않고 스테이지 3의 텔레포터를 작동.
Plasma Chain(플라즈마 사슬)
Plasma_Chain_Icon.png
Rare기본공격시 주변 적에게 초당 60%의 데미지를 가진 플라즈마 체인을 하나 발사한다. 플라즈마 체인은 꽤나 오래 적에게 붙어 있으며, 사슬과 연결된 적과 자신 사이에 있는 적에게도 피해를 입힌다.

[기본 공격 시 주변의 적 1기에게 초당 60% 데미지를 입히는 플라즈마 체인을 발사 / 중첩 당 동시 발사 가능한 플라즈마 체인의 갯수가 증가]
-
Shattering Justice(분쇄하는 정의)
Shattering_Justice_Icon.png
Rare통칭 오함마. 적을 타격시 2초간 적의 아머가 5씩 하락한다. 최대 25(5중첩)까지 가능하다. 리오레의 거의 유일한 방어력 관통 디버프 아이템이다. 이 아이템을 얻고 적을 때려보면 확실히 데미지 딜링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다. 다만 해금조건이 약간 빡빡하다. 마이너의 해금조건이 일단 만족되어야 하며[14] 레벨 10이 될 때까지 두 대 이상 피격당하지 말아야 하다. 뭐 마이너 자체가 회피에 특화된 캐릭터니 마이너에 익숙해지면 스테이지 1에서 파밍하면서 컨테이너 대박을 노리거나, 열심히 튀면서 잡다 보면 조건이 만족되어 있을 것이다. 뭐 다 그렇듯, 욕심 때문에 무리는 하지 말자.

[적을 공격 시 2초간 대상의 아머 5 감소 / 중첩 당 지속 시간 0.5초 증가]
마이너로 레벨 10까지 두 대 이상 피격당하지 말 것.
Thallium(탈륨)
Thallium_Icon.png
Rare통칭 쇠막대. 적 타격 시 10% 확률로 3초간 적의 이동속도를 100% 감소시키고, 일정 확률로 머리에 방사능 마크가 뜨면서 500% 만큼 피해를 준다. 광역 디버프+공격인데다가 해금조건도 없는 만큼 운이 좋다면 이 아이템으로 게임을 쉽게 풀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근접 혹은 광역 공격을 펼치는 캐릭터들에게 매우 어울린다. 다만 단발성 캐릭터에게는 크게 부각되지 않는데다가, 이 아이템을 또 먹어도 효과가 중첩되지는 않는다.

[적을 공격 시 10% 확률로 3초간 이동 속도 감소 및 500% 추가 피해 / 중첩 효과 없음]
-
Telescopic Sight(망원 조준경)
Telescopic_Sight_Icon.png
Rare통칭 스코프. 적을 타격시 1% 확률로 일격사한다. 적을 때리다 몹이 갑자기 픽 죽으면서 백만단위의 데미지가 뜬다면 일격사가 터진 것. 리오레 유일의 일격사 옵션이지만 몹들에게 둘러싸여서 몰이사냥을 하다보면 크게 부각되지는 않는다. 그냥 '아 이런 옵션도 있었지'하고 사냥하게 되는 수준. 중첩시키면 일격사 확률이 늘어나며, 최대 3프로까지 증가한다.(4중첩) 체감상인지는 모르겠으나, 스나이퍼로 플레이 할 때 드랍확률이 조금 늘어나는 듯 하다. 해금조건이 빡빡하지는 않지만, 의식하고 플레이하면 더욱 안 된다. 열심히 스나이퍼를 굴리다보면 자동적으로 언락되는 그런 아이템.

[적을 공격 시 1% 확률로 즉사시킴 / 중첩 당 즉사 확률 0.5% 증가 (최대 4회]
스나이퍼로 적을 10연속 일격 킬.
Laser Turbine(레이저 터빈)
Laser_Turbine_Icon.png
Rare통칭 터빈. 모든 공격 및 스킬 사용 시 캐릭터 주변으로 은은한 붉은 원이 차오른다. 일정 크기 이상 원이 커지면, 앞 뒤로 거대한 레이저 빔을 발사하여 범위 내 모든 적을 2000% 데미지로 공격한다. 짤짤이로 치고 빠치는 캐릭터들의 숨통을 틔워준 일등공신이라 해도 무방하다. 초반에 이 아이템은 무척이나 강해서, 보스전 몹몰이를 하다가 레이저가 한번 터지면 보스와 자신만 남아 있는 재미난 상황이 종종 연출되기도 한다. 셰프를 해금했다면 쿨감 템 등등을 모아 필히 우선적으로 해금해야 할 아이템. 제일 이상적인 것은 새로 추가된 자수정이다. 그래도 커맨드가 ZZVZ템VZ로 손이 빠르지 않으면 약간 빡빡한 편....이라지만 이럴 필요까진 없고, 공격을 따라하는 분신을 만드는 Shattered Mirror(갈라진 거울) 아이템을 쓰고 VZZ 한번이면 바로 해금된다. 갈라진 거울에 해금조건도 없으니 셰프를 해금하고 갈라진 거울을 얻자마자 속히 해금하도록 하자.

[모든 공격 및 스킬 사용 시마다 게이지(붉은 원) 충전. 충전 완료 시 2000%의 데미지를 가지는 거대 레이저 발사 / 중첩 당 충전 게이지량 감소]
화면 내에 식칼(Z평타) 20개를 출현시킬 것.
Ifrit's Horn(이프리트의 뿔)
Ifrit%27s_Horn_Icon.png
Boss item통칭 뿔,쥐똥고추(...)[15] 적을 타격시 8% 확률로 데미지 220%가 들어간다. 나쁘지는 않은 옵션이지만 이프리트란 보스가 생각보다 자주 나오는 편이 아니라 보기는 좀 힘든 편. 나오면 콜렉션이라 생각하고 먹어두자.

[적을 공격 시 8% 확률로 220%의 데미지를 입히는 불기둥 불사 / 중첩 당 불기둥 데미지 30% 증가]
보스 Ifrit가 일정 확률로 드랍
Legendary Spark(전설의 불꽃)

Legendary_Spark_Icon.png
Boss item적을 타격시 8% 확률로 에인션트 위스프의 불꽃이 화면 상의 적들을 랜덤하게 강타하며 200%의 데미지를 입힌다. 말 그대로 에인션트 위스프의 마이너버전 공격을 행한다. 위의 뿔이 보스가 안 나와서 흔하지 않다면 이 아이템은 드랍률이 영 좋지 않은 경우. 중첩은 당연히 기대하기가 힘들다. 나오면 콜렉션이라 생각하고 먹어두자.

[적을 공격 시 8% 확률로 200%의 데미지를 입히는 보라색 불꽃 발사 / 중첩 당 불꽃의 갯수가 증가]
보스 Ancient Wisp가 일정 확률로 드랍

2.2 처치시 발동 아이템

아이템/이름
아이템 등급
설명/중첩효과
해금조건
Gasoline(가솔린)
Gasoline_Icon.png
Common통칭 휘발유. 적 처치 시 적이 있던 자리가 불타오르며 주변 적들에게 초당 60%의 데미지를 2초동안 입힌다. 바로 위의 블레이즈 스텝의 하위호환이라면 하위호환. 이쪽은 적을 처치해야 불이 붙는다는 점에서 다르다. 다만 데미지는 이쪽이 더 세고, 흔하기도 이쪽이 흔하다. 해금조건도 게임을 멍하니 하다보면 이미 완료되어있는 경우가 허다하므로 먹는 것은 본인의 선택에 따라..
(중첩효과)횟수당 불길 데미지 40% 추가.
한 판의 게임 내에서
레무리안 20마리 처치
Chargefield Generator(충전장 발전기)
Chargefield_Generator_Icon.png
Uncommon통칭 역장. 적을 처치시 캐릭터 주변에 초당 공격력의 50% 데미지를 입히는 역장을 6초간 전개하며, 역장 지속 중에 적을 죽일 경우 역장의 범위가 증가하며 지속시간이 초기화된다. 범위로는 철사의 상위호환격. 최대 중첩의 제한이 없기 때문에 13마리 이상의 몰이사냥이 연속으로 성공할 시 화면 전체가 범위가 되는 매우 크고 아름다운 역장을 구경할 수 있다. 다만 언커먼치고는 언락조건이 상당히 빠박한 구조다. 뭐 머셔너리만 언락하면 끝인거나 다름없지만..[16]
(중첩효과)횟수당 역장의 초당 데미지 10% 증가.
머셔너리로 50명의 적에게 V스킬(Eviscerate) 시전
Will-o'-the-wisp(도깨비불)
Will-o%27-the-wisp_Icon.png
Uncommon통칭 불병. 적을 죽이면 33% 확률로 폭발하면서 500% 데미지의 용암 기둥을 생성하고, 적을 공중에 띄우면서 잠시 스턴을 건다. 상자에서도 나올 수 있지만 의외로 마그마 웜을 잡았을 때 나오기도 한다. 몰이사냥에서 매우 뛰어난 효능을 지닌다. 몰이하다가 둘러싸였는데 누가 죽어서 용암기둥이 발생했다면 즉시 광역 에어본기로 탈바꿈한다. 에어본에서 내려온 적이 또 죽고 또 용암기둥이 발생하고 이 것이 반복된다면? 이하생략.. 무적기가 없는 상태에서 몰렸을 때 발동된다면 빠져나오기도 무적기 시간을 벌기에도 용이하지만, 공중에 뜬 만큼 호밍기를 제외한 직선계통 공격은 통하지 않으니 유의.
(중첩효과)횟수당 용암기둥의 데미지 증가.
-
Frost Relic(얼어붙은 유물)
Frost_Relic_Icon.png
Uncommon통칭 눈송이. 적을 죽이면 자신의 주위로 눈송이 3개가 돌면서 한 개당 33% 데미지를 입힌다. 적을 죽이면 원이 하나 추가된다 이것도 역장마냥 여럿을 한 번에 죽여야 빛을 보이는 아이템으로 적 여럿을 한번에 죽이면 눈송이가 그라인더로 변하는 무시무시한 광경을 목격할 수 있다. 갈린 적이 죽으면서 초기화가 되는 건 덤. 역장과 달리 이 아이템은 근접해서 써야 효과를 잘 볼 수 있으므로 근접 캐릭과 상성이 좋다.
(중첩효과)중첩당 눈송이 1개 증가.
-
Ceremonial Dagger(의식용 단검)
Ceremonial_Dagger_Big.png
Rare통칭 단검. 적을 처치시 그 자리에서 공격력의 100% 데미지를 입하는 유도 볼트 4발이 생성된다. 이름 그대로 적을 추적하므로 몰이만 한 번 잘 되면 킬을 우수수수 쓸어담을 수도 있다. 유리의 아티팩트를 적용한 순간 500%데미지로 날아가는 4발의 핵미사일이 돼 버린다. 초반에 몬스터 한마리 잡으면 주위 잡몹들이 죽어버린뒤 그 몬스터들에게 다시 볼트가 생성되고 다시 죽고 다시 볼트가...
(중첩효과)횟수당 생성되는 볼트 수 2발 증가.
-

