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GA Conflict/부품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VEGA Conflict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함선이나 기지에 장착 할 수 있는 부품들. 연구소에서 연구해 개방하거나, 이벤트로 획득 할 수 있다.

1 함선용

함선에 장착하는 부품들. 무기, 장갑, 특수부품, 방어막, 컨테이너로 나뉜다.

1.1 무기

무기는 3가지 종류를 가지는데, 사거리가 짧지만 투사체의 속도가 빠르고 DPS가 높은 유형(에너지-노란색으로 표기), 사거리가 길지만 근접한 적을 공격하지 못하고, 투사체의 속도가 느리며 DPS가 낮은 유형(발사체-파란색으로 표기), 범위 공격이 가능한 유형(폭발형-붉은색으로 표기)이 있다.
1.1.1 에너지 무기
공통적으로 최소사거리(무기 사출 불가 구간)를 가지지 않고 대부분 유도성을 띈다.[1] 크게 광선(Ray) 무기와 레이저(Beam) 무기로 나뉜다.
광선 무기는 대부분 사출 당 단타성 혹은 6 연타성이고 선딜레이를 가지지 않으며 후딜레이도 짧은 편이다. 따라서 카이팅을 하기에 적합하고 레이저 무기에 비해 dps 손실이 크지 않은 편이다.
예외1) 파열 광선은 유도성이 전혀 없고 후딜레이가 무지막지하게 길다.
예외2) 개틀링 광선은 약간의 선딜레이를 가지고 있지만 후딜레이가 존재하지 않는다.
레이저 무기는 사출 중에 일종에 도트 대미지를 주고 대부분 그 동안 극딜을 퍼붓는다. 타겟이 파괴되거나 사거리 밖으로 나갈 시 레이저가 도중에 끊어진다.[2] 모두 선딜레이(예열 시간)+후딜레이(쿨타임)가 길어 체력이 낮은 타겟을 공격할 시 dps 손실이 크다.
예외1) 피뢰 레이저는 dps가 '1'이어서 극딜이라던지 dps 손실 같은게 거의 없다시피 한 대신 감속 능력(슬로우)를 가지고 있다.
  • 진동 광선
단계파일:진동광선1.jpg
I
파일:진동광선2.jpg
II
파일:진동광선3.jpg
III
파일:진동광선4.jpg
IV
파일:진동광선5.jpg
V
중량10204080160
장착 시간16초16초2분 8초3분 12초4분 16초
DPS3581220
필요 연구소 레벨IIIIIIIIV
사거리0~2,750m
탄속3,000m/s
연구 가능 모듈무기 연구소
설명진동 광선은 단순한 디자인과 경제적인 설계 덕분에 많은 이들이 애용하는 소형 함선용 에너지 무기입니다. 근접전에서 가장 효과적입니다.
가장 처음부터 쓸 수 있는 함선 무기로써, 매우 낮은 비용과 매우 짧은 장착 시간 덕에 저레벨 함대에 잠깐 쓰인 뒤로는 진동 광선 V만 좀비 함대에 채용된다. 중량/비용 대비 DPS도 진동 광선 V만 쓸만한 편. 투사체가 절대 빗나가지 않는다.[3]
  • 분열 광선
단계IIIIIIIVV
중량3060120240480
장착 시간50초3분 20초10분20분30분
DPS1014202942
필요 연구소 레벨IIIIVVVIVI
추가 필요 사항진동 광선 I진동 광선II진동 광선 III진동 광선 IV진동 광선 V
사거리0~2,500m
탄속3,000m/s
연구 가능 모듈무기 연구소
설명분열 광선은 진동 광선보다 조금 더 복잡한 에너지 무기입니다. 위력은 훨씬 높지만 사거리는 더 짧습니다.
진동 광선의 강화판이라 볼수있는 에너지 무기로 무게 대비 데미지 효율이 좋아 좀비 해리어에도 애용된다. 초 근접 상태에서 효과적인 무기로, 이벤트 무기를 제외하면 고온 레이저 다음으로 강한 근접 펀치력을 보유하고 있다.[4] 투사체가 절대 빗나가지 않는다.
  • 폴라론 광선
단계IIIIIIIVV
중량90135205310465
장착 시간23분46분1시간 32분3시간 4분4시간 36분
DPS1114182329
필요 연구소 레벨VIIVIIIIXXX
추가 필요 사항분열 광선 I분열 광선 II분열 광선 III분열 광선 IV분열 광선 V
사거리0~3,500m
탄속3,000m/s
연구 가능 모듈무기 연구소
설명폴라론 광선은 전통을 파괴한 혁신적인 에너지 무기로 사정거리가 개선되었으며 위력은 중간 정도입니다.
분열 광선과는 대척점에 위치했다고 볼수있는 에너지 무기. DPS수치는 낮지만 렌즈 배열 강화 V를 낄 경우 글라디우스 드라이버와 맞먹는 긴 사정거리와 높은 연사력으로 함대전에서 자주 볼수있는 무기. 투사체가 절대 빗나가지 않으며 반드시 타겟에게 적중한다.[5]
  • 고온 레이저
단계IIIIII
드롭 함선20~2527~3340~45
필요 설계도 조각 수456
중량220396792
장착 시간27분 40초55분 10초5시간 31분 10초
DPS223868
필요 연구소 레벨VVIIIX
추가 필요 사항분열 광선 III폴라론 광선 I폴라론 광선 III
사거리0~3,000m
탄속3,000m/s
설명고온 레이저는 대단한 위력을 지닌 함선용 에너지 무기로 베가에서 채굴 저항 세력에게 압박을 가하고자 개발했습니다. 레이저형 무기는 쉽게 회피할 수 없습니다.
베가 함대 격파를 통한 설계도 수집을 통해 입수하는 근접용 에너지 무기. 사정거리 내의 적을 고온의 레이저 줄기로 지져준다(!)남자의 로망은 세계가 같다그렇기에 탄속은 그냥 장식. 저 DPS는 무기의 재충전 시간까지 포함한 DPS기에 실질적으로 느끼는 데미지는 더 강하다. 그 강력함과 회피불가 속성 덕택에 함대전과 기지 전투에서 자주 쓰이는 무기. 한 가지 애로 사항이 있다면, 적이 사거리 내에 들어오는 순간부터 충전을 시작하는데, 한 순간이라도 적이 다시 사거리 밖으로 도망치거나 목표 함선이 터졌다면 충전 사이클이 초기화된다! 느린 함선에 달았다면 더 빠른 적 함선에게 능욕(...)당하기 충분한 빈틈이니, 함대 조합을 잘 해보자. 레이저가 절대 빗나가지 않는다.
  • ECHO 광선
단계IIIIII
드롭 함선VSec 30~35VSec 37~45VSec 50~55
필요 설계도 조각 수456
중량178356712
장착 시간52분 50초1시간 45분 50초5시간 17분 20초
DPS111831
필요 연구소 레벨VIIVIIIIX
추가 필요 사항폴라론 광선 I폴라론 광선 III폴라론 광선 V
사거리0~3,500m
탄속3,500m/s
연속4회
모듈 피해-20%
설명ECHO 광선 (Electric CHarge Overflow)은 VSec에서 사용하는 에너지 무기로 근접한 표적 사이를 튀어서 공격하는 독특한 능력이 있습니다.

파일:ECHO.gif

VSec 감시대 격파를 통해 얻을수 있는 무기로, 단순 데미지는 낮으나, 최대 4번까지 튕기면서쓰리쿠션? 아니 쿼드쿠션이다 뭉쳐있는 적함에 큰 데미지를 줄수 있는 무기이고 쿠션 가능 거리도 꽤 길기 때문에 실질적인 dps는 높은 편이다. 또한 렌즈 배열 강화 5를 끼면 글라디우스와 동 사거리를 자랑하는 유이한 에너지 무기로서 각광받고있는 무기이다. 튕길때마다 데미지 하락이 있으니 유의.
실제 대미지 계산은 표기 디피의 216%로 계산하면 된다. 모두 튕겼을 시에 약 두배의 대미지 증가 효과가 있는셈.
단점은 단일 대상에 대한 제거 능력이 그다지 좋지 않다는 것과 적이 어느정도 퍼져있으면 쿠션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 일점사 할 시 단일 대상 녹이는 속도가 왠만한 무기보다 느린 편이다. 그나마 투사체가 절대 빗나가지 않으며 "반드시 타겟에게 적중한다"는 점에서 서로 함선막이를 실행할 때 약간은 유리할 수도 있다.그마저도 임펄스에겐 무용지물 튕기는 경우에도 무조건 맞춘다. 희귀등급 분류.
  • 파열 광선
단계IIIIII
중량460690875
장착 시간25분 20초50분 40초5시간 3분 40초
DPS5582103
필요 연구소 레벨VIIVIIIIX
사거리0~2,200m
탄속4,000m/s
설명파열 광선은 근접전에 최적화된 무기입니다. 광선이 원형을 그리며 넓은 범위로 강력한 파열을 일으키는 특성 때문에 '에너지 산탄총'이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
크랙다운 이벤트에서 처음 나온 에너지 무기로, DPS와 무게가 매우 높지만 산탄총마냥 거리가 짧고(사거리가 제일 짧다!) 탄자가 옆으로 퍼지고 무기에 유도력이 전혀 없기 때문에 전타를 먹이려면 접근해서 때려박아야등짝을 봐야 하는 남자의 무기. 사거리 끝에서 쓰게 되면 엄청난 dps 손실을 가지게 되기 때문에 상대 함선에 바짝 붙어서 공격해야 한다. 주로 쾌속정급 함선들이 장착 후, 함선 전면으로 바짝 들이받고그냥 닥돌 . 드물지만 공성에서 함교만 집중적으로 까낼 목적으로 전함에 장착해서 쓰는 경우도 있다.
모든 에너지무기 중에 유이하게 투사체가 빗나갈 수 있다. 파열 광선과 같이 투사체가 빗나갈 수 있는 개틀링 광선과 비교해보자면, 개틀링 광선의 경우 어느정도 유도력이 있으나 파열 광선은 전혀 없다. 희귀등급 분류.
  • 피뢰 레이저
단계IIIIII
중량5408121,220
장착 시간35분 50초1시간 37분3시간 14분
DPS1
감속효과(%)406080
필요 연구소 레벨VVIIIX
사거리0~2,750m
탄속3,000m/s
설명피뢰 레이저는 적함의 엔진 작동을 심각하게 교란하는 무기입니다. 단, 근접전 외에는 위력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교란 이벤트에서 처음 나온 무기로, DPS는 1이지만 기지 방어용인 피뢰 레이저를 그대로 함선에 옮겨단 버전. 다만 기지용 버젼과는 다르게 짧은 사거리를 가진다. 충전시간을 제외하면 단일 대상에게 즉발로 둔화를 건다는 점에서 투사체 속도가 느리지만 광역으로 둔화를 거는 NET 격퇴포와는 큰 차이를 보인다. 빗나가지 않고 반드시 적중하여 확정 둔화를 넣지만 둔화 이후 사거리 밖으로 벗어나게 되면 그대로 레이저가 끊어지고 둔화도 풀리게 된다. 발사 전 예열시간 4초 + 쿨타임 1초. 총 5초의 충전시간으로 인해 한 번 끊어지면 이동속도가 빠른 함선에겐 효율이 떨어진다. 에너지 무기 중에서도 중량이 상당한 편이기 때문에 전함이 아닌이상 잘 채용하지 않게되는 무기.[6] 레이저가 절대 빗나가지 않으며 반드시 타겟에게 적중한다.
예전의 패치로 ECHO 광선과 함께 하향이 되었다. 원래 스펙은 표의 좌측.
발사 전 예열2초->4초(하향)
쿨타임0.5초->1초(하향)
지속 시간6초->10초(상향)
사정거리3,000m->2,750m
아웃레인지 전법을 쓰는 전함에 달고 인파이터형 함선들을 처참히 농락하는 모양이 킥스의 눈에 거슬렸는지 지속시간을 제외하고 전부 하향당했다.
  • 전투비행대대[7]
단계IIIIII
중량390545765
장착 시간25분1시간 9분 10초4시간 10분
DPS5678110
필요 연구소 레벨VIVIIIX
비행 시간15초
스크램블(사거리)0~7,500m
편대 속력2,000m/s
편대 내구력500
연구 가능 모듈무기 연구소
설명전투비행대대에 대기중인 전투선은 빠르고 근접전에 최적화 되어있으며, 높은 파열 손상을 일으킬수 있는 에너지 무기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비행 중대는 항공모함과 별도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무기 연구소에서 연구가능한 항공모함 함재기종. 군비경쟁당시 풀렸던 폭격기 중대보다 사거리랑 비행시간이 좀더 짧고 대신 속력이 빠른 함재기종이다. 당연한 말이지만 항공모함 함급에만 장착할 수 있고 일반 함급에는 적용 불가능하다.가끔 설명을 안읽고 연구해버려서 왜 적용이 안되냐는 뉴비들도 볼수 있다
  • 오로라 광선
단계IIIIII
중량196392784
장착 시간40분 2초1시간 20분 30초2시간 41분
DPS183056
방어막 피해+25%
사거리0~3,250m
탄속4,000m/s
설명오로라 광선은 이온화된 에너지 광선을 발사하는 VSec의 전술 무기이며 방어막을 유린하는 데 안성맞춤입니다 .
방어막 추가 데미지 25%(이온 충전기, 변조기 부품은 장갑 피해 -가 붙는다)라는 강력한 옵션을 탑재하고 나온, 레이저 무기의 신성. 이런 무기를 가지고도 유저에게 털리다니, VSEC의 호구력은 우주 제이이이이일! 그러고보니 발할라 이벤트때도 라그나로크가 털렸었다 계엄령때 부터 코모도도 털린 VSec인데 뭔가를 기대하면 지는거다 쏘는 턴마다 노란색 탄에 붉은 빛을 겉 두른 6발을 연속으로 발사한다. dps도 준수한 편인데 방어막 추가 데미지 까지 붙어있어서 이 무기로 함대전에서 한 함선에 일점사를 하면 어떤 방어막이라도 순식간에 지워버린다.
공격 선딜레이가 없고 연사력도 빨라서 dps손실도 크지 않은 편. 또한 함재기에 대한 판정이 좋은지 현 에너지 무기 중에 가장 함재기를 잘 없앤다. 리스크도 딱히 없고 여러모로 좋은 점이 많아서 함급에 관계없이 채용될 수 있다. 특히 마크업 시 방어막 추가 대미지가 생기는 추적함, 쾌속정과 잘 맞는다. 투사체가 절대 빗나가지 않는다.
  • 개틀링 광선
단계IIIIII
필요 점수50,000250,000750,000
중량216431862
장착 시간58분 10초1시간 56분 20초5시간 49분 10초
DPS203362
필요 연구소 레벨???
추가 필요 사항???
사거리0~3,250m
탄속4,000m/s
관통2회
설명개틀링 광선은 가차 없는 속사 공격으로 단일 표적을 꿰뚫어버리는 에너지 무기입니다.
에너지 무기에 관통을 들고 나온 무기. 최대 2기 까지 관통한다. 공개 영상에서는 붉은 빛을 겉 두른 오로라 광선의 투사체를 발사하는 모습으로 나왔지만, 실제 인게임에서는 노란 투사체만 발사하는것으로 봐서 처음에 방어막 추가 데미지와 관통을 동시에 가진 무기를 출시할 예정이 였으나 이것이 오로라와 개틀링으로 나뉜 것으로 추정된다.그 둘이 동시에 있으면 에너지 무기만 쓰일테니까
약간의 선딜레이를 가진 후 일정 턴을 가지지 않고 에너지 투사체를 연속적으로 발사하며 특이하게도 반드시 타겟쪽으로 적중하지만 투사체가 반드시 맞지는 않는다. 사거리 끝의 적에게는 체감상 상당한 확률로 탄 일부가 빗나갈 가능성이 있고 무게 대비 화력이 높은 편인 것도 아니며 사정거리가 딱히 특출난 것도 아니다. 솔직히 이거 진짜 쓰레기다 처음에 반드시 타겟쪽으로 착탄되고 타겟에게 데미지가 박히기 전에는 상당한 유도력을 가지지만 박힌 후에는 유도력을 잃고 그 경로에 함선이 있던 말던 그 방향으로 나간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동일선상에 게틀링을 낀 함선S와 게틀링 사거리 안에 들어간 피격 함선 A, B, C가 차례대로 있다고 가정하자. S가 A를 먼저 공격할 경우 B까지만 데미지를 입게 되지만 B를 먼저 공격할 경우 탄약이 A를 무시하고 B, C순으로 데미지를 입게 된다.
위 상황에서 B의 상태만을 바꿔 S, A, C는 같은 선상이고 B는 C보다 A에 가까운 정도가 더 크지만 다른 선상에 있다고 해보자. 이 상태로 S가 A를 공격할 경우 C까지 데미지를 입게 된다.
보통, 함대전에서 체력이 낮은 함선은 다른 함선 뒤로 빼주어 숨겨주는 것이 요구되는 컨트롤인데 이 무기는 한 기의 함선을 관통해 공격 할 수 있다. 오히려 내가 컨트롤을 하면 상대의 DPS를 그대로 2배만큼 올려주는 것인 셈[8]. 대부분의 함대전에선 항공모함을 동원한 함대전인데, 항공모함을 지키기 위해 함선으로 앞을 막아내 주는 것이 불가능하게 만든다.
dps손실을 줄이기 위해선 상대 함선이 사거리 끝에 걸쳐있지 않고 어느정도 가까운 거리에서 싸워야 한다.안 그러면 총알이 반은 흘리는 기적을 볼 수 있다 운영법 상 파열 광선과 비슷해 보이지만 저 쪽은 정말 바짝 들이박는 것 이외엔 답이 없다면, 개틀링 광선은 좀 더 유연하고 전략적인 운영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많이 다르다.
  • 임펄스 레이저
단계IIIIII
중량264475950
장착 시간???
DPS274270
필요 연구소 레벨VVIIIX
사거리0~3,400m
탄속3,000m/s
설명임펄스 레이저은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모아 터뜨려 큰 피해를 일으키는 단거리 에너지 무기 입니다.
음모 이벤트에서 처음 나온 에너지 무기이다. 나가는 모습은 고온과 흡사하나 고온 특유의 열 충전음이 없다. 고온 레이저와 비교하면 사거리와 데미지[9]가 상승하고 사출 시간이 짧아져 빠른 함대에 능욕당할 일이 없어졌다. 대신 발사 전후의 딜레이도 늘어났다. 저놈의 딜레이 때문에 동일 스펙의 고온 레이저를 단 함선과 근접전으로 붙으면 불리하지만 애초에 DPS와 사거리 조건을 상대 함선과 똑같이 맞춰 줄 이유가 없고, 고온과 달리 함선막이도 불가능한 무기이므로 실제로는 조금 더 우위에 있다.

