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ree Cheers for Sweet Revenge

MCRThreeCheers.jpg[1]

My Chemical Romance Discography
I Brought You My Bullets, You Brought Me Your LoveThree Cheers for Sweet Revenge
The Black ParadeDanger Days: The True Lives of the Fabulous Killjoys

1 개요

마이 케미컬 로맨스의 정규 2집이자 메이저 데뷔 앨범.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을 뿐 아니라, 싱글 Helena의 뮤직비디오에서의 복장으로 MTV등에 출연하기 시작한 시기로, 밴드의 스타일을 대중들에게 강하게 각인시키게 된 앨범이다.
영화같은 뮤직비디오를 찍기 시작한 것도 이 앨범부터이다. 참고로 앨범 아트는 제라드의 작품으로, 본래는 앨범 커버용 사진을 찍기 위한 컨셉이었지만 앨범 아트가 되었다. 같은 구도의 사진을 사용하려 했던 원래의 아이디어는 밴드의 메아저 데뷔까지의 이야기와 라이브를 담은 Life on the murder scene 의 앨범커버에 사용되었다.

2 트랙리스트

전곡 듣기
1. Helena
2. Give 'Em Hell, Kid
3. To The End
4. You Know What They Do to Guys Like Us in Prison
5. I'm Not Okay (I Promise)
6. The Ghost Of You
7. The Jetset Life Is Gonna Kill You
8. Interlude
9. Thank You for the Venom
10. Hang 'Em High
11. It's Not a Fashion Statement, It's a Fucking Deathwish
12. Cemetery Drive
13. I Never Told You What I Do for a Living

3 대표곡

3.1 Helena


뮤비

MCR의 또다른 명곡. 제라드 웨이가 돌아가신 할머니에게 헌정한 노래라고 한다. 뮤비도 상당히 예술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여담이지만 아래 노래 'I'm Not Okay'의 일반 뮤비에 처음 등장하는 하얀색 밴은 제라드의 할머니가 선물해주신거라고 한다.

미스피츠가 만든 동명의 곡도 유명한데 그건 어떤식으로도 학대를 해도 사랑하기를 요구하는 약혼자의 이야기다.

노래 첫부분이 'Bubble gum'이라 들린다

<가사>

Long ago. Just like the hearse, you die to get in again
(오래 전. 우린 너와 멀리 떨어지게 됐어)[2]
We are so far from you
(너가 죽어 들어가게 된 영구차처럼)
Burning on just like a match you strike to incinerate
(계속 불타올라. 너가 아는 이들의 삶을)
The lives of everyone you know
(불태워버리기 위해 그은 성냥처럼)

And what's the worst you take (worst you take)
(남의 감정을 무너뜨릴 때마다)
From every heart you break (heart you break)
(대체 어떤 슬픔을 느끼니)
And like the blade you stain (blade you stain)
(마치 너가 물들인 칼날처럼)
Well, I've been holding on tonight
(난 오늘 밤 버티고 있어)

What's the worst that I can say?
(무슨 나쁜 말을 할 수 있겠니?)
Things are better if I stay
(난 여기 남는게 더 나을거야)
So long and goodnight[3]
(안녕, 그리고 편히 잠들어)
So long and goodnight
(안녕, 그리고 편히 잠들어)

Came a time
(그런 때가 있었지)
When every star fall brought you to tears again
(떨어지는 별들이 너를 울먹이게 만들던 때 말이야)
We are the very hurt you sold
(우린 너가 팔아넘긴 상처들이야)
And what's the worst you take (worst you take)
(남의 감정을 무너뜨릴 때마다)
From every heart you break (heart you break)
(대체 어떤 슬픔을 느끼니)
And like the blade you stain (blade you stain)
(마치 너가 물들인 칼날처럼)
Well, I've been holding on tonight
(난 오늘 밤 버티고 있어)

What's the worst that I can say?
(무슨 나쁜 말을 할 수 있겠니?)
Things are better if I stay
(난 여기 남는게 더 나을거야)
So long and goodnight
(안녕, 그리고 편히 잠들어)
So long and goodnight
(안녕, 그리고 편히 잠들어)

And if you carry on this way
(너가 만약 이 길을 계속 가겠다면)
Things are better if I stay
(난 여기 남는게 더 나을거야)
So long and goodnight
(안녕, 그리고 편히 잠들어)
So long and goodnight
(안녕, 그리고 편히 잠들어)