2.3 기타 데미지 아이템

아이템/이름
아이템 등급
설명/중첩효과
해금조건
Barbed Wire(가시 철사)
Barbed_Wire.png
Common통칭 철사. 캐릭터 주변에 원형 와이어가 쳐지며, 적과 닿으면 초당 50%의 데미지를 입힌다. 그냥 고만고만한 부비부비용 근접딜링템. 커먼 등급에 걸맞게 그리 세지 않으며 특성상 근접 캐릭터가 사용하는 것이 효율이 좋다. 그래도 이걸 끼고 최종보스와 싸워보면 나름 방어력 버프를 무시하고 데미지가 들어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첩 제한이 없는지 아티팩트를 끼고 다다익선으로 철사를 많이 먹으면 데미지가 굉장히 늘어난다. 실험해본 결과 238개가 되면 데미지가 10000을 넘는다. 그리고 이때 와이어의 범위가 화면을 넘어간다. 이 상태에서 마지막 보스를 잡으면 1패턴이 10초만에 끝나고, 2패턴의 지렁이중 하나는 나오지도 않는다(...) 하지만 철사를 아무리 많이 사도 역장과 다르게 범위 내에 몹이 많이 있어도 데미지가 한마리만 들어가며 줄에 매달려 있는 상태에서는 철사가 데미지를 주지 않으므로 주의하도록 하자.
(중첩효과)횟수당 범위 20%,초당 데미지 10% 증가.
-
Bundle of Fireworks(불꽃놀이 세트)
Bundle_of_Fireworks_Icon.png
Common통칭 폭죽. 상자를 열거나 드론을 줍거나 포탈을 여는 등 a키로 발동하는 모든 동작을 취할 시 폭죽 8발이 발사되며, 각각 300% 데미지를 입힌다. 폭죽 효과도 예쁘고 즉시 빠르게 날아가는지라 견제를 하기에도 좋지만 사거리가 길지는 않고, 후반으로 가면 뭔가 아쉬워지는 아이템이다.
(중첩효과)횟수당 발사 폭죽 수 2개, 데미지 증가
-
Headstompers(머리찍개)
Headstompers_Icon.png
Common통칭 인간딛개깔창. 일정 높이에서 몹의 위로 낙하할 시 바닥이 찍히는 이펙트가 생기면서 주변 적들에게 데미지를 입힌다. 높이에 비례하여 최대 507%까지 데미지가 상승한다. 그러나 이 낙하 데미지를 바라보고 몹을 향해 뛰어내리는 플레이어는 많지 않을 것이다. 높은 곳에서 뛰어내린다고 낙하데미지도 경감되지 않을 뿐더러, 내려온 곳은 필시 몹들의 한 가운데여서 한됫박 얻어맞을 것이 자명하므로.. 상자에서 이 아이템이 나왔다면 그저 조용히 눈물을 삼키자...
(중첩효과)횟수당 최대 데미지의 상한선 증가.
-
Toxic Worm(독소 벌레)
Toxic_Worm_Icon.png
Uncommon통칭 독벌레. 획득시 캐릭터 주변으로 녹색의 불덩이 같은 것이 빙빙 돌기 시작하며, 처음 접촉한 적을 감염시켜 초당 50% 데미지를 5초 정도 준다. 사망 시 다른 적에게 옮겨가고 적이 주변이 없다면 플레이어에게 돌아와서 다시 붙일 수 있다. 리오레의 지속 데미지 사성수중 중독을 담당하고 있다 카더라. 우스개소리로 들릴 지 모르겠으나, 실제로 적 1기에게만 감염시킬 수 있는 단점을 제하면 가성비가 매우 뛰어난 축에 속한다. 무적기를 이용하면 자신은 데미지를 입지 않으면서 적에게 붙이는 멋들어진 묘기도 가능. 물론 붙이는 대상을 지정할 수는 없지만.. 초반에도 에너지 깎이는 속도가 확연히 눈에 띄고, 후반에도 다른 지속데미지 템이나 드론들과 힘을 합하면 인세인 이상 난이도에서도-단일 폭딜 한정이지만-적들의 피가 죽죽 까이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아크리드를 해금해서 열심히 굴리다 보면 알아서 언락되기에 빠른 해금을 노리자.
(중첩효과)횟수당 감염시킬 수 있는 최대 적 수 증가.
아크리드로 독성 물질(C스킬) 1만 피트동안 사용.
Dead Man's Foot(죽은 자의 발)
Dead_Man%27s_Foot.png
Uncommon통칭 좀비발. 체력이 낮을 때 150% 데미지를 입히는 독성 지뢰를 4개 드랍한다. 데미지가 나름 쏠쏠하지만, 급박한 상황에서 일일히 돌아보기는 힘든 뭔가 계륵같은 존재. 언락조건은 그렇게 어렵지는 않다. 스테이지 4가 Hive Cluster 스테이지라면 필히 오른쪽 아래는 탐험해보자. 부푼 시체를 조사하면 벌 하나가 튀어나오고 이 녀석을 잡아야 한다. 참고로 이 벌은 5스테이지에서 한 번에 우르르 나와 플레이어의 짜증을 미친듯이 돋구는 녀석으로 주구장창 보게 될 것이다. 여담으로, 이 아이템을 먹고 캐릭터를 자세히 보면 꼭 오줌을 지리는 것처럼 하체에서 뭔가가 흐른다...
(중첩효과)횟수당 드랍 지뢰 1개씩 증가.
Hive Cluster 스테이지에서 일정 확률로 오른쪽 아래에 스폰되는 '부풀어오른 생존자'를 조사 (싱글플레이에서만 가능)
Tesla Coil(테슬라 코일)
Tesla_Coil_Icon.png
Rare통칭 테슬라. 지속적으로 자신 주변의 적을 150% 공격력의 전류로 공격한다. 전류와 전류 사이에 약간의 쿨타임이 존재하지만 범위도 적절하고, 다단히트로 충격이 들어가기에 크게 신경 쓰이지도 않고 이름값을 톡톡히 하는 근접공격형 아이템. 커버범위가 3~4중첩 철사정도 되는데다 몰이사냥이 되면 어차피 자주 적을 맞추는게 일상이 되므로 크게 부각되는 단점은 아니다. 해금조건도 없으므로 초심자도 운만 좋다면 쉽게 접할 수 있는 아이템. 리오레의 지속 데미지 사성수중 감전을 담당하고 있다 카더라.
(중첩효과)횟수당 감전 데미지 50% 추가.
-
Fireman's Boots(소방수의 부츠)
Fireman%27s_Boots_Icon.png
Rare걸어가는 자리에 잠시동안 불이 붙으며 불 내의 모든 적은 초당 35%의 데미지를 입는다. 효과는 저게 끝인데, 언락 조건이 심히 괴랄하다. 일단 4스테이지가 Magma Barrack이라는 선결 조건이 붙어야 하고, 용암에서 1분간 사우나를 할 충분한 체력이 필요한데, 체감상 거의 0.5초당 16~18의 데미지를 입는다. 계산을 해보면 초당 32~36데미지, 이 짓을 일 분간 한다고 생각한다면.. 최소 1920~ 최대 2400정도의 데미지를 스트레이트로 받아낼 깡이 있어야 한다! 이를 가지고 얼추 추산해보면 체력 1300대(+과일+녹물약 2개)정도면 클리어를 무리 없이 할 수 있다. 이 과제를 클리어 할 마음으로 플레이한다면 성장체력이 좋은 캐릭터를 골라 레벨링을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17] 물론 중간에 앗뜨거 하고 빠져나와 밧줄을 잡는 순간 아웃. 자신이 체력이 풀피라고 아무 생각 없이 용암에 다이브를 하는 만용을 부리지 말자. 정말 빨리 왔다손 쳐도 노말 난이도 기준으로 난이도가 노말~하드쯤 되었을 텐데, 그 동안 리젠되는 몹들은 놀고 있지 않는다. 회복드론이 두기 정도라면 한 번 도전해봄 직 하다. 물론 이렇게 고생고생해서 얻은 레어주제에 가성비는 꽤 떨어지는 편.. 그나마 이 과제를 달성할 때 제일 좋은 아이템들이라면 외국의 과일, 디오의 절친,[18]실드 생성기, 곰인형, 녹물약, 산삼, 퍼밀리어[19] 등이 있다. 버섯과 계란이 적용되는지 한 때 의견이 분분했는데, 한 업적가가 용감하게 실험해본 결과 버섯이 용암 속에서 피어나는 건 생태계의 오류라고 생각했는지 버섯은 용암 속에서는 적용이 되지 않았고 계란의 체젠 속도보다 용암의 데미지가 더 높아 확인 불가능. 아직까지 이 과제를 달성해보고자 하는 사람들은 그리 많지 않지만, 지금까지도 근근히 항목이 수정되고 있는, 의견이 분분한 실시간으로 연구되고 있는 항목이다. 이 과제를 진지하게 하고 있는 사람들은 모두 M임이 틀림없다 도전과제를 달성하고 싶은 위키러들을 위한 꼼수. 해금조건은 그냥 용암에서 1분간만 버티라고 했다. 그렇다. 몬스터가 없어도 된다! 그러니깐 설명을 하자면,
1.Magma Barrack 맵을 입장한다.
2.최대한 빨리 포탈을 작동시킨다.
3.텔포 작동이후 90초가 지나면 몹이 절대로 젠 되지 않는 특성을 이용하여모든 몹을 처리하고 체력이 풀로 차기를 기다린다.
4.용암에 몸을 담근다.
5.1분 타이머를 맞추고 딴짓을 한다.
6.?????????
7. PROFIT!