주로 순양함에 달아 공성에서 함교를 파괴하는 용도나(2티어), 어느정도 마크업이 이루어진 구축함에 달아 함대전과 공성전 모두에 이용한다(3티어).

주요 단점은 무거운 무게와 긴 딜레이. 에너지 무기 중에서도 꽤 높은 무게인데다 고티어로 갈수록 쾌속정이 아니면 거의 필수로 달리는 렌즈 부품 때문에 3단계부터는 고티어 함선이 아니면 써먹기 힘들다. 그리고 앞서 말했듯이 딜레이가 주 비교 대상인 고온보다 길다. 체력이 얼마 안 남은 상태의 대상에게 있어서 각 함선의 타겟을 적당히 나누는 컨트롤이 요구된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dps손실이 상당한 편. 레이저가 절대 빗나가지 않으며 반드시 타겟에게 적중한다.
  • 레이더[10] 중대
단계IIIIII
중량429600842
장착 시간???
DPS100140195
필요 연구소 레벨VIVIIIX
비행 시간20초
스크램블(사거리)0~5,000m
편대 속력1,800m/s
편대 내구력400
설명레이더 중대의 사정거리는 매우짧으나, 에너지 무기는 치명적으로 단거리 내 공격 전략에 적합합니다.
음모 이벤트의 신규 보상으로 나온 함재기. DPS만 놓고 보면 3단계가 195로 폭격기 중대의 154보다도 높아 전투비행대대에 비해 화력은 확실하게 늘어난 셈이다.
그런데... 함재기 임에도 불구하고 겨우 5000m에 불과한 스크램블 거리와 400[11]이라는 낮은 편대 내구력을 가지고 있다. 내구력이야 다른 함재기들도 얄짤없이 녹아내리니 엄청나게 큰 문제거리는 아니나, 사거리가 너무 짧은 탓에 왠만한 FvF에서 구축함을 공격하기 힘들고 전함은 아예 상대조차 할 수 없다. 구축함은 레이더 중대 사거리 안으로 들어오기 전에 일점사로 항공모함를 녹여버릴 가능성이 크고 전함은 약간 더 긴 사거리와 더 빠른 기동성으로 아예 레이더를 채용한 항공모함을 철저히 농락할 수 있다.
스크램블 거리가 20% 감소하는 미드가르드 항공모함에 착용할 경우 사거리가 4000가 된다.발사체 순양함에도 짤짤이 당할듯? 장착하면 항공모함을 항공모함이 아니게 만들어 버리는 위엄 여러모로 상향이 필요한 무기.
여담으로 이벤트 몹에서 등장하는 프레이야 항공모함이 종종 장착하고 나오는 무기인데, 함선 녹이는 속도가 장난 아니기 때문에 전함으로 잡을 시, 사거리 재면서 잡는게 좋다.못하겠다면 그냥 항모로 때려잡으면 된다
  • 아처 레이저
단계IIIIII
중량3927071,414
장착 시간???
DPS264066
필요 연구소 레벨VIIVIIIIX
사거리0~3,600m
탄속3,000m/s
제한구축함 전용
설명아처 레이저는 사정거리가 극단적으로 긴 에너지 무기로 구축함의 전술 방안을 늘려줍니다.
메인 이벤트 '초토화'에서 처음 나온 무기로 현 에너지 무기 중 가장 긴 사거리를 자랑한다.[12] 구축함 전용이기 때문에 다른 함급은 장착할 수 없다. 무게 대비 dps가 다른 에너지 무기 중에서도 특히 좋지 않은 편이지만 사거리가 길기 때문에 공성에서 자주 쓰일 것으로 보인다. 렌즈 배열 강화 V를 달면 실능 7,275m라는 사거리를 자랑한다.[13]
피뢰 레이저를 제외하면 현 레이저 무기 중에 가장 긴 레이저 사출 시간을 가지고 있다. 레이저 무기 특성상 사출 중에 사출하는 함선이 터지거나 대상이 사거리 밖으로 벗어나면 사출이 끊어지게 되는데, 아처 레이저는 이 사출 시간이 굉장히 길기 때문에 함대전에서 모든 딜을 다 넣기 전에 타겟이 사거리 밖으로 도주하여 dps손실을 볼 수도 있고[14] 덩달아 무게대비dps가 다른 에너지 무기들에 비해 좋지 못해서 단순한 깡딜 면에서도 밀릴 여지가 크다. 함대전에서 레이저 무기를 쓰겠다면 아처 레이저를 쓰는 것 보단 그냥 임펄스나 고온을 쓰는게 낫다.
공성에서 레이저가 함대구역 드론에 어그로가 끌릴 위험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으나, 대부분의 공성전에서 레이저 계열 무기를 사용할 경우 이동 지점에 함대 구역이 어느정도 가깝지 않은 이상, 보통 함재기를 타겟팅 하기 전에 주위에 널부러져 있는 모듈에 먼저 타겟팅을 하게 된다. 그리고 공성에선 함교, 전투 모듈, 함대 구역 중 하나를 플레이어가 직접 타겟팅하기 때문에 장착한 무기가 고온 레이저가 아니라면 함재기에 타겟팅 될 수가 없다. 또한 멍청하게 구축함을 앞세우지 않는 이상 좌우 선두에 있는 디코이(순양함)에 우선적으로 함재기가 날아가기 때문에 애당초 함재기에 어그로가 끌릴 일이 없다. 그러니까 걱정말고 적의 모듈을 도려내자. 정 걱정된다면 함대구역을 면저 박살내면 된다.
  • 리버브 광선
단계IIIIII
중량128256512
장착 시간???
DPS81322
필요 연구소 레벨VIIVIIIIX
사거리0~3,000m
|<-3> 3,500m
|<-3> 3
|<-3> -20%
|<-3> 순양함 전용
설명리버브 광선은 표적 사이를 오가며 동력을 얻는 ECHO 광선과 동일한 원리로 설계되었습니다.

파일:리버브.gif

순양함 전용의 에너지 무기.에코에 비해 짧은 사거리에 경량화 버전이긴 한데 애초에 에코 자체가 에너지 무기 중에서도 매우 가벼운 축에 드는 무기라 사실상 의미가 없다고 생각되다. 그러나 에코와 정 반대로 정보에는 나타나있지 않지만 튕길때마다 일정량의 데미지 증가 옵션이 존재한다. 에코와 달리 2발을 연속으로 발사한다.
이벤트 전에는 가뜩이나 튕기는 횟수도 낮은데 딜까지 낮아서 반응이 좋지 않았으나 튕기면서 데미지가 증가한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순양함에 이걸 달고 외계인을 학살하는 등 평가가 반전되었다.

튕기는 사거리는 3000m이상으로 판단되며, 한 외국인 유저에 의한 실험에 따르면 튕길때마다 1티어는 10%, 2티어는 20%, 3티어는 30%의 데미지 증가가 있다고 한다. 즉 총 DP는 모두 튕겼을 시에 티어3 기준으로 표기 디피의 400% 인셈.

1.1.2 발사체 무기

사거리가 길고 피할 수 있는 탄환을 발사하여 데미지주는 스나이핑 무기.
최소사거리가 존재하며 실제 디피는 낮지만 발사체당 데미지는 높다.
특수 부품 슬롯을 사용하여 발사체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쉴드 관통을 50퍼 까지 챙길 수 있다.

밸런스 대격변 전까지는 높은 쉴드 관통으로 카이팅에 자주 사용되는 무기였으나, 밸런스 대격변후 전체적인 쉴드량이 많이 낮아지고, 점차 함선의 아머가 높아지면서 쉴드 관통의 효율 대폭 하향되었고[15] 이에따라 질량대비 DPS가 낮은점이 더욱 부각되어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16]

그나마 쓰이는 부품들은 자체 옵션으로 명중율을 보완 해 줄 수 있는 무기들로 기술 연구가 덜 진행된 초, 중반에 다양하게 사용되며,
후반에는 에너지 무기나 발사체 무기들로 넘어가게 된다.