Can you hear me?
(내 말이 들리니?)
Are you near me?
(내 곁에 있니?)
Can we pretend to leave and then
(다시 떠나는 척 할 수 있을까)
We'll meet again
(그럼 우린 다시 만날 수 있을거야)
When both our cars collide.
(우리의 차가 부딪힐 때 말이야)

What's the worst that I can say?
(무슨 나쁜 말을 할 수 있겠니?)
Things are better if I stay
(난 여기 남는게 더 나을거야)
So long and goodnight
(안녕, 그리고 편히 잠들어)
So long and goodnight
(안녕, 그리고 편히 잠들어)

And if you carry on this way
(너가 만약 이 길을 계속 가겠다면)
Things are better if I stay
(난 여기 남는게 더 나을거야)
So long and goodnight
(안녕, 그리고 편히 잠들어)
So long and goodnight
(안녕, 그리고 편히 잠들어)

3.2 I'm Not Okay (I Promise)


일반 뮤비 버젼
영화 트레일러 버젼 EMO의 끝을 보여준다 그래도 블랙 베일 브라이즈에 비하면 약과

그린데이에게 Basket Case가 있다면 MCR에게는 I'm Not Okay가 있다고 할 수 있을 메이저 데뷔 대표곡이다. 영화의 트레일러같은 형식의 뮤비도 사랑받았는데, 잘 알려져있지는 않지만 해당 곡의 뮤비는 두 가지 버전으로, 트레일러 형식은 두번째 비디오이다.
가사가 십대들의 시점에 맞추어져 쓰여있기에 많은 해외 청소년들이 많이 공감하는 노래이기도 하다. 노래 중 "I'm Okay!"라고 화내듯이 소리지르는 부분이 십대들의 심정을 잘 대변한다.

<가사>

레이: You like D&D, Audrey Hepburn, Fangoria, Harry Houdini and croquet.
(넌 던드, 오드리 헵번 팽고리아[4], 해리 후디니, 그리고 크로케를 좋아하지.)[5]
You can't swim, you can't dance and you don't know karate. Face it, you're never gonna make it.
(넌 수영도 못 하고, 춤도 못 추고, 카라테도 못해. 인정해. 넌 절대 못할거야)
제라드: I don't wanna make it, I just wanna...
(난 뭘 하려는게 아냐. 난 그냥...)

Well if you wanted honesty, that's all you had to say.
(내가 솔직하길 원했더라면 그냥 그렇게 말하지 그랬어)
I never want to let you down or have you go, it's better off this way.
(널 실망시키거나 놓치고 싶지 않았다고, 지금 이대로가 좋은걸)
For all the dirty looks, the photographs your boyfriend took,
(남들의 언짢아하는 시선과 네 남자친구가 찍은 사진들 때문에)
Remember when you broke your foot from jumping out the second floor?
(너가 2층에서 뛰어내려 발이 부러진거 기억나?)

I'm not okay
(난 안 괜찮아)
I'm not okay
(난 안 괜찮아)
I'm not okay
(난 안 괜찮아)
You wear me out
(너가 지치게 하는걸)

What will it take to show you that it's not the life it seems? (I'm not okay)
(보이는 삶이 전부가 아니라는걸 대체 어떻게 보여줘야 겠니)
I've told you time and time again you sing the words but don't know what it means (I'm not okay)
(네 귀에 박히도록 말을 해봤지만 넌 아직 이해 못하고있어)
To be a joke and look, another line without a hook
(놀림거리가 되는게 뭔지 말야. 정확한 해석 추가 바람)
I held you close as we both shook for the last time take a good hard look!
(우리가 마지막으로 떨고 있을 때 난 널 꽉 껴안았어. 이제 똑바로 봐!)

I'm not okay
(난 안 괜찮아)
I'm not okay
(난 안 괜찮아)
I'm not okay
(난 안 괜찮아)
You wear me out
(너가 지치게 하는걸)

Forget about the dirty looks
(남들의 시선 따위랑)
The photographs your boyfriend took
(네 남자친구가 찍은 사진들도 잊어버려)
You said you read me like a book, but the pages all are torn and frayed
(넌 날 책처럼 쉽게 이해한다고 말했지만 페이지가 전부 찢기고 닳아있는걸)

I'm okay. I'm okay!
(난 괜찮아. 난 괜찮다니까!)
I'm okay, now (I'm okay, now)
(난 이제 괜찮아)
But you really need to listen to me
(내 말을 꼭 들어주길 바래)
Because I'm telling you the truth
(난 지금 진실을 말하고 있거든)
I mean this, I'm okay! (Trust Me)
(진심이야, 난 괜찮아!)