(중첩효과)횟수당 화염 데미지 20% 증가.
용암에서 1분간 생존
The Ol' Lopper(낡은 전지(剪枝))[20]
The_Ol%27_Lopper_Icon.png
Rare통칭 도끼. 체력이 9% 미만인 적에게 무조건 치명타가 뜨는 졸렬한매력적인 옵션이다. 치명타로 먹고 사는 캐릭터들과 상성이 매우 좋다. 해금과제가 약간 빡빡해보이나, 아이템 파밍이 잘됐다면 크게 어려운 것은 아니며, 초심자라도 운이 좋아 기관총 드론 5~6기만 가지고 있으면 40분 생존하는 건 매우 간단한 일이다. 군비경쟁 아이템까지 달려있다면 금상첨화. 첫 스테이지에서 텔레포트를 작동시키면 적들이 더 이상 리젠되지 않는다는 걸 이용해 모두 죽인 뒤 다음 스테이지로 가지 않고 40분동안 죽치고 있어도 언락된다. 다만 모두에게 공통되듯 좁은 장소에서 싸우면 템이 좋건 뭐건 폭망하니 주의. 아무리 몹의 패턴을 다 알고 있고 후반으로 갈 수록 유도미사일을 빼면 전부 근접만 시키지 않으면 되는 체력돼지들이라지만 둘러싸이면 무섭다..
(중첩효과) 크리티컬이 터지는 체력의 최소 상한선 4% 증가. 최대 적 체력의 35%까지 증가.(8중첩)
한 게임에서 40분동안 생존
The hit list(살생부)
The_Hit_List_Icon.png
Rare이름대로 살생부. 화면 내의 적 중 무작위로 한 마리에게 가위표가 그어지며, 해당 적을 죽일 시 1회당 0.5%씩 데미지가 상승한다. 최대 40회 중첩. 해금조건이 살짝 빡빡하지만,유리의 아티팩트가 있다면 거짓말 살짝 보태서 시작하자마자 V버튼만 눌러도 해금이 된다. 해금을 풀고 먹게 되면 적을 죽이기만 해도 알아서 딜량을 상승시켜주는 좋은 아이템. 되도록 몹을 잡기 쉬운 초반에 나오길 빌자. 코옵의 경우 살생부를 먹고 마킹이 뜨면 팀원이 잡은 것도 인정이 된다.
(중첩효과)횟수당 마킹 시킬 수 있는 최대치 증가. 1중첩 당 1씩.
밴디트로 15회 연속 쿨타임 초기화(V스킬로 적을 죽일 것)