  • 레일 드라이버
단계IIIIIIIVV
중량4570105160240
장착 시간40초1분 30초3분 45초6분 15초9분 22초
DPS5681013
필요 연구소 레벨IIIIIIIVV
추가 필요 사항진동 광선 II없음
사거리2,000~4,000m
탄속1,000m/s
연구 가능 모듈무기 연구소
플레이어가 처음 연구할 수 있는 발사체 무기로, 초반 롱보우 구축함에 달아 기지 공략에 쓰인다.
  • 가우스 드라이버
단계IIIIIIIVV
중량100160255410655
장착 시간11분 58초29분 55초1시간 14분 47초3시간 6분 58초4시간 40분 28초
DPS710131824
필요 연구소 레벨VVIVIIVIIIVIII
추가 필요 사항레일 드라이버 I레일 드라이버 II레일 드라이버 III레일 드라이버 IV레일 드라이버 V
사거리2,250~4,500m
탄속1,000m/s
연구 가능 모듈무기 연구소
레일 드라이버의 강화 버전으로 자주 쓰일 것 같으나 사거리과 데미지만 늘어날 뿐, 탄속이 그대로라 채용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시피하다. 더욱이 이거 연구할 때 쯤이면 대부분 글라디우스 드라이버 1티어 설계도를 완성하게되기 때문에 사실상 볼 일이 없다. 거의 유일한 쓰임새는 글라디우스 드라이버의 추가 필요 사항 정도다.
  • 매스 드라이버
단계IIIIIIIVV
중량2203304957451,120
장착 시간32분 20초1시간 20분 50초2시간 41분 40초5시간 23분 20초8시간 5분
DPS1115202737
필요 연구소 레벨
추가 필요 사항가우스 드라이버 I가우스 드라이버 II가우스 드라이버 III가우스 드라이버 IV가우스 드라이버 V
사거리2,500~5,000m
탄속1,000m/s
연구 가능 모듈무기 연구소
연구 가능 발사체 무기의 최종형으로 시즈 드라이버와 함께 사거리가 모든 발사체 무기류 중 제일 길지만 무게대비 데미지가 끔찍하고 탄속도 나아지지 않아 설계도면 무기에 밀려 거의 쓰이지 않는다. 공성에 쓰일법도 하나 사거리가 같고 무게 대비 dps가 더 높은 시즈 드라이버에게 밀렸다.
  • 글라디우스 드라이버
단계IIIIII
드롭 함선27~3335~3750~55
필요 설계도 조각 수456
중량320513820
장착 시간38분 50초3시간 14분9시간 42분 10초
DPS182532
필요 연구소 레벨VIVIIIX
추가 필요 사항가우스 드라이버 III매스 드라이버 II매스 드라이버 IV
사거리2,250~4,750m
탄속2,000m/s
설명글라디우스 드라이버는 베가에서 개발한 실험적인 함선용 발사체 무기이며 근접 격발형 신관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베가 함대를 사냥해 얻는 설계도 발사체 무기. 거의 찬밥 신세인 연구 발사체와 달리 상당히 많이 쓰인다. 바로 탄속이 2000m/s이고 폭발하여 범위 데미지를 줄 수 있다. 한 가지 엄청난 특성이 있는데, 빗나갈 듯 하더라도 폭발 범위에 적 함이 들어간다면 알아서 폭발하는, 일명 '근접 격발 신관'이 채용되었다. 이때문에 모든 발사체 무기 중에 가장 높은 명중률을 자랑한다. 특히 중반 파밍에서 굉장히 자주 쓰이는 무기로 파밍에 있어서 하이드라보다 훌륭하다.
  • AP 드라이버
단계IIIIII
드롭 함선30~3537~4550~55
필요 설계도 조각 수456
중량288461738
장착 시간1시간 41분3시간 22분 10초10시간 6분 20초
DPS152026
필요 연구소 레벨???
추가 필요 사항매스 드라이버 I매스 드라이버 III매스 드라이버 V
사거리2,250~4,750m
탄속2,000m/s
적중률[17]6
설명AP 드라이버(Armor Piercing)은 VSec에서 사용하는 발사체 무기로 방어선 돌파를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포탄 하나로 수많은 함선을 꿰뚫어버립니다.
VSEC 감시대를 잡아 얻을수있는 발사체 무기. 이 발사체에는 흔하지 않은 관통 특성이 붙어있어 무기 진로 내의 표적들을 최대 6번 관통하며 데미지 증감 없이 피해를 준다. 반대급부로 글라디우스에 비하여 사거리를 제외하면 전체적인 피지컬이 낮고, 스플래쉬가 아예 없는지라 함대전에서는 글라디우스에게 밀리는 편. 더불어 정신나간 빌드타임도 발목을 잡는다. 제일 일반적인 VSec 함대 무기로, 몹 중에는 질 전함이 주로 장비하고있다. 희귀 등급 분류.
  • 시즈 드라이버
단계IIIIII
필요 점수(리트리뷰션/폭동)50,000 / 12,500250,000 / 125,000750,000 / 650,000
중량5761,0251,640
장착 시간1시간 29분2시간 57분 50초8시간 53분 30초
DPS284253
필요 연구소 레벨???
사거리4,000~5,000m
탄속500m/s
설명시즈 드라이버는 최신식 발사체 무기로, 특수한 중력 발사체를 발사하여 적의 기지를 파괴합니다.
매번 돌아오는 드레드 전함 보상 폭동 이벤트를 통해 획득 가능하며, 시즈(공성)라는 이름에 걸맞게 정신나간 사거리와 DPS, 그리고 무게를 선보인다. 다만 탄속이 일반 발사체의 절반인 500m/s이고, 발사 가능 거리가 1,000m[18] 로 좁기 때문에 이걸 낀 구축함 함대가 인터셉트 당하면 도저히 이길 가망성이 없으니, 호위를 잘 붙이자. 고급 등급 분류.
  • 웨이브 드라이버
단계IIIIII
필요 점수50,000250,000750,000
중량317508812
장착 시간48분 30초2시간 1분 20초8시간 5분
DPS172430
방어막 우회25%
필요 연구소 레벨???
사거리2,000~4,800m
탄속1,800m/s
군비경쟁 이벤트 당시 얻을수 있었던 발사체 무기. 글라디우스 드라이버에 비해 약간의 데미지와 탄속 200m/s가 감소한 대신 기본적으로 방어막 관통 수치 25%가 붙어있다. 방어막 우회와 같이 쓸 경우 최대 80%[19]의 관통률을 보여주는 무기.[20] 다만 피격판정이 안좋아서 잘 안쓰인다. 희귀 등급 분류.
  • 제미니 드라이버
단계IIIIII
필요 점수50,000250,000750,000
중량256410656
장착 시간33분1시간 22분 20초3시간 25분 40초
DPS223038
필요 연구소 레벨???
사거리1,600~4,100m
탄속1,800m/s
재미있니? 드라이버
철수 이벤트 보상으로 재탕하는 폭격기 중대와 양자택일하게 되는 무기. 글라디우스 드라이버보다 사거리와 탄속이 낮지만, DPS가 높고 쌍발이며 훨씬 가볍다는 장점이 있다. 쌍발이라 적중률이 높아지는(두 발 중 한 발이라도 맞추면 데미지가 반쪽이라도 들어간다는) 것도 장점. 단 최대 사거리가 레일 드라이버(4,000m)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단점은 어떻게든 커버해야 한다. 그래도 최소 사거리가 가장 짧은 발사체 무기이다 보니 인터셉팅에 상대적으로 강하다. 준수한 데미지에 비해 그리 무겁지 않아 랭커 전함에도 장비 가능하므로 초보들이 글라디우스 드라이버를 확보하기 전에 채용하기 좋은 발사체 무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 이벤트 1티어를 확보했다면. 괜찮아 스펙방 4 단 진동좀제면 VSec VIP 놈들 노다이로 깰 수 있었어 일부 유저들은 언어 유희로 제민이 드라이버라고 놀린다 '철수' 이벤트의 '재민'이 드라이버 너무 익숙하다
  • 정밀한 가우스 드라이버
단계IIIIII
중량100160255
장착 시간탈착 가능
DPS722?
사거리2,250~5,200m
탄속1,000m/s
설명가우스 드라이버는 자기 코일을 여러 개 사용하여 긴 사정거리와 높은 위력을 구현해낸 발사체 무기입니다.

구축함에 달아서 기지의 자원을 빼먹기에 좋다. 그 이외에는 잉여.

  • 스톰 드라이버
단계IIIIII
필요 점수50,000200,000500,000
중량370530720
장착 시간???
DPS323845
필요 연구소 레벨VIIVIIIIX
사거리1,500~4000m
탄속2,500m/s
제한데몬 코어 전용
설명스톰 드라이버는 베가 데몬 코어에서 실전 배치한 표준 규격 군사용 무기입니다. 발사체 탄약으로 짧고 제어된 폭발을 일으킵니다.

데몬 코어의 전용 발사체 무기로, 3발을 연속 발사한 뒤 2초 후 다시 같은 방식으로 공격한다. 실제로 코버넌트 순양함에 달린 것을 보면 한 번에 5발을 그렇게 쏴 대다 보니 암을 유발했다. 거기에 대한 페널티인지 탄이 집중되는 대신 퍼지지만 퍼지는 각도가 매우 좁아서 베요네트 미사일이나 아크 미사일처럼 안 맞는 게 아니라 오히려 유사 근접신관스러운 효과가 나오는 무기.

  • 템페스트 드라이버
단계IIIIII
필요 점수50,000200,000500,000
중량366525713
장착 시간???
DPS425676
필요 연구소 레벨VIIIIX
사거리1,000~3,000m
탄속2,500m/s
확산력
적중률2
제한데몬 코어 전용
설명템페스트 드라이버은 근접전용으로 설계된 강력한 발사체 무기입니다. 부채꼴 영역으로 비유도 미사일을 발사하여 적이 눈치를 채기도 전에 맹공격을 퍼붓습니다.

데몬 코어 전용 발사체 무기 2. 총 5발을 파열 광선처럼 쏘는데, 발사체가 1회 관통 옵션이 있다. 즉 개틀링 광선 + 파열광선 형태의 발사체 무기.

  • 중성자 드라이버
단계IIIIII
필요 점수50,000200,000500,000
중량5418671386
장착 시간???
DPS283850
필요 연구소 레벨???
사거리3,400~4,600m
탄속1,200m/s
교전 반경500m
제한구축함 전용
설명중성자 드라이버는 중력 충격파로 고밀도 중성자 덩어리를 발사하는 강력한 발사체 무기입니다.

류를 상징하는 기술이자,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격투게임 장풍계 기술의 원조이자 상징.
구축함 전용 발사체 무기아도겐다. 발사체면서 범위 타격을 가하는[21] 물건이지만, 문제는 사거리가 SICO 포탑보다 짧다. 즉, 맞으면서 모듈을 지워야 하기에 함선의 손상이 심해진다.

1.1.3 폭발성 무기

참고로 폭발형 무기 중 '○○ 격퇴포'의 격퇴포 부분은 사실 오역이다. 원문은 torpedo, 즉 어뢰가 맞는 표현. 격퇴포라니, CIWS냐? 그리고 이 오역도 추적함의 선례처럼 바뀔리가 없지

하지만 초월번역 쪽으로 생각하면 격퇴포는 상당히 괜찮은 번역이다. '격퇴+포'라는 합성어가 어뢰보다 더 입에 착 달라붙고 파괴력이 강한 인상을 주게된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그대로 어뢰로 번역하면 이름이 많이 투박해지고 어떤 무기는 뭔가 이상해진다. 유황 어뢰, 기뢰 어뢰가 그 예.

  • 분산 미사일
단계IIIIIIIVV
중량100140195275385
장착 시간14초40초1분 59초5분 57초8분 54초
DPS1013162025
필요 연구소 레벨IIIIIIVVV
추가 필요 사항레일 드라이버 I없음
사거리0~3,750m
탄속1,500m/s
교전 반경300m
확산력20°
연구 가능 모듈무기 연구소
설명분산 미사일은 적당한 수준의 지역 대미지를 입히는 폭발성 무기입니다.
플래이어가 처음 사용하게 되는 폭발성 무기. 중량 대비 효율적인 DPS와 그 DPS가 간판 취급받는 탄 분산도를 보여주고, 이후 헥스 미사일이 주력으로 채용되면 자주 쓰지는 않는다. 하지만 경제적인 수리 시간으로 파밍용 좀비 함대에 장착하는 경우가 많다.
  • HEX 미사일
단계IIIIIIIVV
중량200280390545765
장착 시간6분 20초19분57분1시간 54분3시간 48분
DPS1619232732
필요 연구소 레벨VIIVIIIIX
추가 필요 사항분산 미사일 I분산 미사일 II분산 미사일 III분산 미사일 IV분산 미사일 V
사거리0~4,250m
탄속1,500m/s
교전 반경350m
확산력20°
연구 가능 모듈무기 연구소
설명HEX 미사일은 중거리에서 이온화된 기체가 투입된 볼트를 발사하는 폭발성 무기입니다.
별칭 헥스 미사일로, 주로 하이드라 미사일을 얻기 전에 주력으로 쓰이는 폭발성 무기. 대부분 랭커 전함이나 드레드 전함에 4개를 장착해 화력공세를 VEGA 함대가 한다. 간간히 롱보우 구축함에 장착하여 초반 기지공략에도 쓰인다.
  • 플라즈마 격퇴포
단계IIIIIIIVV
중량3004506751,0141,525
장착 시간23분46분1시간 32분3시간 4분6시간 8분
DPS1519243140
필요 연구소 레벨X
추가 필요 사항HEX 미사일 IHEX 미사일 IIHEX 미사일 IIIHEX 미사일 IVHEX 미사일 V
사거리2,850~4,750m
탄속750m/s
교전 반경500m
확산력15°
연구 가능 모듈무기 연구소
설명플라즈마 격퇴포는 높은 위력의 원거리 폭발성 무기이며 휘발성 대전 입자로 작동합니다.
매우 넓은 피해범위와 준수한 데미지, 비교적 좁은 확산도를 자랑하나 반대급부로 탄속이 느려 잘 맞지 않아 버려지는 무기. 강하면 뭐해. 맞질 않는데. 다만 기지 공격에 채용할 경우 발사체 무기에 버금가는 사거리와 넓은 범위 데미지를 톡톡히 보여준다.시즈나 글라 제대로 막으려고 디플렉터 필드를 장착한 기지들은 환장한다
  • 하이드라 미사일
단계IIIIII
드롭 함선20~2527~3335~37
필요 설계도 조각 수456
중량369519770
장착 시간7분 40초1시간 8분 20초4시간 33분 40초
DPS222734
필요 연구소 레벨IVVIVIII
추가 필요 사항HEX 미사일 II플라즈마 격퇴포 II플라즈마 격퇴포 IV
사거리1,500~4,000m
탄속1,400m/s
교전 반경350m
확산력
설명하이드라 미사일은 인상적인 함선용 폭발성 무기로 표적에 닿기도 전에 수많은 소형 폭발물로 분할됩니다.
베가 함대 격파를 통한 설계도 수집을 통해 입수하며 유도 기능이 있어 여타 폭발형 무기와는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폭발성 무기의 데미지를 못 피한다 글라디우스 드라이버를 주력으로 쓰기전에 쓰는 무기이기도 하다. 하이드라 미사일 발사 후 비행 시에 분할되는 수많은 자탄(약간 더 노란색으로 밝다)은 유도되는 척 하지만 분해되는 순간 표적이 있었던 자리[22] 에 그대로 가서 터진다. 다시 말해 본탄(원래 궤적대로 진행해 함선에 제대로 꽂힌다)이 모든 데미지를 보유하고, 분할되는 자탄은 장식이다(...) 훼이크다 이 XX들아 모바일 버젼에선 아예 자탄 모션 자체가 없다
  • SICO 미사일
단계IIIIII
드롭 함선VSec 27VSec 30~35VSec 37~45
필요 설계도 조각 수456
중량461649963
장착 시간1시간 41분 10초3시간 22분 20초6시간 44분 50초
DPS334151
필요 연구소 레벨VIIVIIIIIX
추가 필요 사항HEX 미사일 III플라즈마 격퇴포 III플라즈마 격퇴포 V
사거리1,800~4,200m
탄속1,800m/s
교전 반경450m
확산력30°
설명SICO 미사일(Strategic Interdiction & Control Ordnance)은 VSec에서 사용하는 폭발성 무기로 VSec를 방해하거나 우습게 보는 이들을 지옥으로 떨어트립니다.
VSec 감시대 격파를 통해 얻는 무기로, 매우 빠른 연사 속도와 1,800m/s의 설계도 발사체 저리 가라는탄속이 특징이다. 사거리도 정규적이며 폭발력도 적당하고 확산력도 과하거나 덜하지도 않고 수리 시간도 효율적인, 폭발성 무기의 모범생. 잊혀져가는 고온 레이저와는 달리, 순양함 함대에 높은 빈도로 장착된다.사실 시코아포밖에 쓰이질 않는다.
  • NET 격퇴포
단계IIIIII
드롭 함선VSec 30~35VSec 37~45VSec 50~55
필요 설계도 조각 수456
중량6751,0151,525
장착 시간34분 30초1시간 9분4시간 36분
DPS131620
감속효과(%)305070
필요 연구소 레벨?VIVIII
사거리2,500~4,500m
탄속1,100m/s
교전 반경500m
확산력
설명NET 격퇴포(Null Engine Thrust)는 소위 '비살상' 교전으로 알려진 전투에 적합하게 설계된 VSec의 폭발성 무기입니다. 비살상 좋아하네
VSec감시대 격파를 통해 얻는 무기지만, 특이하게도 적함에 데미지를 많이 입히진 않고, 피격된 함선의 속도를 일정 퍼센트 줄여버리는 무기. 티어가 올라갈수록 감속률도 올라간다. 피뢰 레이저는 단일 함선만 느리게 만들지만, 넷 격퇴포는 교전 반경 내의 모든 적을 느리게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근데 개돌함대 이외에는 잘 안 맞는다.
  • 기뢰형 격퇴포
단계IIIIII
중량461649963
장착 시간9분 50초1시간 2분 40초4시간 36분
DPS354354
필요 연구소 레벨IVVIVIII
사거리2,500~4,350m
탄속200m/s
교전 반경700m
확산력90°
설명기뢰형 격퇴포는 강력한 함선용 폭발성 무기로 근접 격발형 신관이 장착된 저속 우주 어뢰를 발사합니다.
유저들 사이에서는 기격포, 기뢰라 줄여 불리는, 염탐이벤트 및 순환형 폭동 이벤트에서 획득 가능하며 매우 넓은 폭발 범위와 높은 DPS를 자랑하는 무기. 다만 탄속이 200m/s[23] 주로 기지 공격용으로 쓰였지만, 함대 구역의 방어용 함재기가 추가된 이후로는 거의 보기 힘든 무기가 되었다. 왜냐하면, 이 무기의 설명에 적혀있는 근접 신관과 함선사이를 휘젓고 다니다 탄환에 돌진해버리는 함재기들의 특성이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기뢰들이 주요 목표물인 함교에 닿기도 전에 함재기들이 접근하면 근접신관이 작동하여 엉뚱한 지점에서 터져버린다. 그렇게 그 높은 DPS를 함재기들이 흡수해버려 함대 구역이 무력화 되기전에 투입하면 함대를 헌납(...) 하게되므로 유저들이 기피하게 되었다.함재기가 DPS를 흡수하면 애초에 함재기 제거용으로 쓰면 되잖아 하지만, 역으로 근접하게 되면 늦게 터져서 딜 로스가 생기는 기격포의 단점을 함재기가 맞고 주변 모듈과 함께 터지게 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허나..