I'm not okay
(난 안 괜찮아)
I'm not okay
(난 안 괜찮아)
Well, I'm not okay I'm really not okay[6]
(난 안 괜찮아. 난 정말 안괜찮다니까)
I'm not okay
(난 안 괜찮아)
I'm not okay (Okay)
(난 안 괜찮아)

3.3 The Ghost Of You


뮤비

노래 자체도 좋지만 MCR 팬들에겐 최고의 뮤비로 평가받는 작품. 세계 2차대전 당시 벌어진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모티브로 만들어졌다.
전쟁 상황, 혹은 전쟁 후의 PTSD를 암시하고 있다.

같은 시대를 그린 영화 라이언 일병 구하기의 오마주를 의도한건지는 모르지만 뮤비 초반에 맷 데이먼과 닮은 사람이 나온다.

<가사>

I never said I'd lie and wait forever
(난 내가 가만히 평생 기다린다고는 하지 않았어)
If I died, we'd be together
(내가 죽게되면 우린 함께하게 될거야)
I can't always just forget her
(난 그녀를 쉽게 잊을 수 없어)
But she could try
(하지만 그녀는 시도할 수 있겠지)

At the end of the world
(이 세상의 끝에서)
Or the last thing I see
(혹은 나의 주마등에서는)
You are never coming home, never coming home
(넌 돌아오지 않았어, 절대 돌아오지 않았어)
Could I? Should I?
(하지만 나는? 돌아가야만 할까?)
And all the things that you never ever told me
(그리고 너가 내게 말해주지 않은 모든것들)
And all the smiles that are never ever...
(또 내게 지어주지 못한 미소ㄷ...)
Ever...
(절대로)

Get the feeling that you're never
(넌 절대 혼자가 아니라는 기분이 들어)
All alone and I remember now
(그리고 이제 기억이 나)
At the top of my lungs in my arms she dies
(내 가슴위에서 내 팔에 안겨, 그녀는 죽어갔어)
She dies
(그녀가 죽어갔어)

At the end of the world
(이 세상의 끝에서)
Or the last thing I see
(혹은 나의 주마등에서는)
You are never coming home, never coming home
(넌 돌아오지 않았어, 절대 돌아오지 않았어)
Could I? Should I?
(하지만 나는? 돌아가야만 할까?)
And all the things that you never ever told me
(그리고 너가 내게 말해주지 않은 모든것들)
And all the smiles that are ever gonna haunt me
(날 평생 괴롭힐 그들의 미소)
Never coming home, never coming home
(돌아오지 않아, 절대 돌아오지 않아)
Could I? Should I?
(하지만 나는? 돌아가야만 할까?)

And all the wounds that are ever gonna scar me
(이 상처들은 내게 평생 흉터로 남을거야)
For all the ghosts that are never gonna catch me
(원혼들이 날 잡진 못할거니까 말이야)

If I fall...
(만약 내가 추락한다면...)
If I fall... (down)
(만약 내가 추락한다면...)

At the end of the world
(이 세상의 끝에서)
Or the last thing I see
(혹은 나의 주마등에서는)
You are never coming home, never coming home
(넌 돌아오지 않았어, 절대 돌아오지 않았어)
Could I? Should I?
(하지만 나는? 돌아가야만 할까?)
And all the things that you never ever told me
(그리고 너가 내게 말해주지 않은 모든것들)
And all the smiles that are ever gonna haunt me
(날 평생 괴롭힐 그들의 미소)
Never coming home, never coming home
(돌아오지 않아, 절대 돌아오지 않아)
Could I? Should I?
(하지만 나는? 돌아가야만 할까?)

And all the wounds that are ever gonna scar me
(이 상처들은 내게 평생 흉터로 남을거야)
For all the ghosts that are never gonna...
(원혼들이 날 잡진 못할ㄱ...)

  1. 영화 '크리스마스의 악몽' 패러디 버전
  2. 자연스러운 번역 위해 문장 도치함. 이하 마찬가지
  3. 셰익스피어의 희곡 '한여름밤의 꿈'의 등장인물 '헬레나'가 한 말이기도 하다.
  4. 호러 잡지
  5. 비주류문화들. 미국에서 이정도면 왕따 취급이라고 한다
  6. 음원버젼에선 "I'm not O-fucking-kay(난 씨X 안 괜찮다니까)"로 나온다. 이게 더 어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