3 기타 아이템

아이템/이름
아이템 등급
설명/중첩효과
해금조건
Lens Maker's Glasses(렌즈 장인의 안경)
Lens_Maker%27s_Glasses_Icon.png
common통칭 선글라스. 획득시 캐릭터 위에 십자선 표식이 뜨며 공격시 일정 확률로 크리티컬이 뜨며 두배 데미지를 입힌다. 더도 아니고 덜도 아닌, 치명타 아이템. 이것이 전부이다. 어차피 먹어봤자 플레이어의 운에 달려있는 것이므로.. 크리티컬 관련 아이템들과 상성이 좋은 편이다. 치명타 확률 계산 공식이 특이한데, 우선 이 아이템이 첫 치명타 아이템일 때, 첫 번째 안경은 치명타 확률을 10% 상승시켜 준다. 그 이외의 경우, 7% 상승한다. 예를 들어 수확자의 낫을 얻고 이 아이템을 얻으면 치명타 확률은 1%(기본 치명타 확률)+5%(수확자의 낫)+7%(안경)=13%이지만, 안경을 얻고 수확자의 낫을 얻으면 1%+10%+5%=16%가 된다. 실험결과, 안경을 15개 정도 먹으면 거의 모든 공격이 치명타가 된다. 우리의 용병으로 플레이할때 해주자.
(중첩효과)더블 대미지 확률 증가. 스택당 7%
-
Soldier's Syringe(병사의 주사기)
Soldier%27s_Syringe_Icon.png
common통칭 스팀팩. 획득시 캐릭터 주변이 울렁거리듯 빛나면서 공격 속도가 15% 증가한다. 하나만 먹어도 빨라지는 것이 보인다. 2중첩 이상부터는 말할 것도 없고.. 채팅으로 친다면 '타탕-타탕-타탕-타탕'이 '타당타당타당타당'으로 바뀌는 느낌? 해금조건은 매우 쉬운 편이다. 코만도 굴리다가 번쩍하면 '어 떴네'라고 말할 정도. 구르기 연습용이라 생각하고 하면 쉽다. 빨리 깨고 싶다면 유리의 아티팩트를 끼고 레벨업을 하지 않은 뒤 보스 공격 회피에 열중하자. 해파리 보스같은 경우엔 한두번만 회피해도 클리어돼 있다. 중첩은 13번 까지 되며 즉 195%증가가 최대이다.
(중첩효과)중첩시 공격속도 15% 추가 증가.
코만도로 치명적인 적의 공격을 7번 회피한다.(맞으면 죽는 공격을 굴러서 회피)
Paul's Goat Hoof(폴의 염소발)
Paul%27s_Goat_Hoof_Icon.png
common통칭 염소발, 말발굽. 획득시 이동하는 플레이어 뒤로 바람을 가르는 듯한 잔상 이펙트가 생기며, 효과는 심플하게 이동속도 20% 증가. 단 20%지만, 먹고 안 먹고의 체감이 큰 편이라 먹어도 아쉬울 것 없는 아이템. 해금조건은 그냥 아무 생각없이 성소에 도박을 걸면 된다. 해금이 매우 쉬운 편이나, 왠지 패배한 것 같은 느낌이 든다면 기분 탓이다. 참고로 이동속도가 증가하면 이동기의 이동거리도 증가한다. 이 아이템이 쌓이다보면 이동기로 벽을 뚫고(!) 들어가기도 한다...
(중첩효과) 이동속도가 더 빨라진다. 최대 24~25중첩.
성소 도박을 연속 3번 실패한다.
Hermit's Scarf(예언자의 스카프)
Hermit%27s_Scarf_Icon.png
common통칭 스카프. 10%의 확률로 EVADED!란 이펙트가 생기면서 공격을 회피하며, 회피한 공격에는 데미지를 입지 않는다. 생각 외로 확률이 쏠쏠하기 때문에 누가 먹어도 좋은 아이템이며, 등급도 커먼이라 잘 나오고, 해금 조건도 아이템만 잘 뜨면 크게 어렵지 않은 편이다. 헌트리스 해금만 잘 끝내면 반 이상 달성했다고 봐도 무방한 아이템.
(중첩효과)회피 확률 5% 증가. 최대35%까지 상승한다.(6중첩)
헌트리스로 200%의 공격속도를 달성하라
Life Savings(생명보험)
Life_Savings_Icon.png
common통칭 저금통, 보험, 펀드. 3초마다 1골드를 생성한다. 돈을 알아서 생성해준다는 건 매우 매력적인 옵션인 것 같으나, 스스로도 몹시 느리다고 체감하게 될 것이며, 템이 잘 맞춰지면 몹이 쑥쑥 쓸려나가는 후반에서는 있는지도 모를 정도가 된다. 중첩을 시키면 좀 나을지도 모를 것 같아 보이지만, 기억하자. 이 게임에서는 시간이 금이다. '난 제자리에 서서 돈을 열심히 벌어 풀템을 맞추고 가겠어!' 같은 순수한 생각은 통하지 않는다.
(중첩효과)3초당 1골드 추가 생성.
-
Warbanner(전쟁 깃발)
Warbanner_Icon.png
common이름대로 사기 증진깃발. 레벨 업 시 레벨 업 한 순간 있었던 위치에 깃발이 생성되어 주변의 최대 아군 4명에게 이동속도/공격속도 30% 증가, 최대 체력의 1% 회복의 버프를 걸어주며, 레벨 업 사운드와 그래픽이 변경된다.[21] 커먼 아이템인데도 걸어주는 버프가 매우 빵빵하다. 대략 염소발 1.5개+스팀팩2개+녹차 1개 분의 버프가 한번에 걸리는 것이다! 캐릭터의 머리 위에 노란 깃발 아이콘이 뜨면 버프가 걸린 것이며, 범위를 벗어나도 3초정도는 지속된다. 컨트롤이 익숙해졌다면 포탈 앞에서 레벨 업을 한 뒤 보스와 젠되는 몹들을 상대로 깃발 내에서 와리가리를 하며 탱킹을 해볼 수도 있다. 2업을 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깃발을 양 옆으로 설치하여 버프 범위를 최대한 늘려주는 것이 포인트. 버프 좋고, 해금과제도 없고. 레벨 업 시 설치되는 것이라 설치 범위를 조절할 수 없다는 것이 유일한 단점이라면 단점이다. 아니, 뒤집어서 이 깃발 범위가 지정식이였다면 레어 등급으로도 부족한 OP템으로 등극할 것이다. 그리고 인포서가 이 아이템을 먹으면 깃발만 잘 꽂아도 초반~중반은 죄다 씹어먹는다!
(중첩효과)중첩시 버프 범위, 체력 회복량 최대 체력의 2%만큼 증가.
-
Fire Shield(화염 방패)
Fire_Shield_Icon.png
common통칭 화염구. 최대체력의 10%에 달하는 데미지를 입을시, 200%의 데미지를 입히는 폭발을 일으킨다. 윌-오-위스프와 상성이 매우 좋다. 자신의 폭발도 공격 판정이기 때문에, 이 폭발로 죽은 적이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럼 몹이 또 붕 뜨고, 내려오다가 죽는 몹이 생겨서 일정확률로 또 폭발이 터지고 하면.. 무한 방방이의 성립.
(중첩효과)횟수당 데미지 증가.
-
Spikestrip(가시 장판)
Spikestrip_Icon.png
common이름대로 가시장판. 피격 시 자신의 뒤편으로 2초동안 유지되는 장판을 깔며, 이 위를 지나는 적들은 이동속도가 20% 감소한다. 선 피격 아이템들이 그러하듯 가성비는 매우 애매한 편인 아이템. 더군다나 데미지를 주는 것도 아니다! 해금과제는 한번에 끝내려면 은근 암이 걸리는 편이므로 다른 인포서 도전과제와 연동해서 깨는 편이 심신건강에 좋다.
(중첩효과)중첩시 장판의 지속시간 1초 증가.
인포서의 방패막기로 도합 2000 데미지를 가드한다.
Snake Eyes(뱀의 눈)
Snake_Eyes_Icon.png
common통칭 주사위. 성소 도박에 실패했을 시 캐릭터 위에 주사위 눈이 생기며 치명타율이 5% 상승한다. 계속 실패할 시 주사위 눈이 오르며 치명타율이 추가로 상승한다. 최대 6중첩. 단 성소 도박에 성공시 치명타율이 초기화된다. 해금은 그냥 운이 좋을때 빡빡 지르면 되지만 그에 비해 가성비는 매우 그런 편. 왠지 화까지 난다. 성소 도박이 성공하면 쌓아뒀던 치명타율이 모조리 사라지므로 이래저래 실패하면 실패하는 대로 슬프고, 성공하면 성공하는 대로 또 슬프다. 3코너 쇼핑에서 떴다면 구매하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 상자에서 나왔다면? 어쩌겠나 먹어야지..
(중첩효과)성소도박 실패시 치명타율이 추가로 3% 상승한다.
성소 도박을 연속 4번 성공한다.
Prison Shackles(감옥 족쇄)
Prison_Shackles_Icon.png
Uncommon통칭 수갑, 철컹철컹. 적을 타격시 적의 이동속도가 1초동안 20% 느려진다. 한 적을 계속 때린다고 가중 중첩이 되는 건 아니지만 상시 발동이라 슬로우 타임이 초기화되므로 가성비는 나쁘지 않은 편. 중첩효과에 대해서는 해외 위키와 우리 번역이 약간 차이를 보인다. 본 항목에서는 해외 번역을 우선시하나, 추후 정확한 효과를 알게된다면 추가바람.
(중첩효과)중첩당 둔화 지속시간 0.5초 증가, 둔화율 20%씩 추가.(최대 60%)
-
Predatory Instincts(포식자의 본능)
Predatory_Instincts_Icon.png
Uncommon통칭 늑대후드. 크리티컬 확률이 5프로 증가하며, 크리티컬이 터질 시 3초간 공격속도가 10% 증가된다. 총 3번 중첩된다. 크리티컬이나 공속으로 먹고사는 캐릭터들에게는 상성이 좋다. 공속이 빠르면 더 많은 공격을 하는 것이고, 그만큼 크리가 터질 확률도 증가하는 단순한 이유 때문. 해금조건이 쉬울 것 같지만 의외로 빡빡하다. 에인션트 위스프가 젠 되고 나서 잡몹이든, 낙하데미지든, 그 어떤 데미지도 입지 않고 에이션트 위스프를 잡는 것이다. 그나마 쉽게 클리어하는 방법이라면 헌트리스로 정말 그 어떤 공격도 닿지 않을 거리에서 사정거리가 긴 X만 날리는 정도..? 넓은 맵이 나오길 기도하자.
(중첩효과)횟수당 크리티컬 확률 5%, 크리티컬 시 공격속도 1% 추가 증가.
헌트리스로 Ancient wisp를 어떤 데미지도 받지 않고 처치 {Ancient wisp 이 젠되고나서는 그 어떤 데미지도 입으면 안됨.(심지어 낙하데미지도 입으면 안됨)}
Boxing Gloves(권투 장갑)
Boxing_Gloves_Icon.png
Uncommon이름대로 권투글로브. 타격시 6%의 확률로 적에게 권투글로브 이펙트가 발생하면서 뒤로 일정 거리 밀려난다. 아이템의 특성상 단발로 승부를 보거나 근접해서 싸워야 하는 캐릭터들과는 상성이 좋지 않고, 난사 혹은 필수로 거리를 벌려야 하는 캐릭터와는 상성이 좋다.
아이템 설명에는 확률이 15%라 나와있으나 실제로는 6%이다.
(중첩효과) 중첩당 넉백 확률 6% 증가.[22]
-
Concussion Grenade(충격 수류탄)
Concussion_Grenade_Icon.png
Uncommon통칭 충격탄. 아이템 습득 시 캐릭터 주변에 반짝거리는 이펙트가 생기며, 이름에서 느껴지는 부드러움과는 다르게 6% 확률로 적을 2초간 기절시킨다. 1:1 몹싸움 혹은 1대 소수의 싸움에서는 스턴 효과를 지닌 아이템이 많지 않기 때문에 나름 유용한 성능이다.
(중첩효과)횟수당 스턴 확률 6% 증가.[23]
엔지니어로 보스를 15초 이내로 사살
Panic Mines(패닉 지뢰)
Panic_Mines_Icon.png
Uncommon통칭 발목지뢰. 낮은 체력이 되면 현재 위치에 500% 공격력의 스플래시 데미지를 주는 지뢰를 매설한다. 깜짝상자와 마찬가지로 운이 좋아야 좋은 것이고 선 피격조건이 약간 걸린다. 더군다나 마인은 자신이 도망치는 상황에서는 크게 부각되지 않는다. 있으면 약간 아쉬운 가성비지만 그렇다고 없어도 크게 상관은 없는 그런 아이템. 해금 조건은 워낙에 회피에 특화된 마이너에게는 크게 어렵지 않는 조건이다.
(중첩효과)중첩당 피격시 매설되는 지뢰 1개씩 추가.
마이너로 한 스테이지를 체력을 절반 이하로 떨어뜨리지 않고 클리어
Energy Cell(에너지 셀)
Energy_Cell_Icon.png
Uncommon통칭 에너지 셀. 효과는 매우 심플하게 피가 줄어들수록 공격속도가 상승하는아이템이다. 허스카?반피 아래서부터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체력이 10% 미만 상태일때 최대 40%까지 증가한다. 당연히 회복등으로 체력이 차오르면 다시 공격속도는 원래대로 돌아온다. 공속 아이템을 애초에 소지하고 있었다면 피가 간당간당할 때 그야말로 미친듯이 쏴제끼지만 그만큼 위험한 상태임을 숙지하고 플레이하자. 자칫 잘못하면 한 두 대에 으앙 쥬금이다.
(중첩효과)횟수당 공격속도 상승률 증가.
-
Time Keeper's Secret(시간 수호자의 비밀)
Time_Keeper%27s_Secret_Icon.png
Uncommon통칭 모래시계. 누가 봐도 실피가 되었을 시 맵 전체 시간을 3초 동안 멈춘다! 시계랑 비교하면 쿨은 없으나, 레벨 타이머는 돌아가는 등의 소소한 차이가 있으며, 애초에 이게 발동되었다는 건 매우 위험하다는 뜻이므로, 3초 정지 시간동안 거리를 벌리지 않으면 태반은 으앙 쥬금으로 이어진다. 한번 발동되면 모래시계가 텅 비게 되며, 7분이 지나면 다시 사용가능하다. 즉 쿨타임이 7분이란 이야기. 이 아이템에 대해 모르는 상태에서 처음 겪게 되면 대부분 어..어어어어? 하다가 죽는 경우가 많다.
(중첩효과)횟수당 정지시간 1초 증가. (최대 10초)
-
Rusty Jetpack(낡은 제트팩)
Rusty_Jetpack_Icon.png
Uncommon통칭 똥팩. 점프 높이가 10% 증가하며, 점프후 점프를 유지할 시 작용되는 중력이 절반이 된다. 낙하데미지를 입을 수 있는 곳에서 낙사데미지를 안 입을수도 있는 경우나 넘어가지 못할 곳을 넘을 수 있는 경우가 왕왕 생길 수 있으나, 역시 이름대로 제트팩에 비교해보면 심히 하위호환격. 그래도 3중첩 정도면 그런대로 쓸만한 편.
(중첩효과)중첩당 점프력 10%씩 추가.(최대 60%)
-
Smart Shopper(현명한 소비자)
Smart_Shopper_Icon.png
Uncommon통칭 지갑. 적을 죽일 시 25%의 추가 골드를 얻는다. 초기에는 누구를 죽이던 돈이 매우 찔끔찔끔 나오므로 초반보다는 후반에 더 부각되며, 중첩이 될수록 더욱 부각되는 그런 아이템.
(중첩효과)중첩당 추가 골드 25%씩 추가.
-
56 Leaf Clover(56잎 클로버)
56_Leaf_Clover_Icon.png
Uncommon통칭 브로콜리. 정예 몬스터(색깔이 다르고 색깔마다 능력이 다르며 조금 더 강하며 체력바가 기본적으로 표시되는 몬스터)가 아이템을 드랍할 확률이 1%가 생성된다! 이 아이템을 얻는순간 당신은 정예몹들이 아이템을 공짜로 드랍해주는 좋은 친구라고 생각하게 될 것이다. 특히 몹들이 모두 엘리트로 나오는 명예의 아티팩트 적용 상황에서는 커먼/언커먼 아이템을 많이 던져주는 아이템.
(중첩효과) 중첩당 아이템 드랍률 1% 추가 증가.(최대 100%까지 적용)
보스 Scavenger 처치
Arms Race(군비 경쟁)
Arms_Race_Icon.png
Uncommon통칭 택배. 회복 드론을 제외한 모든 공격형 드론들이 공격시 9%확률로 유도 미사일을 발사한다. 드론 공격의 9%로 확률이기에 자신이 공격을 하지 않아도 확률이 일일히 터진다. 드론이 없다면 먹으나마나하지만 드론이 4기 이상 정도 있다면 가히 보조딜링의 끝판왕으로 돌변한다. 단발총 드론이 먹어도 공격력이 눈에 띄게 차이가 나는데, 공격속도가 드론 중 가히 탑 클래스인 기관총 드론이나 화염방사 드론 여럿이 군비경쟁을 단다면? 나는 분명 걸어가기만 했는데 드론들이 눈 앞의 적을 자동으로 쓸어주는 모세의 기적이 펼쳐진다. 해금 조건은 Han-D로 10마리 적을 V스킬로 동시에 죽이는 것. 뭔가 빡빡해보이지만 1스테이지의 레무리안은 무리짓기 좋아하는 무지한 존재들이므로 적당히 돌아다니며 몰이하다가 빡 질러보면 된다. 해금이 된 이후로는 자매품으로 공격드론 4기 이상+군비경쟁+무전기 혹은 수리킷으로 보조딜링의 절정을 달리는 보조딜 테크트리를 짤 수 있다.[24] 물론 수 많은 아이템 중에 저렇게 막기가 쉬운 것은 아니나..
(중첩효과) 중첩당 추가 공격 확률 증가.
Han-D V스킬로 10명의 적을 동시 죽이기.
Filial Imprinting(자식의 각인)
Filial_Imprinting_Icon.png
Uncommon통칭 퍼밀리어, 마이구미. 아이템 획득시 캐릭터를 통통 튀며 쫓아다니는 펫이 소환된다. 펫은 20초마다 몸을 부풀려 알...처럼 보이는 탈피를 하며 이것을 플레이어 캐릭터가 섭취시 각종 인챈트가 대략 4~5초 정도 부여된다.
녹색 : 체력 리젠율 증가
황색 : 머리 위에 신발 이펙트가 생기며 이동속도 큰 폭으로 증가
청색 : 머리 위에 칼 이펙트가 생기며 공격속도 큰 폭으로 증가
해금조건은 3스테이지가 물맵이라는 선결조건이 필요하다. 여기서 젠 되는 Whorl 20마리를 벼랑에서 떨어뜨리면 된다. 이 스테이지에서밖에 나오지 않는 몹이므로, 해금을 위해서는 한 번쯤은 스테이지 진행을 포기하고 사냥을 해서 해금시켜야 한다.
(중첩효과)3중첩 당 펫 한 마리 더 소환. 7중첩 시 펫 4마리 소환
Whorl 20마리를 벼랑에서 떨어뜨려라
Red Whip(붉은 채찍)
Red_Whip_Icon.png
Uncommon통칭 채찍.효과는 전투에서 1.5초간 벗어나 있으면 이동속도가 80% 증가한다. 무려 염소발 4개 분량으로 꽤 빠른 걸 체감할 수 있다. 초반에 탐험을 다닐 때 나오면 좋은 아이템. 다만 이동식으로 C스킬을 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전투 중으로 취급되어 효과를 못 받으니 주의할 것. 왠지 채찍을 들고 있으면 이동속도가 증가하고 그것도 붉은 채찍이라는 점에서 아래의 난닝구와 함께 메이플스토리 패러디로 추정된다.
(중첩효과) 추가 이동속도 증가.
-
Hopoo Feather(후푸 깃털)
99px-Hopoo_Feather_Icon.png
Uncommon통칭 깃털. 효과는 심플하게 추가 점프 1회 증가. 이 아이템이 있으면 더 이상의 낙하 데미지는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제트팩과 조합하면 제트팩으로 넘나들 수 없는 곳까지 넘볼 수 있다. 마이너의 경우는 이 아이템이 있으면 최대 3단점프를 할 수 있다.
(중첩효과)중첩 1회당 추가 점프 1회 증가.
-
Permafrost(영구동토)
Permafrost_Icon.png
Rare통칭 얼음. 적을 타격시 일정 확률로 적을 1.5초간 빙결시킨다(스턴과 동일). 빙결된 적은넉백율이 약간 증가하며, 빙결이 풀린 이후 3초 동안 이동속도가 60% 감소한다. 스킬 공격에도 적용되고 한 마리가 얼었다고 다른 적이 얼지 않거나 하지 않는 개별확률 아이템이다. 성능도 1:1 전에서는 매우 좋은 편. 다수가 몰려있을 때는 원하는 녀석만 딱 골라잡아 스턴을 걸기가 심히 골룸하다. 대신 둘셋 씩 혹은 단체로 얼려버린다! 뭐 파일럿의 운만 좋다면야 이놈이고 저놈이고 얼어붙어서 빌빌대는 진풍경이 펼쳐지겠으나. 레어 값은 하는 편이고 대개 상자에서 나올 일이 많을 테니 선택은 본인의 몫으로.
(중첩효과)중첩시 발동확률 6% 증가.[25]
-
Old box(낡은 상자)
Old_Box_Icon.png
Rare통칭 깜짝상자. 체력이 낮을 때 상자를 떨어뜨리고, 떨어진 상자는 잠시 후 발동되어 적군을 2초간 공포 상태로 만든다. 운만 좋다면 상자가 우수수수 떨어지고 생존성이 보장되나, 피격 발동이라는 선조건이 약간 걸린다. 차라리 쿨 있는 랜턴이 안정성으로는 더 뛰어난 편. 중첩해도 효과가 없기 때문에 가성비가 약간 애매한 아이템.
(중첩효과) 상자가 떨어지는 체력 상한선 증가.
-
Happiest Mask(행복한 가면)
Happiest_Mask_Icon.png
Rare통칭 가면. 몬스터를 죽일 시 해당 몬스터의 70%의 체력과 50%의 공격력을 지닌 유령을 15초간 소환한다. 참고로 유령은 다른 몬스터들을 공격하고, 데미지를 받지 않으므로 잘만하면 보조 딜링으로도 괜찮고 대학살극을 열수 있다. 과거엔 스피드런에 있어서 이 아이템만큼 짜증나는 존재는 없었다. 남은 몬스터의 위치를 가리키는 커서가 유령도 가리켰기 때문. 지금은 패치로 몬스터의 위치를 가리키는 커서가 유령을 가리키지 않게 되어 스피드런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영혼의 병과 마찬가지로 공중에 떠다니는 적을 죽여도 유령을 소환하지 않는다.
(중첩효과) 유령의 데미지가 강화되고, 2배수만큼 중첩될때, 소환되는 유령의 양이 1마리씩 증가한다.
-
Photon Jetpack(광자 제트팩)
Photon_Jetpack_Icon.png
Rare통칭 제트팩. 점프를 한 상태에서 점프키를 누른 채 유지하면 최대 1.6초동안 하늘을 날 수 있다. 이 아이템을 먹게 되어 닿을 수 있을 거 같은데 안닿아서 못 가던 곳을 훌훌 넘어다니면 왠지 모를 승리감마저 느껴진다. 낙하데미지를 줄일 수도 있고 적들에게 둘러싸였을 때 날아서 도망다닐 수도 있다. 유틸성으로는 매우 좋은 아이템. 해금 조건은 90초 카운트가 지난 직후 맵에 남아있는 적이 없으면 클리어된다. 맵의 끝까지 사거리가 닿는 헌트리스로 노려보는 것이 좋다. 부메랑 튕기는 것만 잘 하면 굳이 넘어가는 수고로움을 덜기 때문. 혹은 불안정한 시계를 이용하여, 89초쯤에 사용 후 남은 몹을 다 잡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중첩효과)중첩시 체공 지속시간 0.8초 증가.
텔레포트 작동 90초 이후 맵 상에 남아있는 적이 없어야 한다.
Beating Embryo(박동하는 태아)