파일:휘발성기뢰3.gif


휘발성 연료가 나온 뒤부터 어느정도 함대전에서도 쓸만한 모습을 보여주게 되었다. 폭발형 부품중 하나인 휘발성 연료는 탄속 증가에 폭발범위가 증가하는 부품이라[24] 단점을 커버하고 장점은 살려주는 완벽한 조합으로 날개를 달게 되었다.
다만, 미친듯한 확산력에 짧은 최대 사거리, 긴 최소 사거리는 단점으로 남아 있어 파밍시에는 모를까 대 함전에는 다른 부품을 단 함선과 같이 운용해야[25] 카이팅이라던지, 쾌속선이 최소 사거리 안으로 치고 들어와서 농락하는 플레이에 당하지 않는다.

  • 벡터 격퇴포
단계IIIIII
중량5807141,060
장착 시간57분 30초1시간 55분3시간 50분
DPS202634
필요 연구소 레벨VIIVIIIIX
사거리3,000~4,700m
탄속1,100m/s
교전 반경400m
확산력
설명벡터 격퇴포는 무시무시한 위력을 자랑하는 VSec의 폭발성 무기이며 비행중에 경로를 변경할수 있는 격퇴포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도대체 어딜봐서 위력이 무시무시하단거지?! 50짜리 추적함대에게 안 맞아본 모양이다. 그건 몹 보정용이고
교란 이벤트에서 얻을수 있었던 무기로, 주로 벡격포라 줄여 불린다. 하이드라 미사일과같이 확산력이 0도라[26] 진행중 경로를 바꾸어 적을 쫒아간다. 하지만 격퇴포의 한계인 느린 탄속을 벗어나지 못했을 뿐 더러 유도력도 타 무기와 비교하기에 너무 부족한지라 평이 엇갈리는 무기.半유도무기라 카더라 벡터 격퇴포: 난 유도 무기이기를 포기했다! 출현 이벤트에서는 벡터 격퇴포탑보고 아예(...) 반(半)유도식이라고 해놨다. 이 무기가 발사하는 미사일을 자세히 보면 일정 거리를 비행하면 사라지는 원형 파장 이펙트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바로 이 때만 탄이 유도된다. 파장이 발생하는 중에는 에너지 무기처럼 기묘하게 턴을 하면서 무조건 맞춘다.

포럼 공지 내에서 상향이 예정되어있다.

추적 시간3초->5초
최소 사거리3,000m->2,000m
질량
I508->406
II714->571
III1060->848

추적 시간의 상향으로, 사거리 내에서 어물쩡대는 순간 얻어맞게 되는 것으로 바뀌었다. 덧붙혀서, 휘발성 연료를 1티어라도 붙혀버리면 도망가는 추적함이 아닌 이상 확정적으로 맞출수 있다. 이젠 붉은색 ECHO광선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을 지경.

  • 폭격기 중대
단계IIIIII
중량468654918
장착 시간31분1시간 53분 40초6시간 56분 40초
DPS78110154
필요 연구소 레벨??X
스크램블(사거리)0~8,500m
편대 속력1,500m/s
편대 내구력750
설명폭격기 중대은 제아무리 장갑을 두른 적이라도 박살 낼 수 있는 초강력 폭발성 무기로 무장하고 있습니다. 비행 중대는 항공모함과 별도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군비경쟁 이벤트 당시 얻을수 있었던 함재기의 일종. 장점은 폭발성임에도 확실한 명중률바로 위에서 퍼부으니 안 맞을 수가 없다.근데 쾌속정은 피한다.과 강력한 데미지, 그리고 범위 데미지 적용이다.[27] 에너지형 함재기인 전투비행대대보다 속도가 500m/s 느린 것, 요격기 중대에게 사거리 500m과 비행시간이 5초 짧은것 빼고는 모든방면에서 다재다능한, 애용받는 함재기이다. 철수 이벤트에서 재탕복각되었다.
  • 아크 미사일
단계IIIIII
중량5597851,166
장착 시간1시간 20분 30초2시간 41분5시간 22분
DPS243141
필요 연구소 레벨???
사거리2,800~4,800m
탄속1,400m/s
교전 반경500m
확산력10°
방어막 우회25%
설명아크 미사일은 대형을 이뤄 사격하는 전략형 폭발성 무기입니다. 또, 방어막으로 무장한 적과의 전투에 특화되었습니다.
전선 이벤트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부채꼴로 발사되는 폭발형 무기이다. 함대전의 경우 2800m라는 정신나간 최소 사거리[28]와 회피가 간편한 탄착군[29] 때문에 사용을 포기하는 게 편할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공성전의 경우 넓은 공격범위와 긴 사거리를 이용해 플라즈마 격퇴포의 상위호환으로 써먹을 수 있다. 거기에 방어막 우회까지 달려있어 데미지가 더 들어가는 걸 생각하면 끔찍하다.
참고로 확산각이 10도로 되어 있지만 그건 훼이크. 확산각 10도는 개개 탄에 적용되는 수치고 실제로는 30도 각도의 부채꼴 모양으로 5발의 탄을 날리기 때문에 실질적인 확산각은 30도라고 보면 된다.
  • 베요네트 미사일
단계IIIIII
중량465634995
필요 점수50,000200,000500,000
장착 시간???
DPS243040
필요 연구소 레벨VIIVIIIIX
사거리2,500~4,500m
탄속1,600m/s
교전 반경400m
확산력18°
적중률[30]3
제한아이언 스타 전용
설명베요네트 미사일은 아이언 스타 컴퍼니에서 개발한 특별한 폭발성 무기입니다. 여러 타겟을 꿰뚫고 지나가면서 폭발을 일으킵니다.

파일:베요네트.gif

베요네트라는 이름에 걸맞게 관통을 가진 폭발성 무기. 세 갈래로 퍼지는 덩어리를 발사하는데, 모두 AP드라이버처럼 관통 판정이 있다. 게다가 폭발성 무기답게 관통할때마다 폭발, 최대 사거리에 도달할때 폭발하기 때문에 잘 노리고 발사한다면 2중첩 이상의 데미지를 입힐수 있다.

다만, 세갈래로 퍼지기 때문에 실 DPS는 1/3 수준이고, 그 간격도 꽤 넓기 때문에 2개 이상을 맞추기는 매우 힘들다. 만일 중첩 데미지를 노리고 사용하려면 스플래쉬가 커지는 반물질이나 휘발성 연료를 다는것을 추천. 이 무기 단독으로 사용하면 적 함이 다닥다닥 붙어있지 않는 이상 중첩뎀을 노리기는 힘들다.

  • 유황 격퇴포
단계IIIIII
중량5126971095
장착 시간???
DPS233040
필요 연구소 레벨???
사거리2,000~5,000m
탄속1,800m/s
교전 반경400m
확산력
제한전함 전용
설명유황 격퇴포는 지역제압에 특화된 폭발성 무기입니다. 최대 사정거리에 도달하면 폭발하여 위험한 파편을 쏟아냅니다.

파일:유황.gif
초토화 이벤트 영상에서 유저들에게 충공깽을 선사한 무기. 그냥 발사되어 명중까지는 타 폭발형 무기와 같지만, 이 무기는 그 후 사방으로 자탄을 흩뿌린다. 그야말로 게임 장르를 탄막 슈팅으로 바꿔버리는 수준. 문제는 같은 이벤트에 나온 아처 레이저와 같이 드론에 취약하다. 미사일이 적에게 근접하기 전에 터트려서 자탄이 닿지 못하게 되면 그 긴 사거리도 그냥 잉여로운 수준.

그리고 가장 큰 문제는 저 사거리가 허세라는 것이다. 미사일이 발사 사정거리 절반쯤 가서 그냥 터진다. 즉, 자탄까지의 사정거리가 5,000m라는 이야기. 거기다 자탄이 전방으로 퍼지는것이 아닌 사방으로 퍼진다. 따라서 저 DPS도 허세. 만일 저 DPS 그대로 적용하려면 미사일이 적함들이 모여있는 정중앙에 작렬해서 자탄들이 그대로 적함에 박혀야 한다. 그에 더해, 지뢰가 자탄을 그냥 씹어먹는 현상도 있다(...)

KIXEYE에서 또 통수를 쳤다. 원래는 5000까지 날아가서 터지는 것이 맞는데, 버그 때문에 수정을 한다고 한다.(이벤트 함대도 만들어야 하니)
기존 성능만 보고 받지 않은 사람들은 또 통수를 쳤다며 짜증내고 있는 중... 이었는데, 설명만 바꿨다. 통수 2


다만, 미사일이 터지는 근거리에서 사용하면 얘기가 달라진다.

파일:유황근거리.gif

미사일이 터지면서 데미지가 들어가고, 자탄이 흩뿌려지는데 함선이 앞으로 이동하면서 자탄들을 전부 맞게 되는 모양새가 된다. 확산력은 0이라 만일 휘발성 부품으로 탄속을 늘렸다면 확정으로 때릴수 있다. 다만 자탄은 휘발성 부품의 영향을 받지 않는듯.

따라서 유황 격퇴포는 파열광선같이 근거리로 운용해야 어느정도 dps가 나온다는 이야기. 다만 전함 한정 부품에 최소 사거리가 존재해서..망했어요

아마도 킥스측에서 설명만 바꾼 이유가 5000m에서 터트리면 사거리에 준수한 뎀딜까지 나오는 벨붕무기가 될 가능성이 커서 그리된듯 싶다.

1.2 장갑

함선의 내구도를 책임지는 핵심 부품으로, 높은 티어의 부품으로 생존력을 높이거나 낮은 티어의 부품으로 효율적인 운용을 노릴 수 있다. 밸런스 패치로 인해 내구도 1당 수리시간 1초 라는 시스템으로 개편되었다.더이상 좀제가...

  • 플라스틸
단계IIIIIIIVV
중량10204080120
장착 시간1초2초10초18초2분 24초
수리 추가 시간10초20초40초1분 20초2분
내구도255090170240
필요 연구소 레벨
연구 가능 모듈함선 연구소
설명가벼운 공격을 방어하는 데 적합한 저렴한 장갑입니다.

강철과 아크릴 폴리머의 합금인 플라스틸은 제일 초반부터 사용하는 저렴한 장갑이다. [31] 2개를 동시에 장착하는 경우에도 장착에 소요되는 시간이 5분을 넘기지 않아 편리하다.하지만 뉴비들은 대부분 플라스틸을 쓸 때 그런 건 몰랐다

  • 트리타니움
단계IIIIIIIVV
중량4065105170270
장착 시간58초3분 12초6분 50초13분 2초23분 15초
수리 추가 시간40초1분 5초1분 45초2분 50초4분 30초
내구도120185275415610
필요 연구소 레벨IVIVVVIVII
연구 가능 모듈함선 연구소
설명일반적인 공격을 방어할 수 있도록 특별히 강화한 장갑입니다.

티타늄과 기타 금속의 합금인 트리타니움 장갑은 그럭저럭 쓸만한 방어력과 실용적인 수리 시간을 갖추고 있어, 모든 종류의 좀비 함선들에게 사랑받는 장갑이다. 좀비 제네시스로 사골까지 우려먹었다. 너무 우려먹어서 패치당했다. 현재는 그저 지나가는 장갑 중 하나가 되었다.

  • 이리듐자성체아니다
단계IIIIIIIVV
중량6095150240385
장착 시간6분 39초18분 58초40분 40초1시간 17분 27초2시간 18분 18초
수리 추가 시간1분1분 35초2분 30초4분6분 25초
내구도2103154707051,060
필요 연구소 레벨VIIIIX
연구 가능 모듈함선 연구소
설명강력한 공격을 방어할 수 있는 튼튼한 장갑입니다.