Beating_Embryo_Icon.png
Rare통칭 분홍구슬. 구슬 시리즈의 첫째. 사용 아이템 사용시 30% 확률로 2배의 효과 혹은 강화 효과가 발동된다. 매력적인 옵션이지만, 사용아이템이 없는 상황에서 이 아이템은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다만 강화효과가 눈에 확 띄는 아이템들, 예를 들어 신기전 같은 공격 사용아이템이 강화로 발동되면 거의 30발에 가까운 미사일이 발사되기때문에 굉장히 좋다. 언락도 되어 있으므로 초반 리오레를 즐기는 유저들은 신기전+분홍구슬 조합을 노려보자.
(중첩효과)중 강화효과가 발동할 확률이 30% 상승한다.
-
Rapid Mitosis(빠른 유사분열)
Rapid_Mitosis_Icon.png
Rare통칭 주황구슬. 구슬 시리즈의 둘째로 나란히 레어템이다. 첫째가 사용아이템 강화버프를 건다면 둘째는 사용아이템 쿨타임을 25%씩 줄여준다. 25% 쿨타임 감소라서 4개를 모으면 사용아이템 쿨타임 감소가 100%가 된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곱연산이기 때문에 4중첩일 시 쿨타임 감소량은 68.35%이다.
(중첩효과)중첩시 쿨타임 25% 추가 감소.
-
Alien Head (에일리언의 머리)
Alien_Head_Icon.png
Rare통칭 해골머리. 플레이어의 모든 스킬의 쿨다운을 30% 감소시켜준다! 대신, 해금조건이 좀 그렇다. 괴물의 이빨은 일반 아이템이라 잘 뜬다고는 하지만 7개 이상 소지라는것이 엄청나게 괴랄하다.
하지만 지휘의 아티팩트를 착용하고 게임을 하면 매우 쉬운 도전과제가 돼 버린다. 어쨌거나 모든 플레이어들이 얻기를 원하는 아이템들중 하나. 아크리드로 플레이할때 이아이템을 습득하면 스킬쿨이 눈에 띄는 속도로 빨라진다. 패치로 엔지니어의 지뢰,터렛 재충전시간에도 영향받게되었다!. 머셔너리의 경우 콤보 사용하는 빈도가 빨라진다. 그리고 2개 이상 먹게 된다면 이런짓거리도 가능하다.
(중첩효과)스킬의 쿨다운이 최대 60% 감소.(곱연산, 30%씩 최대 3중첩)
Monster Tooth 7개 이상과 Guardian's Heart 1개 이상을 소지
Ancient Scepter(고대의 홀)
Ancient_Scepter_Icon.png
Rare통칭 홀, 도타. 도타2에서 궁극기를 강화시켜주는 '아가님의 홀'의 패러디이다! 캐릭터의 4번째 스킬(V)를 강화시켜준다. 효과는 각각 다음과 같다.