이리듐과 기타 금속을 혼합한 판으로 만들어진 이리듐 장갑판은 만능 장갑이다. 트리타니움이 저렴하고 수리가 빠르며 징티움이 강하고 견고하다면, 이리듐은 그 중간의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중량도 내구도도 적당하므로 어떤 함선이든지[32] 장착 가능한 장갑이다.

  • 징티움
단계IIIIIIIVV
중량80130210335535
장착 시간39분 31초1시간 52분 54초4시간 1분 55초7시간 40분 48초13시간 42분 52초
수리 추가 시간5분 20초8분 15초12분 40초19분 10초29분
내구도3204957601,1501,740
필요 연구소 레벨VIIVIIIIXXX
연구 가능 모듈함선 연구소
설명생존 가능성의 극대화에 초점을 맞춘 중장갑입니다.

징티움과 기타 금속의 화학 혼합물로 만든 고밀도 장갑인 징티움 장갑판은 모든 장갑의 끝판왕이다. 강화 컨테이너와 함께 고티어 함선들의 내구도를 책임지며, 특히 순양함급의 탱킹 일등 공신이다.[33]제일 강력한 장갑인 만큼 중량과 수리시간은 까무러칠 정도.기스 좀 났다고 전치 12시간이 웬 말이냐
는 패치 이전의 이야기로, 현재는 무게 대비 효율적인 장갑이 되었다.물론 수리시간 역시 제일 크다.

  • 스펙트럼 장갑
단계IIIIII
순위섹터 1~3위내전 동맹 1~35위내전 개인 1~700위
중량140210320
장착 시간???
수리 추가 시간8분 40초12분 5초17분
내구도5207251020
필요 연구소 레벨VIVIIVIII
저항에너지
데미지 경감5%10%15%
특성재활용 가능
설명스펙트럼 장갑은 에너지 무기에 대한 내성을 기본적으로 갖춘 재사용 가능 패널입니다. 과도한 에너지를 안전하게 흡수해 줍니다.

나오자마자 상당수의 유저가 장난하냐, 킥스아이...... 라는 반응을 보였다.
내전 보상 업그레이드와 동시에 나온 장갑. 높은 단계의 장갑그리고 기본 에너지 저항을 얻고 싶으면 코인을 가득 써 달라는 KIXEYE의 악의가 풀풀 풍겨나온다.

아이탬 갯수가 제한된 장갑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장갑이다. 각 속성별로 나올 예정이며, 실제 해당 저항 속성에 따른 이득은 징티움 장갑들보다 살짝 나은정도. 코인을 무리하게 써가면서 얻을 가치는 없는 약간의 이득이라도 얻고싶어하는(수리시간이라던가) 최상위권 유저들을 겨냥한 아이탬.

  • 교전용 장갑
단계IIIIII
점수50,000200,000500,000
중량210320480
장착 시간???
수리 추가 시간12분18분 20초27분 40초
내구도72011001660
필요 연구소 레벨???
저항에너지, 폭발성
데미지 경감10%15%20%
제한아이언 스타 전용
설명교전용 장갑는 에너지폭발성 무기 모두에 대해 기본적인 내성을 갖추어 근접전에서 더 높은 성능을 발휘합니다.

나오기만 하면 호구 취급 받던 아이언 스타제 함선을 도약시킬 장갑. 현재에도 마크업된 허리케인과 파이선은 무시 못할 위력을 발휘하나, 이 장갑을 장비시키면 에너지 및 폭발성 무기의 데미지를 80%로 줄여받기 때문에 저항기와 함께하면 최대 50%(합연산), 최소 56%(곱연산)의 데미지만 받는다는 계산이 나온다. 발사체 간접상향을 위한 부품인 듯 싶다. 그래봤자 스톰 드라이버와 글리다우스 드라이버만 쓰이게 될 거 같다
헤러틱 마크5에 이걸 7개달고 에너지나 폭발성 저항기를 달면 42.46%라는 정신나간 저항력을 보여준다. 물론, 다른 장갑과 섞어 쓰면 교전용 장갑의 체력분만 저항이 계산된다.

조금 더 부연설명을 하자면, 에너지 무기와 폭팔형 무기에 대해서만 내구도를 15퍼씩 증가 시켜서 계산하는 듯 하다.

7월 말 쯤 LXC 포럼에서 저항을 없애는 대신 저 무기를 맞을 때에 한해서 장갑을 1.5배로 계산하는 것으로 바꾼다는 이야기가 나왔었다. 자세한 것은 정보가 나오면 추가 혹은 추가바람.

실제 적용된 노 마크 업 파이선이 마크 2 헬파이어 2 블래스터 라운드, 2 휘발성 연료 벡격포에 상당히 오래 버틴 것을 보면 효과는 상당히 강력한 듯 하다. 아니면 그 헬파이어의 무기 단계가 낮았던가.

1.3 방어막

방어막은 무기와는 달리 4종류이다. 각각의 방어막 유형에 맞는 무기의 공격을 받았을 때(예: 에너지 유형 무기->에너지 유형 방어막), 피해를 절반으로 받는다,
방어막이 있을 때 방어막이 함선 자체에 들어갈 피해의 일정량(보통 90%)을 흡수한다. 기술연구소에서 연구하는 방어막은 같은 레벨일때, 에너지 방어막의 방어막 총량이 제일 많다. 함선에 따라 장착이 불가능하기도 하다.
종류에 따라 세종류로 나뉘어지는데, 기지 내의 기술 연구소에서 연구 가능한 일반 보호막, 베가 함대를 잡아 설계도를 수집하여 얻는 충전식 보호막, 이벤트로 설계도를 얻고 모든 유형의 피해를 동일한 감소율로 막아내는 메타페이즈 방어막으로 나눌 수 있다.
충전식 보호막은 일반 보호막과 달리 세 속성의 방어막 총량이 모두 같다. 충전식 보호막은 전투 내에서 자체적으로 보호막을 매우 빠르게 재생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지만, 얻어맞고 있는 도중에는 회복되지 않는다. 게다가 보호막이 완전히 소모되어버리면 충전이 아예 되지 않기 때문에, 그저 AI에 맡기거나 개돌하는 스타일의 전투방식에는 적합하지 않고 빠른 기동성으로 카이팅을 잘 활용해 적을 농락하는 추적함급의 함선에 큰 효율을 보인다.
메타페이즈 방어막은 한 가지 속성의 방어에 특화되어 있는 다른 방어막과 달리, 모든 유형의 피해를 절반으로 감소시키는 방어막이다. 대놓고 PvP용이다 다만, 방어막이 90%를 먹고 장갑이 받는 피해를 10%로 최소화하는 다른 방어막과 달리 메타페이즈 방어막은 방어막이 80%(모든 유형에 대한 저항 덕에 절반인 40%로 먹는다)를 받으므로, 장갑이 받는 피해가 두 배(10%→20%)로 늘어난다. 따라서 방어막이 모두 소진될 때까지 장갑이 받는 피해량이 늘어난다는 단점이 있지만, 여전히 모든 유형에 대해 총합 60%의 피해만 받으므로 유용한 방어막이다. 이 내용은 패치 이전의 이야기로, 방어막 패치 후 이제는 메타페이즈 방어막도 장갑이 받는 피해의 90%를 막아내도록 바뀌었다.

1.3.1 에너지
  • 스팩트럼 방어막
단계IIIIIIIVV
중량20601805401,080
장착 시간38초1분 55초5분 46초17분 17초51분 50초
수리 추가 시간1분3분9분27분54분
에너지601805401,6203,240
필요 연구소 레벨IIIIVVIIIX
방어효율90%
연구 가능 모듈기술 연구소

에너지 무기에 대해 강한 방어 효율을 보이는 기본적인 방어막이다. 방어막 양에 비해 대단히 효율적인 수리 시간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스펙트럼 방어막 4는 끝판왕 수준으로, 827이라는 양의 방어막을 제공하면서도 수리 시간은 단 10초밖에 소비하지 않아 좀비 제네시스 함대에 잘 쓰인다. 이론상 텅 빈 제네시스에 스펙5를 달면 2,856이라는 가공할 만한 양을 먹고 수리시간이 4분 31초밖에 안 나오는 기적을 보여주나, 무게 제한에 발을 걸렸다 앞의 이야기는 모두 과거의 이야기. 방어막 패치 이후 같은 티어에서는 방어막의 양이 제일 많고 그에 따라 수리 추가 시간도 가장 긴 방어막이 되었다.

  • 확산 방어막
단계IIIIII
중량603601,080
장착 시간5분16분 40초50분
수리 추가 시간2분12분36분
에너지1207202,160
충전 속도(초당)1272216
필요 연구소 레벨???
방어효율90%
설명확산 방어막은 에너지 무기 피해를 줄여주는 함선용 방어막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내구력이 최대 수치까지 회복됩니다.

베가 함대 격파를 통한 설계도 수집을 통해 획득 가능한 충전식 쉴드이다. 확산 방어막 3의 경우, 다른 3레벨 충전식 방어막보다 얻기 쉬운 35~40 설계도에서 먼저 실려있어 빠르게 확보된다.

1.3.2 발사체
  • 디플렉터 방어막
단계IIIIIIIVV
중량1545135405810
장착 시간29초1분 26초4분 20초12분 58초38분 53초
수리 추가 시간45초2분 15초6분 45초20분 15초40분 30초
에너지451354051,2152,430
필요 연구소 레벨IIIVVIVIIIX
방어효율90%
연구 가능 모듈기술 연구소

전투용도로 쓰이는 발사체 무기가 거의 없다시피 한 관계로, 예전에는 파밍함에 줄곧 쓰였지만 메타페이즈의 상향으로 인해 입지가 미친듯이 좁아진 안습의 방어막.

  • 리펄서 방어막 - 베가함대 격파를 통한 설계도 수집을 통해 획득 가능한 충전식 쉴드. 고급 등급 분류.
단계IIIIII
중량45270810
장착 시간5분16분 40초50분
수리 추가 시간1분 30초9분27분
에너지905401620
충전 속도(초당)954162
필요 연구소 레벨???
방어효율90%
설명리펄서 방어막은 발사체 무기 피해를 줄여주는 함선용 방어막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내구력이 최대 수치까지 회복됩니다.
1.3.3 폭발성
  • 충격파 방어막
단계IIIIIIIVV
중량1750150540900
장착 시간32초1분 36초4분 48초14분 24초43분 12초
수리 추가 시간50초2분 30초7분 30초22분 30초45분
에너지501504501,3502,700
필요 연구소 레벨IIIVVIVIIIX
방어 효율90%
연구 가능 모듈기술 연구소
  • 폭발 방어막 - 베가 함대 격파를 통한 설계도 수집을 통해 획득 가능한 충전식 쉴드. 고급 등급 분류.
단계IIIIII
중량50300900
장착 시간6분 40초18분 20초53분 20초
수리 추가 시간1분 40초10분30분
에너지1006001,800
충전 속도(초당)1060180
필요 연구소 레벨???
방어 효율90%
설명폭발 방어막은 폭발성 무기 피해를 줄여주는 함선용 방어막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내구력이 최대 수치까지 회복됩니다.
  • 스트라이크 실드
단계IIIIII
중량120360720
장착 시간???
수리 추가 시간8분24분48분
에너지48014402880
충전 속도(초당)4860288
필요 연구소 레벨VIVIIIX
방어 효율90%
제한쾌속정 전용
설명스트라이크 실드 게릴라 전투에 알맞게 설계되었습니다. 폭발성 무기의 피해 데미지를 줄여주며 시간에 따라 내구력이 최대 수치까지 회복됩니다.

이쯤 되면 왈도체와 같은 문제인 것 같다.
근접전에서 얻어맞는 쾌속정 특성상, 충전식 실드는 큰 효용을 보기 어렵다. 물론 무게 대비 충전량이 정말 효율적이긴 하지만, 얻어맞는 시점에서 충전이 안 된다는 걸 생각하면 답이 없다.

1.3.4 모든 유형
  • 메타페이즈 방어막
단계IIIIII
중량643841152
장착 시간6분40초18분 20초56분 40초
수리 추가 시간2분 40초16분48분
에너지1609602880
필요 기술 연구소 레벨VVIIIX
방어효율모든 유형, 90%
설명메타페이즈 방어막은 함선용 방어막으로 에너지,발사체폭발성 유형의 무기에 대해 같은 수준의 보호 기능을 제공합니다.

순환 이벤트 보상 상품중 하나로, 기지용 메타페이즈 필드와는 다르게 이벤 보상이다. 모든 유형의 공격에 대해 90%의 방호율을 가진다. 고급등급 분류. 약간 무겁지만, 모든 유형을 막는다는 면에서 굉장히 쓸만한 실드. 내구도 패치 전 좀비 제네시스에 메타페이즈 I을 장착해도 무료수리가 가능했고, 현재도 좀비함대를 만드는데에 메타페이즈1은 많이 쓰인다.

1.4 함선 특수부품

여러가지 추가 효과를 가진 특수부품들이다. 특수 부품 슬롯이 없는 함선은 장착이 불가능하며, 컨테이너를 제외한 모든 특수부품은 같은 종류의 기능을 상승시키는 경우 중복해서 끼울 수 없다. 폭발형 빼고 둘 다 장착 가능했으면 흉악한 조합 가짓수가 한둘이 아니니 당연히 안될 수 밖에.[34]

1.4.1 엔진 계열
  • 회전 추진 엔진 - 회전속도 증가, 전진속도 감소
단계IIIIIIIVV
중량(함선 중량의 X%)12345
장착 시간32초2분 8초8분 32초34분 8초2시간 16분 32초
방향 전환 속도(도/s)+2.0+4.0+6.0+8.0+12.0
속도(%)-5-10-15-20-25
필요 연구소 레벨???VIIIX
연구 가능 모듈기술 연구소
설명함선의 회전 속도를 늘려주는 추진 엔진입니다.

방향전환을 빠르게 해주지만 전진속도가 느려져 잘 쓰이지 않는다.

  • 후방 추진 엔진 - 전진속도 증가, 회전 속도 감소
단계IIIIIIIVV
중량(함선 중량의 X%)246810
장착 시간1분 4초4분 16초17분 4초1시간 8분 16초4시간 33분 4초
속도(m/s)+20+40+60+80+100
방향 전환 속도(%)-7-13-20-26-33
필요 연구소 레벨???VIIIX
연구 가능 모듈기술 연구소
설명혼합형 엔진이 없을 때 주로 다는 함선의 직선 이동 속도를 늘려주는 추진 엔진입니다.

V단계일 경우 전진 속도는 혼합형 엔진보다 빠르나 방향전환이 엄청 느려진다. 보통 돌격형 전투보다 최대 사거리에서 한발한발 주고 받는 카이팅 전투를 하게 되는데 미세한 방향전환 허리돌림의 테크닉에서 승패가 갈라지는 경우가 많다. 파밍일 경우에서도 베가함은 무조건 돌격하기 때문에 방향 전환하다가 두들겨 맞는 경우가 많다. 혼합형 엔진이 없다면 이벤트때 꼭 먹고, 있다면 혼합형 엔진을 끼자. 특히 회전 속도가 느린 전함에 끼면 목깁스가 무엇인지 절실히 체험하게 된다.

  • 횡이동 추진 엔진 - 횡이동 속도 증가, 회전 속도 감소
단계IIIIIIIVV
중량(함선 중량의 X%)246810
장착 시간1분 4초4분 16초17분 4초51분 12초3시간 24분 48초
횡이동(m/s)+20+40+60+80+100
방향 전환 속도(%)-5-10-15-20-25
필요 연구소 레벨???VIIIIX
연구 가능 모듈기술 연구소
설명함선의 좌우 이동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추진 엔진입니다.

대 기지전용 구축함에 주로 끼게 된다. 화망을 펼치는 폭발형 무기나 명중률 100%의 에너지 무기는 어쩔 수 없지만 시즈 끼면 신경 꺼도 된다 발사체 무기는 한발씩 날아오기 때문에 좌우로 게걸음 하면 쉽게 피할수 있다. 이리듐 자성체 레벨이 올라갈수록 난이도는 급상승 순양함의 탱킹을 받는 전함에 장착해도 좋다. 전함에 횡이동 추진기 V를 달아도 추진기를 달지 않은 순양함보다 겨우 10m 빠르기 때문에 없으면 진형이 허물어지기 십상이다.

  • 혼합형 추진 엔진 - 전진속도, 회전속도 증가, 횡이동 속도 감소, 고급 등급 분류.
단계IIIIII
필요 점수12,500150,000650,000
중량(함선 중량의 X%)6810
장착 시간41분 40초2시간 43분 20초5시간 28분 20초
속도(m/s)+40+60+80
방향 전환 속도(도/s)+4.0+6.0+8.0
횡이동(%)-20-26-33
필요 연구소 레벨VIVIIIX
설명혼합형 추진 엔진은 봉쇄망 돌파에 특화하여 설계한 추진 엔진으로 후방형과 회전형 추진 엔진의 장점을 두루 갖추었습니다.

후방 추진 엔진보다 전진속도가 떨어지만 회전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후방 추진 엔진에 비해 시원시원한 움직임을 보여준다.

  • 이원[35] 추진 엔진 - 전진속도, 횡이동 속도 증가, 회전 속도 감소, 고급 등급 분류.
단계IIIIII
필요 점수25,000125,000375,000
중량(함선 중량의 X%)6912
장착 시간1시간 1분 40초4시간 5분5시간 28분 20초
속도(m/s)+40+60+80
횡이동 속도(m/s)+40+60+80
회전 속도(%)-20-26-33
필요 연구소 레벨기술 연구소 VI기술 연구소 VIII기술 연구소 X
설명이원 추진 엔진은 특히 속도가 빠른 회피형 함선에 적합하게 설계되었으며, 후방 및 횡이동 추진 엔진의 장점을 두루 갖추었습니다.

일단 회전속도가 떨어진다는 것은 대형 갖추기가 어렵다는 이야기다. 겹치기가 안되고 일부 함선 제외하고 전방위 공격이 안되기 때문에 얼마나 빨리 적보다 함선을 밀집시킨뒤 공격 방향을 정렬시켜서 일점사를 날리느냐에 따라 승패가 좌우된다. 따라서 고급 분류라 하더라도 추적함 계열을 제외하면 잘 사용되지는 않는다. 추적함 쓰는 사람이 거의 없는데?

  • 장갑 추진 엔진
단계IIIIII
필요 점수50,000200,000500,000
중량(함선 중량의 X%)81114
장착 시간41분 40초2시간 43분 20초5시간 28분 20초
속도(m/s)+50+70+90
방향 전환 속도(도/s)+3.0+5.0+7.0
횡이동(%)-20-26-33
내구력4466841035
필요 연구소 레벨VIVIIVIII
제한데몬 코어 전용
설명장갑 추진 엔진은 적과의 신속한 접전에 대비해 설계되었습니다. 후방 및 회전형 추진 엔진의 장점을 두루 갖추었으며 장갑을 강화시켜 줍니다.

공개되자마자 사람들을 충격과 공포로 몰아넣은 엔진. 장갑 달린 혼합형 추진 엔진으로 전진 속도가 빨라진 대신 회전 속도가 약간 느려졌다. 게다가 장갑 량도 III 기준으로 이리듐 V 하나 더 단 수준이라 데몬 코어가 체력 약하다는 편견을 부숴버릴 수 있다.

  • 불안정 반응로
단계IIIIII
필요 점수50,000200,000500,000
중량(함선 중량의 X%)81114
장착 시간???
속도(m/s)+30+50+70
방향 전환 속도(도/s)+3+5+7
횡이동(%)-20-26-33
필요 연구소 레벨VIVIIVIII
자폭 피해75010001300
범위1500m
제한아이언 스타 전용
설명불안정 반응로는 위험한 휘발성 연료로 함선의 엔진을 움직입니다. 이 연료는 함선이 파괴되면 불이 붙습니다. 함선의 내구도가 높을수록 폭발의 강도가 높아집니다.

함선을 맹독충으로 만들고 있다.맹독충이 아니라 감염된 테란이었다 함선이 격침되면 함선을 중심으로 1500m(모듈 하나의 크기가 1000m이다.)의 범위에 1300의 광역 폭발성 데미지를 가한다. 아군 오폭 없음. 확실한 것은 아니지만, 킥스아이의 코멘트에 의하면 함선에 장비한 장갑량에 따라 데미지가 증폭되며, 징티움 V를 떡칠해 만든 체력 21000 헤러틱 순양함의 자폭 데미지는 12000(...)[36] 1300은 체력 2000 기준의 최소 데미지라고 한다.

1.4.2 발사체 계열
  • 이리듐 자성체 - 발사체 유형 무기의 투사체 속도 증가
단계IIIIIIIVV
중량(무기 중량의 X%)612182430
장착 시간1분 37초7분 9초25분 42초2시간 11분 3초7시간 18분 2초
속도(m/s)+540+1,080+1,350+1,620+1,890
필요 연구소 레벨??VIIIXX
연구 가능 모듈기술 연구소
설명발사체 무기의 속도가 늘어납니다.

말 그대로 투사체 속도를 증가시킨다. 아무리 느린 시즈 드라이버라도 이리듐 자성체를 달면 피하기가 어려워진다. 다만 무게 중량이 꽤 무겁기 때문에 보통 III이나 IV를 끼는 경우가 많다.

  • 방어 우회 발사체 - 발사체 무기가 방어막을 우회하여 함선 자체에 더 큰 피해를 줌
단계IIIIIIIVV
중량(무기 중량의 X%)510152025
장착 시간6분 14초24분 55초1시간 4분 26초8시간 1분 50초12시간 46분 34초
방어막 우회(%)1020304050
필요 연구소 레벨??VIIIXX
연구 가능 모듈기술 연구소
설명방어막을 우회해서 발사체 피해가 늘어납니다.

설명 그대로 방어막 우회률을 증가시킨다. 데미지가 들어갈때 실드가 먼저 데미지를 입고 그다음 본체에 데미지를 입히는데 우회률이 높으면 실드보다 본체 데미지가 더 많이 입게 된다. 온라인 게임이 익숙한 사람들은 방어 관통이라던지 방어 무시로 이해하면 쉽게 이해할듯. 다만 자체 데미지가 증가하는건 아니기 때문에 본체 체력 대비 실드량이 그닥 높지않은 PvP에서는 별 효과가 없다.[37] 다만 파밍시 실드량이 많은 50레벨 이상 함대를 상대할때는 필수. 실드가 반이 남았는데 체력이 먼저 깎여 터지는 함선을 볼수 있다.

  • 위상 자성체 - 발사체 무기의 투사체 속도 증가, 발사체 무기가 방어막을 우회하여 추가 피해를 줌.
단계IIIIII
중량(무기 중량의 X%)213242
장착 시간2시간8시간12시간 30분
투사체 속도 증가(m/s)+1,220+1,490+1,760
방어막 우회(%)152535
습득 점수50,000250,000750,000
설명위상 자성체은[38] 혁신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이리듐 자성체 및 방어 우회 발사체 기술의 장점을 통합했습니다.
이번엔 소형화되었단 소리는 안 했다

위의 투사체 속도와 방어 우회 효과를 한번에 주는 부품. 효과가 쏠쏠하지만 중량이 어마무시하게 늘어나는게 함정.,

  • 강화 레일 - 발사체 무기의 속도, 방어 우회 증가 및 최소 사거리 감소[39]
단계IIIIII
중량(무기 중량의 X%)213242
장착 시간???
투사체 속도 증가(m/s)1,2201,4901,760
방어막 우회(%)203040
습득 점수50,000200,000500,000
제한순양함 전용
설명강화 레일은 발사체 무기의 속도와 방어막 관통력을 강화해주며 최소 사거리 패널티를 줄여줍니다.

위상자성체의 완벽한 상위호환이다.순양함 전용인것만빼고
시즈 드라이버를 끼면 최소 발사거리가 2800부터 시작되는 개그를 볼 수 있다.

1.4.3 폭발성 계열
  • 확산 발사 - 폭발형 무기의 확산력 증가
단계IIIIIIIVV
중량(무기 중량의 X%)35101520
장착 시간1분 42초7분 30초26분59초2시간 17분 36초7시간 38분 57초
확산 증가(%)+30+40+50+60+70
필요 연구소 레벨VIIIXX
연구 가능 모듈기술 연구소
설명폭발성 무기의 확산력이 증가합니다.

확산력을 증가시켜서 화망을 더 넓게 퍼트리게 하는 목적...이지만 DPS는 그대로기 때문에 화력은 훨씬 약해진다. 안다느니만도 못한 부품. 하이드라 미사일이나 벡터 미사일같이 유도형 무기에 달면 아무 효과도 없다. 달면 그대로 중량을 버리는 꼴이니 사용하는 사람은 거의 전무하다.

  • 반물질 탄두 - 폭발형 무기의 폭발 반경 증가
단계IIIIIIIVV
중량(무기 중량의 X%)510152025
장착 시간23분 44초1시간 34분 56초2시간 17분 37초7시간 39분 57초12시간 25분 2초
교전 반경(m)+50+100+150+200+250
필요 연구소 레벨VIIIXX
연구 가능 모듈기술 연구소
설명반물질 탄두는 폭발성 무기의 기존 기폭 장치를 대체하여 폭발 반경을 늘려줍니다.

폭발 반경이 넓어진다. 사용한다면 주로 기지 공성용 순양함이나 쾌속정에 달아 넓어진 폭발 반경으로 기지 연쇄 폭파를 노리는 데 사용하게 된다.

  • 스펙트럼 탄두 - 폭발형 무기의 폭발 반경 증가, 폭발형 무기의 보호막 피해 증가, 장갑 피해 감소, 폭발형 무기가 방어막을 우회하여 데미지를 줌
단계IIIIII
중량(무기 중량의 X%)253851
장착 시간???
교전 반경(m)+150+200+250
방어막 우회102030
보호막 피해 증가102030
장갑 피해 감소257
습득 점수15,000125,000375,000

확산 발사와 반물질 탄두의 합체 부품일 것이란 예상을깨고 등장한 Shadow strike 이벤트의 특수 부품. 킥스가 생각하기에도 확산 발사는 답이 없었나 보다 근데 보호막 피해 증가는 방어 우회로 보호막 자체를 무시하는 특성 때문에 빛이 바래고 장갑 피해 감소 때문에 방어 우회 피해도 줄어든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기 때문에 영 좋지 못한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직접 사용해보면 실능은 상당히 좋은 편이다. 일단 보호막 피해 증가 옵션으로 인해 방어막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고 장갑 피해 감소도가 그렇게 높은 편도 아니라서 dps 손실을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주의할 점은 엄청난 수치의 무기 중량 증가율이다. 에픽 이상의 함선 기준으로 스펙트럼 탄두 3티어는 정비에 있어서 1, 2티어 무기가 강요당하는 수준이다.

스펙트럼 탄두 3 을 사용시, 쉴드에 81.39%(기존 90%) ,체력에 34,41%(기존 10%) 데미지가 들어가 총 116.31%데미지가 들어간다. 즉 약 16% 데미지 증가를 노릴 수 있다는 뜻.

  • 휘발성 연료 - 폭발성 무기의 속도 증가, 폭발 반경 증가
단계IIIIII
중량(무기 중량의 X%)253851
장착 시간???
속도(m/s)1,2201,4901,760
교전 반경(m)+200+300+400
제한전함 전용
습득 점수50,000200,000500,000
설명휘발성 연료은 폭발성 무기의 속도와 폭발 반경을 늘려 치명적 효과를 발휘합니다.

메인이벤트 '십자포화'에서 지급했던 특수부품이다. 일부 유저들이 예전부터 나오면 어떨까?하던 옵션으로, 폭발성 무기의 탄속을 증가시킨다. 탄속이 빠른 시코 미사일, 유도성을 가진 하이드라 미사일과 벡터 격퇴포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폭발성 무기들은 탄속이 느리기 때문에 함대전에서는 큰 효율을 보지 못하기 십상인데, 휘발성 연료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해주기 때문에 앞에서 언급한 세 무기외의 무기들에게 함대전에 대한 사용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교전 반경 증가율도 증가시키는데 3티어의 경우 무려 400m나 반경을 증가시킨다.[40] 무기에 엄청난 스플래쉬를 부가하여 함선들을 약간 퍼트리는 정도로는 스플 데미지를 피할 수 없게한다. 다만, 이녀석도 무기 중량 증가율이 스펙트럼 탄두와 같기 때문에 중량 조절에 유의해야 한다.

참으로 좋은 옵션을 가졌으나 이 혜택은 오직 전함만을 위한 것으로 다른 함종에겐 그저 그림의 떡이다.