코만도 : Suppressive barrage로 이름 변경. 총 10발로 사격하고 포섬광이 길어진다.
인포서 : Tear gas로 이름 변경. 섬광탄이 광범위 넉백을 일으키고 기절효과가 공포로 변경된다.
밴디트 : Assassinate로 이름 변경. 빠르게 두발 사격하여 발당 600% 공격력의 데미지를 입힌다.
헌트리스 : MK7 Rockeye로 이름 변경. 화살의 산탄이 12발로 증가한다.
Han-D : UNETHICAL-REASSEMBLY로 이름 변경. 공중에 뜬 적이 스턴과 감전데미지를 받는다.
엔지니어 : Auto-Turret Mk.2로 이름 변경. 최대 터렛 설치 수 +1
마이너 : Starbound로 이름 변경. 공격 횟수가 5회로 증가한다.
스나이퍼 : Spotter : ISOLATE로 이름 변경. 에임 색깔이 녹색으로 바뀌고 크리티컬에 슬로우 효과가 추가된다.
아크리드 : Pandemic으로 이름 변경. 스킬로 적을 처리 시 체력을 회복한다.
머셔너리 : Massacre으로 이름 변경. 스킬로 적을 처리 시 타격 회수가 초기화 되고 가까운 적에게 즉시 이동하여 다시 스킬 난사를 펼친다. 무슨소리인지 모르겠는고 하면 마스터 이의 일격필살 이 대상 중 누구 하나라도 죽게 된다면 다시 한 번 더 일격필살이 자동으로 터진다고 보면 된다.
로더 : M700X Discharge Conduit으로 이름 변경. 전류의 색이 바뀌며, 처음 발동시 적을 기절시킨다.
셰프 : Full course meal로 이름 변경. 고대의 홀을 먹은 횟수 만큼 강화된 스킬을 사용할 수 있다. 버그였는지 패치로 고대의 홀을 여러번 먹어도 강화된 스킬의 사용수는 2번으로 고정되었다.
다만 해금 조건은 몹시 끔찍한 편. 조건이 하이퍼 쓰레더, 분쇄하는 정의, 처방전, 실드 제네레이터 뺨치는 수준으로 끔찍하다! 괴랄한 해금 조건중에 정말 변태스러운 과제가 있는가하면, 신컨에 운빨을 요하는 더러운 과제가 있는 경우가 있는데, 고대의 홀 같은 경우는 후자의 경우로, 게임을 다섯 번 클리어 해서 해금되는 머셔너리를 가지고 몬순 난이도를 클리어해야 한다. 아는 사람은 알겠으나 몬순 난이도의 레벨 변경 시간은 무려 3분인 데다가, 이 게임에서 근접캐릭터는 왜인지 피격판정이 매우 슬픈 수준이기 때문에 최대한 포탈을 빨리 찾지 못하면 영원히 곶통받게 된다. 하지만 게임을 캐릭터를 다 해금했다 하면, 머셔너리에 손이 가기 마련인데. 그런식으로 몇번 판을 클리어하고, 유리의 데미지 업과 머셔너리의 무적시간이 많은 특징을 조합하고, 지휘 아티펙트로 빠르게 반지를 가주고 여러 아이템을 가주면, 매우 쉽게 클리어 할 수 있다. 만일 클리어를 했다손 치더라도 드랍률이 몹시 낮은 편이라 게임 내에서 정말정말 보기 힘든 수준. 하지만 해금 이후에는 이따금 ‘’‘25원짜리 상자에서도‘’‘ 갑툭튀해서 사람들을 당황시키기도 한다.
(중첩효과)개수가 증가하는 스킬의 경우 더욱 강화시킨다. 특정 캐릭터에게는 효과가 없다.
머셔너리로 Monsoon 난이도(가장 어려움)를 클리어.
Wicked Ring(사악한 반지)
Wicked_Ring_Icon.png
Rare통칭 해골링. 크리티컬 확률을 6% 증가시켜 주며, 크리티컬이 터질 시 해골 마크가 떠오르며 모든 스킬의 쿨타임이 1초씩 감소한다. 해골머리랑 비교하였을 때는 상시 감소와 전투시 감소의 차이선이므로 취향은 자기 좋을 대로. 물론 저 둘이 동시에 뜨면 고민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해금과제는 마지막 스테이지에서 키카드 4장을 전부 찾는 것인데, 이놈의 키카드는 황금 컨테이너에서 나오기도 하고 몹이 드랍하기도 한다. 물론 이 요소는 언제나 랜덤이므로 만약 황금 컨테이너가 별로 없다면 그만큼 키카드가 뜰 때까지 잡아야하는 몹의 수가 늘어난다는 이야기. 그래도 카드를 모은 뒤 보스 클리어 같은 괴랄한 과제는 아니므로 템을 해금하고자 한다면 한 번쯤 보스클리어를 포기하고 진득하게 템파밍한다 생각하고 돌아보는 것이 좋다.
(중첩효과)중첩시 치명타 확률 6% 증가, 치명타 시 쿨타임 1초 더 감소.
Risk of Rain 스테이지에서 Key Card 4장을 모두 모아라
Burning Witness(불타는 증인)
Burning_Witness_Icon.png
Boss item통칭 눈깔. 몬스터를 죽이면 캐릭터의 머리 위에 6초간 제 3의 눈이 나타나며, 이동속도가 5% 증가하고 소방수의 부츠처럼 블레이즈 스탭이 발동된다. 그런데 데미지가 1이다. 따라서 (블레이즈 스텝의 경우는) 완벽한 부츠의 하위호환. 하지만 부츠가 워낙에 가성비가 구려서 그냥 이동속도 하나 믿고 갈 뿐이다. 그나마 위안이라면 이 아이템은 보스드랍이라 그나마 잘 나온다는 거? 쫓고 쫓기는 추노 상황에서 도트데미지를 주기도 하니 그렇게까지 손해보는 장사는 아니다. 이 아이템으로라도 블레이즈 스탭을 간접 체험해보자.
(중첩효과)횟수당 이동속도 5% 추가 증가, 지속시간 증가.
보스 Magma Worm이 일정 확률로 드랍
Imp Overlord's Tentacle(임프 대군주의 촉수)
Imp_Overlord%27s_Tentacle_Icon.png
Boss item통칭 꼬리. 60초간 플레이어를 따라다니는 정예 Imp 하수인 한마리를 소환한다. 능력은 색깔에 따라 다르다.
주황:공격할때마다 추가 폭발 데미지를 준다.
금색 혹은 보라색:공격 할 때마다 골드를 드랍. 버그인지는 모르겠으나, 몹을 때릴 때 떨어뜨리는 골드 량이 어마무시하다! 몇십 골드씩 둑둑 떨어지므로 몹몰이가 한 번 잘되면 1000골드가 금방 넘는다. 가성비가 제일 좋은 편.
파랑:공격할때인지 지속적인지는 추가바람, 전격 데미지를 준다.
나머지는 추가바람.
좋아 보이지만, 이 아이템은 정말 거대한 문제가 있으니... 버그가 있는지 시간이 오래 지나면 임프가 플레이어를 따라다니지 않고 아무 행동도 안하며, 나중에는 소환도 안된다! 이런것만 빼면 임프가 소환될때마다의 대사를 읽어보는것도 하나의 재미. 어떤놈은 플레이어를 아빠라고 인식하며 따라다니고, 어떤놈은 그냥 미친놈.
(중첩효과) 소환되는 Imp의 능력치 강화.
보스 Imp Overlord가 일정 확률로 드랍