특히 궁합이 잘 맞는 무기로 벡터 격퇴포, 유황 격퇴포, NET 격퇴포, 기뢰형 격퇴포를 뽑을 수 있다.뭔가 죄다 격퇴포만 있는거 같지만 무시하자 사실 미사일 류는 탄속도 빠르고 탄막도 잘 만들기 때문에 탄속이나 범위가 크게 필요하지 않은 편이다.

벡터 격퇴포 - 벡터 격퇴포는 집요한 유도력으로 사거리 내에 있는 적에게 매우 확정적인 명중률을 보여주지만 뒤집어 생각해보면 벡터가 발사된 직후 사거리 범위를 벗어나면 사거리 끝에서 착탄되는 벡터 특성상 함선에 맞질 않게된다. 이러한 단점을 잘 아는 유저는 전함vs전함전에서 이를 이용하여 "벡터를 채용한 상대가 후방을 쫓아오도록 유도하고 자신은 후방 카이팅을 하거나", "동일선상에서 싸우되 발사 타이밍을 노려서 히트 앤 런으로 싸우는" 전략으로 벡터 격퇴포의 허공 착탄을 유도하는데, 휘발성 연료를 함께 채용할 경우 두 전략 모두 무용지물로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전함의 경우 유도 거리가 최대 사거리보다 딸리게 되는데, 이 점도 탄속이 빨라지면서 커버된다.

유황 격퇴포 - 원래부터 명중하는 즉시 게임 장르를 탄막 슈팅으로 바꿔버리는 무기인데 이 무기의 탄속과 폭발 반경이 넓어진다고 생각해보자. 항공모함에 약하단 단점 역시 함재기가 적당한 거리[41]까지 날아가기 전에 빠른 탄속으로 박아버리면 자탄을 회피할 수 없게 된다.

NET 격퇴포 - NET 격퇴포의 단점은 1,100m라는 느린 탄속인데, 휘발성 연료 1만 달아도 탄속이 글라디우스 드라이버 수준이 되어 훨씬 맞추기 좋아진다. 폭발 범위 증가 역시 다수 함선이 느려지는 효과를 볼 수 있어 좋은 편.

기뢰형 격퇴포 - 휘발성 연료의 혜택을 제일 많이 받는 무기. 스플래쉬 범위가 700m임에도 불구하고 탄속이 200m/s[42]라 아무도 안쓰는 쓰레기였는데 휘발성 연료가 나오면서 그럭저럭 쓸만한 무기가 되었다. 특히 휘발성 연료 3을 단다면 탄속이 1960m/s에[43] 스플래쉬 범위가 1100m나 된다. 근처에 터지면 무조건 맞는다는 말. 다만, 확산력이 90도나 되기 때문에 파괴력은 정말 복불복이다. 운이 좋아 탄이 뭉쳐 뭉친 적 함에 박히면 한방에 적 함 전체에 큰 데미지를 입힐수 있지만 운이 없다면 탄이 뭉쳐 허공에 흩뿌릴 수 있다(...)[44] 그래도 절반정도가 적함에 맞는다면 스플래쉬 때문에 어느정도 밥값은 하게 된다.

  • 블라스터 라운드 - 폭발성 무기의 내구력 피해 증가
단계IIIIII
중량(무기 중량의 X%)253851
장착 시간???
내구력 피해(%)304050
제한데몬 코어 전용
습득 점수???
설명블라스터 라운드는 탄두에 파쇄 무장을 추가하여 폭발성 무기의 함선 대미지를 늘려줍니다.

말 그대로 폭발성 무기의 내구 피해를 증가시키는 부품이다. 오로라 레이의 사악한 실드 데미지나, 마크 업만 하면 기본적으로 붙는 방어 우회 옵션때문에 대부분 실드보다 장갑 내구를 증가시키는게 좋다는 의견이 강했다. 하지만 이 파츠가 나오면서 무기 티어를 한단계 내리고 이 파츠를 붙이면 낮은 무기 무게로 높은 데미지를 입힐수 있어 실드는 빈약하고 장갑만 올린 장갑덕후아이언스타에게 매운맛을 보여줄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위의 예로 든 벡터 격퇴포, 유황 격퇴포, NET 격퇴포, 기뢰형 격퇴포의 경우는 휘발성 연료의 효율이 더 좋다. 산탄으로 화망을 펼치는게 아닌 단일타겟이 목적일 경우 공격력보다 정확도를 올리는게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뢰형 격퇴포는 탄속때문에 휘발성 연료를 쓸 수밖에 없다.

1.4.4 에너지 계열
  • 렌즈 배열 강화 - 에너지 무기의 사거리 증가
단계IIIIIIIVV
중량(무기 중량의 X%)816243240
장착 시간5분 56초26분 59초2시간 24분 10초8시간 1분 51초13시간 2분 17초
사정거리(m)+250+500+750+1,000+1,250
필요 연구소 레벨VIIIXXX
연구 가능 모듈기술 연구소
설명에너지 무기의 사정거리가 길어집니다.

명중률은 100%지만 사거리가 짧은 에너지 무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부품. V단계 부품을 달면 에너지 무기가 발사체 무기급 사정거리를 자랑하게 된다. 이거땜시 에코드레드 쓴다 카더라. 렌즈 배열 V끼면 시즈랑 250m밖에 차이가 안난다 카더라 다만 파열 광선의 경우 샷건처럼 근거리에서 전탄 명중시켜야 되기 때문에 이 부품은 오히려 독이 된다.

  • 이온 변조기 - 에너지 무기가 방어막에 주는 피해 증가, 장갑에 주는 피해 감소.
단계IIIIIIIVV
중량(무기 중량의 X%)612182430
장착 시간7분 30초28분 17초1시간 49분 10초8시간 23분 45초13시간 30분 22초
방어막 추가 피해+20%+30%+40%+50%+60%
내구력 피해 감소-5%-7%-10%-13%-15%
필요 연구소 레벨VIIIXXX
연구 가능 모듈기술 연구소
설명이온 변조기를 장착하면 에너지 무기의 방어막 공격력이 늘어납니다. 단, 장갑에 대한 공격력은 다소 줄어듭니다.

방어막에 대한 공격력을 흉악하게 끌어올리는 부품. 다만 근거리에서 난투전보다 원거리에서 카이팅하는 경우가 많아 렌즈 배열보단 덜 쓰인다. 두개 다 끼면 되지 않냐..싶지만 일반적인 함선은 보조 슬롯이 두칸인데 한칸은 무기 부품, 한칸은 엔진계열 부품을 달기 때문에 둘다 달기는 힘들다. 어마무시하게 뻥튀기 되는 무게도 덤. 거기다 장갑 공격에 대한 패널티도 있기 때문에 손이 잘 안가는 것도 있다.

  • 렌즈 배열 이온화 - 에너지 무기의 사거리 증가, 에너지 무기가 방어막에 주는 피해 증가, 장갑에 주는 피해 감소.
단계IIIIII
중량(무기 중량의 X%)253851%
장착 시간2시간 13분 20초8시간 53분 20초13시간 53분 20초
사정거리(m)+620+870+1,120
방어막 추가 피해+20%+30%+40%
내구력 피해 감소-5%-7%-10%
습득 점수50,000250,000750,000
설명렌즈 배열 이온화은[45] 소형화 기술을 사용하여 렌즈 배열 강화 및 이온 변조기 기술을 통합했습니다.
소형화시켜서 통합했다면서 무게 요구랑이 더 늘어난게 함정. 그렇다, 두 특수부품 크기를 반으로 '소형화'해서 '통합한'(이어붙인) 것이었다

두가지 옵션을 합친 부품. 단, 흉악한 무게와 렌즈 배열보다 짧은 사거리 증가 때문에 잘 쓰이지 않는다.

1.4.5 컨테이너 계열

함선의 화물 적재량을 늘려준다. 다른 특수부품과 달리 중첩된 탑재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 기본 컨테이너
단계IIIIIIIVV
무게20406080100
장착 시간6초2분 10초10분 50초54분 10초4시간 30분 50초
적재 용량(톤)5,00015,00045,000135,000405,000
필요 연구소 레벨IIIIVVIIIX
연구 가능 모듈함선 연구소
설명더 많은 자원을 싣고 기지로 복귀할 수 있습니다.

기본 컨테이너를 장착한 함선은 임무 중에 자원을 더 많이 운반할 수 있다. 슬롯이 남는 구축함에 장비해 공성전에서 자원을 더 많이 탈취해 가거나, 화물선 사냥 시에 자원을 충원하기 위해 파밍함대와 같이 카고함대를 출격해 자원을 회수하는 용도로 쓰인다.그래서 특수슬롯 3개인 오스프리가 밥차인거다

  • 강화 컨테이너
단계IIIIII
무게140210320
장착 시간46분 40초2시간 15분4시간 50분
수리 추가 시간6분 40초10분 20초15분 50초
적재 용량(톤)40,000125,000365,000
추가 체력400620950
설명새로운 공학 설계 원리를 적용한 강화 컨테이너를 장착하면 합선의 자원 적재량과 장갑이 모두 향상됩니다.

기본 컨테이너 보다 많이 무거운 대신, 함선의 내구력도 같이 올려주며 증가하는 적재량 또한 많다. 이런 이유로, 폭발성 무기를 사용하는 함선[46] 공성함대나[47] 콘돌이나 개리얼 같이 장갑 슬롯이 부족한 함선들의 생존력 향상을 위해 장비하기도 한다. 순환형 드레드 폭동 이벤트를 통해 획득 할 수 있다. 고급 등급 분류.

1.5 저항기

마크 업데이트와 동시에 추가된 부품으로, 마크 업그레이드가 진행된 함선만 대부분의 경우[48] 장착 가능하다. 현재까지 밝혀진 입수 경로는 래러스의 암시장에서 크레디트로 구입하는것 뿐이다.
참고사항으로 동일 속성일때 장갑에 감소하는 데미지는 다음과 같이 환산할 수 있다
1티어 내구도의 11% 증가
2티어 내구도의 25% 증가
3티어 내구도의 43% 증가

  • 에너지 저항기
단계IIIIII
무게함선 중량의 2%함선 중량의 4%함선 중량의 6%
장착 시간0초0초0초
수리 추가 시간000
데미지 감소10%20%30%
설명물론 피해감소옵션이 있어서 순양함에 쓰일 수 있음. 쾌속정에게 주기엔 무게상의 문제로 파이썬이나 그 유사한 빌드 이외에 큰 이득을 보기는 힘들다
  • 폭발 저항기
단계IIIIII
무게함선 중량의 2%함선 중량의 4%함선 중량의 6%
장착 시간0초0초0초
수리 추가 시간000
데미지 감소10%20%30%
설명가장 무쓸모한 저항기... 사실 폭발성무기가 후반에 사용도 안하고 킥스에게조차 버려졌기에 이 저항기는 아주가끔 파밍용도로 쓰는 사람이 있을뿐... 합리적인 사고를 하는 사람들은 사용하지 않는다.휘발성 무시하냐?
  • 발사체 저항기
단계IIIIII
무게함선 중량의 2%함선 중량의 4%함선 중량의 6%
장착 시간0초0초0초
수리 추가 시간000
데미지 감소10%20%30%
설명발사체 저항기3는 기지공략용으로 사용되며 이외에는 오토 파밍용 랭커에 추가하여 4티어 패턴부품을 주는 37대포(Artilery)파밍에 부분무료를 띄우는데 꽤 유용합니다. 또 디플5 라그나로크에 달아서 여러 바탈리언을 파밍하는데 코인값을 합니다

2 건물용

2.1 무기

전투 모듈, 함교, 함대 구역(교화 이벤트로 추가, 함재기류의 무기만 가능)에만 장착 할 수 있으며 역시 에너지, 발사체, 폭발형 무기가 모두 존재한다. 함대전의 경우 전략에 따라 한 종류의 무기만 채용하거나 함선 하나에 가지각색의 무기를 달았다간 대부분 큰일 난다함선마다 무기를 다르게 채용하지만, 기지의 경우 한 종류의 무기만 채용했다간 영혼까지 털린다쓴맛을 보게 된다.[49] 그러므로 여러 종류의 포탑 조합을 연구해 보고 약점을 보완하는 것이 기지 방어의 포인트. 그리고 공성전도 많이 진행해 보고, 어디서 싸움 나면 웜홀 건너 불구경좌표 타고 관전도 많이 해보자.

보통 피뢰 1~2기에 시코포탑+반물질 과 AP드라이버 or 키네틱 포탑 + 이리듐/방우를 적절히 섞어 배치해둔다. 구축함은 피뢰로 묶은다음 발사체 포탑으로 제거를 하고, 돌격형은 시코포탑으로 견제하는 방식. 이리듐과 방우를 섞는 이유는 탄속을 다르게 배치하여 회피기동 난이도를 올려버리는데 목적이 있다.하지만 이벤트용으로 쳐들어오는 Vsec 함선들은 모조리 피해버리는게 함정 단, 벡터 포탑은 시즈보다 사거리가 긴데다가 구축/순양정도는 확정피격을 해버리기 때문에 안맞는 발사체때문에 짜증이 난다면 벡터포탑으로 맞춰도 좋다. 단, 시코포탑보다 DPS가 많이 낮기 때문에 감안은 해야한다.

2.1.1 에너지
  • 열선 포탑
단계IIIIIIIVV
중량65115200350610
장착 시간8초32초2분 8초6분 24초19분 12초
DPS1018315494
필요 연구소 레벨
사거리0~4,500m
탄속3,000m/s
연구 가능 모듈무기 연구소
설명열선 포탑은 기지 방어용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에너지 무기입니다. 매우 강력하고 빠르지만 사정거리가 짧은 것이 약점입니다.

초, 중반을 책임지는 에너지 무기류의 귀감. 대부분의 공격형 에너지 무기류처럼 그리 긴 사거리를 가지진 않았지만 가까이 접근한 적 함에 타격을 주는 역할에 있어서는 후반 테크 무기에 꿇리지 않는다. 가볍기까지 해서 전투 모듈의 장갑과 보호막에 좀 더 투자를 할 수 있고, 무엇보다 피팅이 싸고 빠르다! 후반에는 타키온 레이저 포탑이라는 상위호환이 있지만, 그걸 얻기 전까지 잘 써먹을 수 있다. 함선의 것과는 다르게 유도 성능이 존재하지 않는다.