4 액티브 아이템

아이템/이름
아이템 등급
설명/ Beating Embryo 강화효과
해금조건
쿨타임
Captain's Brooch(선장의 브로치)
Captain%27s_Brooch_Icon.png
Active통칭 브로치, 키#s-5. 사용시 근처에 아이템 상자를 소환한다. 초반이든 후반이든 자주 볼 수 있는 25원 짜리 상자가 떨어지는데, 문제는 스테이지의 상자가격의 3.25배정도를 더 받는다. 이게 무슨소리냐 하면, 만약 1스테이지의 상자 가격이 25원이라고 치면, 81원 정도의 가격으로 상자가 떨어진다. 다른 스테이지도 마찬가지로 3.25배의 가격을 더 추가한채로 떨어진다. 돈이 넘쳐날때 쓰면 유용할지도 모르지만, 쿨타임이 135초로 너무 길고, 이 아이템을 끝까지 들고다니기엔 효율이 너무 떨어진다. 그냥 다른 액티브 아이템을 찾자.
(강화효과) 아이템 박스를 한 개 더 드랍.
Explorer's Key로 황금 상자를 연다.135초
Carrara Marble(카라라 대리석)
Carrara_Marble_Icon.png
Active통칭 포탈. 사용시 해당 위치에 입구를 생성하고, 다시 한 번 사용시 입구를 생성했던 위치로 순간이동한다. 포탈이므로 강화효과는 딱히 없다. 참고로 최종보스에서 조심해야하는데 보스방이 아닌곳에 포탈을 소환하고 들어가서 보스와 싸우다가 사용하면 다시 들어갈 수가 없다! 물론 벽넘어로 몇몇기술이 맞아서 보스를 어떻게든 때려잡을 수는 있지만 안쪽에 스위치를 못눌러서 결국 강종해야된다. 조심하자.
(강화효과) 없음.
-45초
Crudely Drawn Buddy(대충 그려진 친구)
Crudely_Drawn_Buddy_Icon.png
Active통칭 썩소. 자신과 똑같이 생긴 디코이를 소환해서, 8초 동안 적을 유인한다. 하지만 디코이의 체력이 그렇게 많은 것도 아니라서, 깔아놓아도 엄청난 몹에게 둘러싸인 상황이라면 크게 시간을 끌어주지 못한다.
(강화효과) 알려지지 않음.
스나이퍼로 20번 연속 완벽 재장전에 성공한다.45초
Disposable Missile Launcher(1회용[26] 미사일 발사기)
Disposable_Missile_Launcher_Icon.png
Active통칭 신기전, 연발미사일. 즉시 데미지 300%의 미사일 16발을 발사한다. 데미지는 녹미사일이나 적미사일 등의 미사일류와 같다. 유도도 되고 데미지도 적절하고 해금조건도 없기 때문에 쿨타임 계산만 잘한다면 어느 타이밍에 먹어도 가성비가 좋은 편이다.
(강화효과) 미사일의 발사수가 증가한다.
-45초
Drone Repair Kit(드론 수리 키트)
Drone_Repair_Kit_Icon.png
Active통칭 수리킷.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모든 드론의 체력을 완전히 회복시킨다. 드론이 많을때는 유용하지만 반대로 드론이 없다면 드론이 나올거라는 믿음으로 아이템을 먹기보다는 다른 사용아이템을 찾는 것이 낫다.
(강화효과) 없음.
-45초
Dynamite Plunger(다이나마이트 플런저)
Dynamite_Plunger_Icon.png
Active통칭 기폭통. 적을 공격할 때마다 바닥에 폭탄이 떨어져 쌓이며, 아이템 사용키를 눌러 폭파시킬 수 있다. 폭탄은 400% 데미지를 적에게 입힌다. 짤짤이를 치면서 도망치는 캐릭터들에게 모자란 딜링을 채워줄 수 있으므로 좋다. 다만 평타에만 발동하는 것과, 쿨타임 중에는 폭탄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유의.
(강화효과) 없음.
-45초
Explorer's Key(탐험가의 열쇠)
Skeleton_Key_Icon.png
Active통칭 마스터 키. 화면 내에 보이는 모든 상자를 강제로 연다. 돈이 없는 맵 도입부 때는 제법 좋은 편이지만 쿨타임이 제법 긴 편이므로 먹을 때 많은 고뇌를 필요로 한다. 아이템 로그에서는 마스터키를 의미하는 'Skeleton Key로 표기되어있다.
(강화효과) 없음.
-90초
Foreign Fruit(이국의 과일)
Foreign_Fruit_Icon.png
Active통칭 과일. 체력의 50% 회복.
(강화효과) 체력을 완전하게 회복.
-40초
Gigantic Amethyst(거대 자수정)
Gigantic_Amethyst_Icon.png
Active통칭 자수정. 즉시 모든 스킬의 쿨타임을 초기화한다. 쿨타임도 8초로 짧으므로 셰프의 도전과제 등등을 수행하기 좋다. 다만 해금조건이 갖춰져야 하므로 그걸 고려해야 할 것이다.
(강화효과) 추가바람
30개의 아이템을 한 판에 보유하라[27] .(중첩 제외)8초
Glowing Meteorite(빛나는 운석)
Glowing_Meteorite_Icon.png
Active통칭 지구본. 8초동안 떨어진 지점을 기준으로 220%의 데미지를 입히는 운석이 랜덤하게 즉발식으로 떨어지는데, 문제는 이 운석이 자신에게도 떨어진다. 해금조건은 한 방에 5000데미지 달성인데, X스킬 풀 줌 시 2000%의 데미지를 주고 V로 크리까지 띄울 수 있는 스나이퍼,그리고 기본데미지를 500%증가시켜주는 유리의 아티팩트를 착용한 뒤 열심히 쏘다 보면 달성하기 쉬운 편. 가장 쉬운 방법은 금도금 폭탄으로 만원 이상 모은뒤 터뜨려주면 된다. 다른 캐릭터라도 최종스테이지를 가서 스펙이 좋아진다면 충분히 노려봄직하다. 본인에게 운석이 떨어진다는 걸 생각하면 가성비는 좋지 않아보였으나.. 밧줄에 매달릴 시 자신은 데미지를 받지 않는 희대의 해결책이 제시되면서 하이퍼 쓰레더 해금의 새로운 한 방법으로 급 부상중. 그리고 꼭 도전과제용이 아니더라도 몬순 난이도에서 1회차를 빨리 돌 때에도 상당히 유용하다. 범위형이어서 적이 뭉쳐있으면 오히려 더욱 강해지는 아이템이기 때문. 최종보스 2페이즈의 벌레 두마리가 방 안으로 진입할때 쓰면 한 방에 골로 간다!
(강화효과) 운석의 데미지 증가.
한 방에 5000 데미지 달성.70초
Gold-Plated Bomb(금도금 폭탄)
Gold-plated_Bomb_Icon.png
Active통칭 돈폭탄. 자신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금액의 절반을 소비하여 폭탄을 설치한다. 사용한 액수x1의 데미지를 입힌다. 가령 5000골드라면 보유액수의 절반이므로 2500골드 = 2500데미지. 당연한 얘기지만 돈이 없으면 돈폭탄이 아니고 똥폭탄이 된다.
(강화효과) 알려지지 않음.
-45초
Instant Minefield(즉석 지뢰지대)
Instant_Minefield_Icon.png
Active통칭 지뢰. 데미지 400%의 지뢰 7개를 매설한다. 자신을 쫓는 적 혹은 피격판정이 큰 적을 상대하기에 편하다. 적이 끈질기게 자신을 쫓아온다면 살포시 써보자. 자신을 추노하는 적이 나란히 즈려밟고 죽는 통쾌한 광경을 보게 된다.
(강화효과) 지뢰 6개를 추가 매설한다.
-45초
Jar of Souls(영혼의 병)
Jar_of_Souls_Icon.png
Active통칭 영혼병. 화면 상의 모든 적에게서 유령을 소환하여 같이 싸운다. 가면과 비교한다면 죽이지 않고도 발동이 되지만 쿨타임이 필요한 일장일단격 존재. 쿨타임을 신경쓰기 싫다면 가면을, 편리를 추구한다면 영혼병을 노리자. 주의사항으로 보스와 공중에 날아다니는 적에게는 통하지 않는다.[28]
(강화효과) 적 한 마리당 영혼 1마리 추가 소환.
-45초
Lost Doll(잃어버린 인형)
Lost_Doll_Icon.png
Active통칭 저주인형. 체력의 25%를 소모하여, 사용자의 최대체력 500%에 달하는 데미지를 적 1마리에게 입힌다. 사거리의 제한 없이 적을 죽이기에 스피드 클리어를 한다면 안성맞춤이다. 만약 수호자의 심장을 가지고 있다면, 소모하는 체력 일부를 쉴드가 대신 받는다.
(강화효과) 알려지지 않음.
20%이하의 체력 상태로 보스에게 승리.45초
Massive Leech(거대한 거머리)
Massive_Leech_Icon.png
Active10초 동안, 1타격당 10의 체력을 회복한다. 흡수하는 씨앗과는 영혼병과 마스크처럼 상호관계이다. 흡수하는 씨앗이 없다면 나쁘지 않은 선택. 쿨타임이 45초지만, 사용즉시 쿨타임이 돌기 때문에 실질적인 체감 쿨타임은 높지 않은 편.
(강화효과) 타격당 체력 회복량 증가.
아크리드로 Epidemic(V스킬)을 적 25마리에게 전염.45초
Nematocyst Nozzle(자포(刺胞) 노즐)
Nematocyst_Nozzle_Icon.png
Boss item통칭 칼라포. 사용아이템 중에선 유일한 보스드랍 아이템이다. 데미지 200%의 자포 6발을 발사한다. 나름 유도성능을 갖추고 있지만 신기전에 비해서는 데미지도 발사수도 완벽한 하위호환. 그래도 쿨다운은 신기전보다는 빠르고, 확산 피해도 있기 때운에 신기전이 없다면 나름 쏠쏠하므로 보스가 뜬다면 한 번 쯤 노려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수수께끼의 아티팩트를 사용할 경우에 이 아이템의 장점이 드러나는데, 바로 플레이 중 간간히 등장하는 아티팩트 조각. 이 조각들이 모이면 사용아이템의 쿨타임이 감소하는데, 보스드랍 아이템의 경우는 수수께끼의 아티팩트와 바꾸는게 가능하다. 그래서 이 부품을 많이 먹어주면 약 10초 내외로 사용이 가능하다.
(강화효과) 자포 발사 수가 12발로 증가한다.
Wandering Vagrant가 드립한다.23초
Pillaged Gold(약탈된 금)
Pillaged_Gold_Icon.png
Active통칭 픽파킷. 발동 시 머리 위에서 노란 게이지가 서서히 줄어들며, 적을 때릴 때 마다 처음에는 10골드, 그 뒤로는 1골드씩 드랍한다.
(강화효과) 골드 드랍량이 증가.
밴디트의 Lights Out(V스킬)로 보스를 처치하라.45초
Prescriptions(처방전)
Prescriptions_Icon.png
Active통칭 알약. 8초 동안 10 만큼의 공격력과 40% 만큼의 공격속도를 향상 시킨다. 가성비가 생각보다는 좋지 않다. 하지만 이 아이템의 가성비를 심하게 떨어뜨리는 건 바로 해금 조건인데, 이 게임 내의 지랄맞은 해금조건 중에서도 하이퍼 쓰레더와 거의 쌍벽을 이루는 끔찍함을 자랑한다. 무려 인포서로 방패상태를 전투상태 중 5분동안 유지해야 하는 것인데.. 인포서를 만져본 사람은 당연히 알겠지만 방패를 세울 시 이동속도는 가히 암 걸릴 수준이고 방향전환과 점프가 안 된다. 당연히 중간에 다른 동작을 취해도 조건 달성 실패 오로지 방패 상태로만 5분을 유지해야 한다. 난 몹이 약한 1스테이지에서 이 업적을 깨겠어헝! 하고 1스테이지에서 클리어를 노리는 사람이 있는데, 기억하자. 1스테이지에서 젠되는 해파리는 데미지가 즉발형이므로 인포서의 하드카운터다. 즉 방패가드가 되지 않는다! 1스테이지에서 방방이와 회복드론이 2기 이상 있다면 도전 해봄 직하지만,[29] 그렇지 않다면 처음 잡몹들의 공격을 막을지언정 어느샌가 하나 둘씩 나오는 해파리에게 죽기 일쑤. Drizzle 난이도에서도 달성하기 힘든 과제 중 하나다. 공중몹이 나오지 않는 스테이지를 노리거나, 자신의 운이 좋기를 빌자.
참고로 위의 공략은 암이 걸리던 어떻던 단기간에 컨트롤로 쇼부를 보겠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공략이고, 저 공략이 아무리 생각해도 어렵고 운도 끔찍하다고 생각되는 위키러들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공략을 추가한다.

1.어떻게든 최대한 빨리 1스테이지 포탈을 작동시킨다.
2.보스를 잡고 적을 1마리만 남겨둔다.
3.텔포 작동이후 90초가 지나면 몹이 절대로 젠 되지 않는특성을 이용하여 1마리를 남겨두고 안전하지만 너무 떨어지지 않은 위치에서 방패를 세운다. 참고로 이 특성은 '특정시간동안 XX하기' 관련 도전과제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4.커피를 끓이고 잠시 티타임을 즐긴다.
5.?????????
6.PROFIT!
(강화효과) 없음.
인포서로 방패 가드 상태를 전투하는 동시에 5분동안 유지하라.(중간에 이동을 제외한 다른 어떤 동작을 취해도 시간 초기화)45초
Rotten Brain(썩은 뇌)
Rotten_Brain_Icon.png
Active통칭 뇌. 제자리에서 통통 튀는 두뇌를 투척한다, 200%만큼의 데미지를 6번 입히고, 상대방을 느리게 만든다. 풀 딜링시 1200% 데미지를 주기에 딜링 아이템이 빈약하다면 아쉬운대로 써야겠지만, 몰이사냥에서도 크게 부각되지는 않는다. 통통튀는 그 장소에 몹이 항상 머무른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심히 계륵같은 존재.
(강화효과) 뇌 1개가 더 생성된다.
-45초
Safeguard Lantern(안전요원 랜턴)
Safeguard_Lantern_Icon.png
Active통칭 랜턴. 10초 동안 아이템 사용키를 눌렀던 위치에 랜턴을 드랍한다. 랜턴에 닿은 적들에게 20%만큼의 데미지를 입히고, 랜턴에 닿으면 플레이어의 반대 방향으로 잠시동안 달아난다. 급할 때 시간벌기+거리벌기 용으로 좋으며, 특히 줌을 위해 거리 유지와 시간 벌기를 동시에 해야하는 스나이퍼와 상성이 좋은 편이다.
(강화효과) 알려지지 않음.
-45초
Sawmerang(톱날 부메랑)
Sawmerang_Icon.png
Active통칭 톱메랑. 500% 데미지의 톱날 부메랑를 발사하고, 피해를 입은 적들에게 100% 데미지로 4회 추가 출혈피해를 입힌다. 이름 그대로 부메랑이므로 부메랑의 동선을 잘 계산하고 날리면 많은 적에게 데미지+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당연히 관통판정이다. 일정거리까지 날아간 후에 돌아오는 식.
(강화효과) 후방으로도 톱메랑 1개를 더 던진다.
-45초
Shattered Mirror(갈라진 거울)
Shattered_Mirror_Icon.png
Active통칭 거울. 15초동안 자신의 뒤에 자신과 행동을 똑같이 하는 분신을 소환한다. 스킬도 물론 똑같이 따라하므로, 같은 스킬이 두개 날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순간 폭딜용으로 좋으나 쿨타임이 약간 긴 편.
(강화효과) 분신을 하나 더 소환. 스킬이 세개씩 날아간다.
-75초
Shield Generator (쉴드 생성기)
Shield_Generator_Icon.png
Active통칭 쉴드. 효과는 심플하게 8초동안 투명화(무적). 실질적인 체감 쿨타임은 대략 35~7초 언저리쯤 되겠다. 다만 해금조건이 심히 끔찍한데.. Han-D로 25분간 체력을 70% 이상 유지해야 한다. 리오레 메인 항목에서도 서술했듯이, 이 녀석은 회피기가 일절 없으므로 적하고 항상 맞아가면서 싸워야 한다. 그렇다고 공속이나 범위가 빠른고 하니 그렇지도 않은 근접캐릭이라서... 심히 운이 많이 필요한 해금조건이다. 25분이라면 얼추 4~5스테이지까지는 갈 텐데, 그 중에서 보스가 콜로서스, 마그마 웜 같은 근접계통 보스나, 이프리트, 크레이터, 임프 오버로드 같은 근접상황을 만드는 보스가 하나라도 나온다면 해금 난이도는 천정부지로 치솟는다. 물론 1스테이지에서 뻐긴다면 해금 난이도는 많이 나아지겠지만.. 인포서와 비슷한 이유로 해파리가 천적이다. 저 공략이 아무리 생각해도 어렵고 운도 끔찍하다고 생각되는 위키러들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공략을 추가한다.

1.친족의 아티팩트를 준비한다.
2.지상 몹이 나오면 적당하게 밧줄에 매달린다.
3.창을 한 쪽으로 치워 두고 잠시 식사 등등의 여유를 즐긴다
4.?????????
5.PROFIT!
(강화효과) 알려지지 않음.
Han-D로 25분간 체력을 70% 이상 유지45초
Snowglobe(스노우글로브)
Snowglobe_Icon.png
Active눈폭풍을 소환한다. 눈폭풍은 7초동안 30%의 확률로 적들을 냉동 시킨다. 시전 즉시 쿨이 돌고 범위가 화면 전체이지만 어느 적이 얼어붙는지는 지극히 랜덤이므로 딜에 집중하기에는 그다지 좋은 아이템이라고 볼 수는 없다.
(강화효과) 알려지지 않음.
-45초
The Back-Up(지원요청)
The_Back-up_Icon.png
Active통칭 무전기. 10초동안 싸워주는 공격드론 4기를 소환한다. 강화 드론이므로 공격이 관통판정인데다가 군비경쟁 아이템의 효과를 받는다! 원거리 투사체 공격도 약간 받아주기 때문에 진정한 서포팅이 무엇인지 체감하게 될 것이다. 자신이 드론을 3기 이상 소지하고 있다면 체감효과는 두 배로!
(강화효과) 드론 소환개수 증가.
한 게임 내에서 드론 4기 이상 소지.45초
Thqwib(쓰큅)
Thqwib_Icon.png
Active통칭 해파리. 전방으로 30마리의 조그마한 해파리 떼를 내보낸다. 해파리는 적과 부딪히면 폭발하여 자신의 현재 데미지의 200%만큼의 데미지를 적에게 입힌다. 전방으로 순간 폭딜을 넣을 수 있어서 좋은 평을 받고 있는 아이템. 한 점으로 모이지 못하는 것이 단점이라면 단점이다.
(강화효과) 해파리 떼의 수가 2배로 늘어난다.
45초
Unstable Watch(불안정한 시계)
Unstable_Watch_Icon.png
Active통칭 시계. 효과는 심플하게 7초동안 시간이 정지된다! 레벨 타이머를 포함해서! 보스가 막 젠 될때는 혼자이므로 젠이 되자마자 정지를 시키면 폭딜을 하기 쉬워진다.[30] 해금조건은 5분 내에 1스테이지 클리어, 노말 기준으로는 종이 울리기 전에 클리어를 하면 된다. 난이도에 관계 없이 텔레포터만 빨리 찾으면 되기에 해금은 쉬운 축에 속한다.
(강화효과) 정지 지속시간이 두 배로 늘어난다(14초)
5분 내에 1스테이지 클리어67초

5 특수 아이템

아이템/이름
아이템 등급
설명
출현 장소
Keycard(키카드)
Keycard_Icon.png
Special이름대로 키카드. 마지막 스테이지에서 황금 컨테이너(동전이랑 경험치 내뱉는 그 작은 것)와 몹에서 랜덤하게 나타난다. 진행하다 보면 키카드가 필요하다면서 못 들어가는 곳이 있는데, 이 곳에서 키카드를 이용하여 들어갈 수 있다. 해골반지 도전과제에 필요한 아이템. 키카드를 사용해도 과제에는 지장이 없다. 그것과는 별개로 진짜 랜덤하게 나타나므로 꽤 짜증이 난다 카더라(...)Risk of Rain
(최종 스테이지)
White Undershirt(M)(하얀 런닝셔츠(남))
White_Undershirt_%28M%29_Icon.png
Special이름대로 난닝구. 3스테이지가 얼음일 때, 그것도 좌상단 측에 울타리가 있을 때, 위방향 키를 눌러 Boar Beach란 히든 장소에서 Armored Boar란 미니보스를 잡으면 되는데, 본 사람들은 금방 알겠지만, 아이템이고 히든장소고 미니보스고 전부 메이플스토리의 Pig Beach의 패러디다! 보스는 철갑돼지요 난닝구는 뭐, 두 말할 필요가 있겠는가(...) 효과는 방어력 3% 증가. 원문은 3이지만 왜 3인지는 위의 곰인형 아이템 참조.Ancient Valley
(3 스테이지 좌상단 미니보스드랍)
  1. 난이도 Easy
  2. 보스에서만 드랍되는 아이템
  3. 아이템 로그에는 나와 있지 않다.
  4. 사실 아이템 로그를 보면 Ginseng이라고 적혀있다.
  5. 아머수치는 게임 내에서 직접 확인 할 수는 없다. 1개일 시에는 데미지 감소량이 14/114=12.3%, 2개일 시에는 28/128=21.8%이다. 이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방어력 및 마법 저항력 데미지 계산과 같다.
  6. 어원은 작은 쇠화살을 쏘아 전기 충격을 가하는 총같이 생긴 무기.
  7. Cracker의 여러 뜻에서 '프로그램을 훼손하는 자'를 중의적으로 해석. 참고로 아는 사람은 다 알겠지만 그렌라간 오마쥬 아이템이다.
  8. 크기가 커서 관통에 방해가 되는 몹들 상대로는 더할 나위 없지만, 근접 계열 캐릭터나 인포서, 스나 등 단발 승부 캐릭터에서는 크게 부각이 되지 않는다.
  9. 범위가 적절해서 사랑받는 전쟁깃발의 범위와 맞먹는다.
  10. 해금 조건보다는 선행되는 캐릭터 해금조건이 랜덤의 랜덤이라 캐릭터 해금조건이 빡센 케이스.
  11. 대부분 맞지 않고 클리어 혹은 일정시간동안 생존, 게임 다섯번 클리어 후 어려움을 머셔너리로 클리어 등등. 특히 Han-D는 써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체력을 유지하기가 몹시 괴로운 캐릭터다.
  12. 보스인 마그마웜은 제외
  13. 1스테이지에서 포탈을 빨리 찾고 지구본을 먹어야 하는 것이 첫번째 포인트, 보스전에서는 공격을 최대한 배제하고 밧줄에 매달려 적을 최대한 밧줄 아래로 뭉치게 한 뒤 지구본으로 한꺼번에 끔살을 내는 게 두번째 포인트. 포탈을 늦게 찾을 시 해파리가 날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딜은 최대한 배제하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지구본을 이용하고, 밧줄에 매달릴 때 땅 쪽에 너무 가까이 붙어있으면 안된다. 지구본은 즉발 광역공격이므로 광역데미지에 휘말릴 수 있기 때문. 이런 방법으로 2스테이지까지 무리 없이 지나왔다면 자신이 뻘짓을 하지 않는 이상 거의 90%는 클리어한 것이나 다름없다.
  14. 이 해금조건이 더 어렵다. 자세한 조건은 상위항목의 Miner 항목 참조.
  15. 뿔이라기보다는 아래로 솟아있는 탓에.. 거기다 색깔까지 영 거시기하다..
  16. 머셔너리를 언락해야 하는데, 머셔너리의 언락 조건은 게임 클리어 5번이다.
  17. 의외로 HAN-D의 성장체력은 캐릭터 중 1위이다!물론 성장체력 하나보고 사서 고생을 할 필요까지는 없다 핸디가 아니더라도 인포서,마이너,머셔너리 등 성장체력 36삼총사가 체감상 그럭저럭 버텨주는 편.
  18. 죽고 부활하는 시간도 1분버티기 시간 누적에 적용된다!
  19. 퍼밀리어의 녹색 마이구미는 체력 회복률 증가이며, 짧은 시간 동안이지만 용암 데미지를 상쇄할 만큼 차오른다!
  20. lop에는 '(나무・나뭇가지를) 자르다'란 뜻이 있다.
  21. 그래픽은 노란 글씨에 아래쪽에 피가 묻은 것처럼 붉은 색이며, 사운드는 칼이 부딪히는 소리와 함께 약간 길고 음조가 내려간다.
  22. 곱연산이다. 즉 장갑 3개를 가지고 있을 시 넉백확률은 1-0.94^3=16.94%.
  23. 권투 장갑과 마찬가지로 곱연산이다.
  24. 공격적인 성향을 원한다면 무전기, 안정적인 딜링을 원한다면 수리킷으로 가변적인 성향을 띤다. 다만 무전기로 소환되는 드론들을 포함한 모든 드론들의 천적이 프로비던스'이므로 최종전에서는 약간 빛이 바래는 감이 있다.
  25. 곱연산
  26. 탄두를 쏘아내는 무기 일반을 Disposable xxx(탄종) Weapon이라 한다.
  27. 원래는 로더로 Overloading Magma Worm을 죽여야 해금되는 아이템인데 코드가 꼬였는지 로더를 해금하는 조건을 달성하면 바로 언락된다.
  28. 진화된 레무리안의 경우 지상에 착지했을때만 유령으로 소환할 수 있는데, 이 유령은 절대 날아다니지 않는다.
  29. 회복 드론이 없어도 방방이에서 타이밍만 잘 잡으면 해파리에게 처음 몇대는 맞을지언정 나중에는 맞지 않는다. 왜인지 해파리는 방방이에서 8자로 회전하는 습성이 있다.
  30. 왠진 모르겠지만, 마지막 보스인 프로비던스의 2 페이즈 2마리 뱀은 멈추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