  • 중력선 포탑
단계IIIIIIIVV
중량75130230410715
장착시간
DPS610183258
필요조건열선포탑 I열선포탑 II열선포탑 III열선포탑IV열선포탑 V
필요 연구소 레벨VIIIIV
사거리0~6,000m
탄속3,500
연구 가능 모듈무기연구소

열선포탑보다 사거리가 조금 늘어나고, 그 댓가로 화력이 약해졌다. 애초에 에너지 무기류는 타 방어 시설 최소 사거리 내로 돌격해오는 적 함대를 대비하기 위해 설치하는데, 낮아진 화력 덕분에 이건 도대체 쓸모가 없다! 탄속이 빨라도(그래봐야 열선 포탑과 같다) 발사체 무기류 처럼 이동 궤적을 예측해서 쏘지 않기 때문에, 대놓고 미끼로 활용할 용도로 투입한 함은 맞추더라도 아프지도 않고, 그마저도 거의 다 회피해버리기 일수. 설상가상으로 그 늘어난 사거리로도 공성용 구축함은 못 공격한다! 그나마 가벼운 편인 것이 장점. 끝(...). 거의 절대 채용되지 않는 도태된 기지 무기. 함선의 것과는 다르게 유도 성능이 존재하지 않는다

  • 타키온 레이져 포탑
단계IIIIII
중량3857901780
장착 시간???
DPS88133204
필요 조건열선 포탑 III, 무기 연구소 VI??
설계도 수456
사거리0~4,700m
탄속3,500m/s
설명타키온 레이저포탑은 무서운 위력을 갖춘 기지용 에너지 무기로 베가에서 채굴 저항 세력에 압박을 가하고자 개발했습니다. 레이저형 무기는 쉽게 회피할 수 없습니다.

베가 함대 격파를 통해 얻을수 있는 무기로, 함선용 고온 레이져를 그대로 닮았다. 근접해오는 적들 처리에 제격인 무기. 다만 너무 무겁기 때문에 장갑이 부실해지기 쉽다. 고급 등급 분류.

  • ECHO 광선 포탑 - 계엄령 이벤트 와 신폭동으로 나오는 무기로, 함선용 에코 광선마냥 통통 튕기지만 DPS는 결코 낮지않다. 함선의 것과 마찬가지로 회피할 수 없다. 희귀 등급 분류. 2티어 중량 711t, dps100 3티어 중량 1602t, dps 153 사거리는 4200m로 러쉬공격을 막는것에 특화되어 있다.
  • 피뢰 레이져 포탑 - 순환 이벤트 보상및 구폭동으로 얻을수 있는 무기로, NET격퇴포 마냥 피격되는 함선을 감속 시키는 무기인데... 에너지 기지 방어 무기중에서 최장 사거리를 자랑한다! 발사체나 폭발형 무기를 장착한 전투 모듈 주변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구축함에 닿기에 상대의 횡이동을 무용지물로 만들고 하나하나 박살낼수 있게된다. 희귀 등급 분류.
  • 파이터 윙
단계IIIIII
중량390545765
장착시간
DPS5678110
스크램블(사거리)8,000m
편대 속력2,000m/s
편대 내구력500
필요조건중력선 포탑 IV중력선 포탑 V
연구 가능 모듈무기 연구소
설명파이터 윙은 함대 구역에 마련되어 있습니다. 내부에 대기 중인 전투성에는 높은 파열 손상을 입힐 수 있는 에너지 무기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작업장 업데이트와 함께 업데이트 된 함대 구역용 함재기. 기본적인 성능은 전투비행대대보다 조금 더 좋다.

  • 개틀링 광선 포탑
단계IIIIII
중량4168531,922
장착 시간???
DPS102154235
필요 조건???
요구 점수???
사거리0~4,300m
탄속4,000m/s
관통2
설명추가바람 기지용 에너지

워프론트 이벤트로 추가되는 개틀링 광선의 포탑 버전으로, 에너지 포탑류 중에서 최고의 DPS를 보유한데다가 1회 관통 옵션이 있어 돌격형 기지 공략 함대의 카운터SICO 미사일이 있는 사람 제외가 될 것 같지만, 사거리가 짧아 스나이핑 함대가 온다면 AYBABTU 꼴이 나므로 효용성은 미지수. (개틀링 광선 포탑 가진 사람은 별로 없는,,)

  • 파열 광선 포탑
섀도 스트라이크 이벤트로 추가된 파열 광선의 포탑 버전으로 탄 수가 훨씬 많긴 하지만 애초에 대놓고 적 함에 박아버리는 데 쓰는 무기를 포탑에 낀다는 것 자체가 개그.
2.1.2 발사체
  • 코일 드라이버 포탑
단계IIIIIIIVV
중량1002654608051,410
장착시간48초3분 12초12분 48초??
DPS916284885
필요 연구소 레벨???VIIIVIII
사거리4,000~8,500m
탄속1,250/s
설명코일 드라이버 포탑은 강력한 발사체 무기로 자기 코일을 도입하여 굉장히 먼 거리에서도 발사체를 발사할 수 있습니다.

적 구축함을 역저격하기 위해 채용하게 될 초반 무기. 무기 연구소 VIII까지는 상위 호환인 키네틱 드라이버 포탑보다 코일 드라이버 포탑이 더 진행되어,[50] 고레벨 직전까지 유용하게 쓰이는 포탑이다. 포탑의 간격을 벌릴수록 시차가 생겨 횡이동으로 회피하기 더 어려워지지만 하나씩 차례차례 제거당할 수 있으니 혼자 쓰기보단 다른 포탑과 혼용하는 방법으로 자주 쓰인다.라고는 쓰지만 풀 코일포탑 기지는 적지 않다 코일 드라이버 포탑을 사용할때엔 각자 다른 탄속을 지니도록 자성체를 드문드문 달아두면 도저히 피할 수 없기에 좀더 쉬운 방어가 가능하다.

  • 키네틱 드라이버 포탑 - 최장 사거리와 최상의 데미지를 자랑하지만, 탄속도 그대로고 무거워서 호불호가 갈리는 포탑이다. 사거리가 제일 길다고 가장 좋은 건 아니다! 정 쓰고 싶다면 적절한 위치에 한 두개만 설치하고 나머지는 다른 발사체 무장이나 특수 모듈을 달아주어 투사체의 속도차를 이용해 탄막을 형성, 적 함이 이를 모두 피하기 힘들게 만드는 것이 좋다. 피뢰 레이저를 조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적어도 가장 센 발사체 무기이긴 하니 위 전략과 함께 보호막 우회 모듈을 장착해 보는 것이 좋다.
  • 글라디우스 드라이버 포탑 - VSec 설계도 무기로, 함선용처럼 빠른 탄속과 준수한 사거리, 근접 폭발 신관이라고 불리는 기능 덕분에 미끼 역할을 수행하는 적 함을 맞추기도 훨씬 쉽다.
  • AP 드라이버 포탑- 탈옥 이벤트 당시 얻을수 있었던 무기로, 최대 6 대의 함선을 관통 가능하다. 그런 일 보기는 평생 힘들겠지만 AP로 떡칠된 기지에 일렬로 돌격해오는 호구도 있던데? 특이하게도 전투 모듈의 충전 모션 후 사격하는 두 발 사이의 딜레이가 다른 발사체 무기류보다 짧아 엇박자를 낸다. 덕분에 굳이 기지 배치라던가 바꿀 필요없이 이미 존재하는 원거리 전투 모듈의 무기를 이걸로 바꾸는 것만으로 훨씬 피하기 힘든 탄막이 나온다는 히든 옵션이 있다. 추가로다른 발사체 포탑보다 피격범위가 좀더 넓어서 은근히 잘 맞는다. 사거리가 글라디우스 포탑보다 길고 데미지와 무게는 큰차이가 없어서 가장 좋은 발사체 포탑이라 할 수 있다. 12월 폭동으로 새롭게 추가되었다.
  • 인터셉터 윙- 복수 이벤트 당시 얻을 수 있었던 함대 구역용 함재기로, 스크램블 거리가 9500m에 달하는 준수한 물건이다. 성능과는 별개로 이벤트 끝나자 마자 무기 연구소에서 함대 구역용 함재기인 파이터 윙을 뽑을 수 있게 되어서 더럽게 힘든 이벤트를 끝내고 난 유저들에게 통수를 선사했다. 물론 파이터 윙은 무기 연구소 10을 찍어야 쓸 수 있다지만 복수 이벤트의 지옥 같은 경쟁률을 생각하면......
2.1.3 폭발성
  • 플라즈마 미사일 포탑
단계IIIIIIIVV
중량1252203856751,185
장착 시간8분 32초25분 36초1시간 16분 48초??
DPS18315495166
필요 연구소 레벨???VIIIIX
사거리3,000~7,250m
탄속1,000m/s
교전 반경300m
확산력40도
연구 가능 모듈무기 연구소
설명플라즈마 미사일 포탑은 중간 정도의 사정거리와 위력을 갖춘 폭발성 무기지만, 진정한 강점은 지역 대미지를 입힌다는 것입니다.

첫 기지 방어용 폭발성 무기이다. 강력한 데미지와 적당한 효과범위와 괴랄한 무게가 돋보이지만, 40도라는 대단한 확산력인데다횡이동 연습용 포탑함선용 HEX 미사일과는 다르게 느리게 한 발씩 발사하는 특성 때문에 개돌용 함대를 대적하지 않는 이상 효과를 보기 어렵다. 하지만 이 포탑만으로 모든 전투 모듈을 장비한 뒤 함교에 다닥다닥 붙여놓는다면 들어오는 함대에게 인정사정 없이 퍼붓는 위용을 보여준다.

  • 융합형 격퇴포탑
단계IIIIIIIVV
중량2003506151,0751,875
장착 시간51분 12초????
DPS15264680141
필요 연구소 레벨?VIIIIXXX
사거리4,000~8,000m
탄속750m/s
교전 반경650m
확산력60도
연구 가능 모듈무기 연구소
설명융합형 격퇴포탑은 위력이 낮은 폭발성 무기지만, 효과 범위가 매우 넓어 한 번에 수많은 함선을 타격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기지 방어용 폭발성 무기이다. DPS가 소폭 감소하고 확산력은 60도로 증가했으며 탄속도 더 느려졌지만, 대신 사거리가 증가하고 탄수가 4발로 늘어나서 탄막을 형성하기는 좋아졌다. 폭발범위도 2배 이상 넓은건 덤. 후반까지 쓰이는 몇 안 되는 기본 연구 무기들(함선용이든 기지용이든) 중 하나.

  • 기뢰형 격퇴포탑
단계IIIIII
드롭 함선VSec 27VSec 30-35VSec 37-45
필요 설계도 조각 수456
중량4207841,701
장착 시간???
DPS96132195
사거리3,500~7,600m
탄속300m/s
교전 반경700m
확산력45도
설명기뢰형 격퇴포탑은 강력한 기지용 폭발성 무기로 근접 격발형 신관이 장착된 저속 우주 어뢰(응?)를 발사합니다.

VSec 감시대 설계도 무기로, 함선용 기뢰형 격퇴포와는 다르게 설계도로 얻을수 있다. 고급 등급 분류. 탄속이 버틸수가 없기에 너무 느려서현기증 나서 직접적인 공격용으로는 거의 전혀 사용되지 않는다. 다만 탄막을 형성하는 능력과 에너지 무기류 처럼 돌격해오는 적 함 저지에는 탁월하다. 느려서 그렇지 무게 대비 화력은 미친 수준이라서, 무기를 적당히 착용하고 남은 중량을 장갑에 돌릴 수 있는 덕분에 상대방이 진입하기 전 우선적으로 제거하려 해도 타 전투 모듈보다 단단해지기 때문. 몇 발 맞추지 못 하더라도 이동 동선을 제한하는 능력도 눈 여겨 볼만하다.

  • SICO 미사일 포탑
단계IIIIII
필요 점수12,500150,000650,000
중량5549681,688
장착 시간???
DPS103179313
사거리2,750~7,000m
탄속1,800m/s
교전 반경450m
확산력30도
설명SICO 미사일 포탑(Strategic Interdiction & Control Ordnance)는 VSec의 함선 무기를 개조한 것으로 크기는 물론 위력까지 압도적으로 변했습니다. 중량도 압도적으로 변했습니다

2015년 6월 13일~6월15일에 염탐 이벤트를 통해 획득 가능했고, 지금은 질 폭동 이벤트로 입수할 수 있다. 함선용 SICO 미사일을 기지용으로 만든 것이다.
7,000m 안쪽으로 들어오는 모든 공성 함대에 효과적인 방사형 공격을 퍼붓는 포탑으로, 데미지도 끔찍해강력해 대부분의 기지에서 애용한다. 더욱이 질 폭동으로 입수 가능해져 사용 빈도도 높아진 상황.
크지 않은 확산력으로 집중 타격도 가능하고, 원한다면 특수 장비를 이용해 넓은 범위타격으로 바꾸어도 탄수가 많아 피해를 입히기 수월하다. 탄속은 빠른 편, 폭발 범위는 중간 정도로, 뭉쳐서 들어오는 쾌속정이나 순양함대에게 지옥을 선사해주기엔 충분하다. 위의 한가지 무기만 쓰면 망한다는 말조차 무색하게 감속 무기 한두개 빼고 SICO 미사일 포탑만 도배할 경우 구축함으로 하나하나 저격하는 것 이외엔 답이 없어질 정도로 강력하다.
희귀 등급 분류.

  • 봄버 윙
단계IIIIII
중량468654918
장착 시간1시간 14분 50초11시간 4?분 ?초?
DPS78110154
필요 연구소 레벨VIVIIIX
스크램블(사거리)0~9,000m
편대 속력1,500m/s
편대 내구력750
설명봄버 윙은 함대 구역에 마련되어 있습니다. 최대 대미지를 입힐 수 있는 초강력 폭발성 무기로 무장하고 있습니다.
교화 이벤트로 추가된 폭발성 무기. 함대 구역용 함재기 떡밥을 회수하는 무기로, 함대 구역이 봄버 윙을 장착하게 되면 9,000m라는 대단한 사정거리를 확보하게 되어 함교 주변 전투 모듈과 함께 2블럭이라는 자리를 비집고 들어와 보호받게 된다. 따라서 함대 구역에 방어용 함재기들을 채용한 기지들은 모두 이전과 다른 방어 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이전 버젼에서는 봄버 윙 특유의 느린 편대 속력 때문에 함선들의 무기에 맞고 터진다고 까였지만, 사실 이 현상도 꽤나 중요한 기능이다. 시즈 드라이버나 기뢰형 격퇴포 같이 강력한 탄환을 단발형으로 쏘는 경우 그 탄환들이 전부 명중해야만 의도하던 결과를 낼 수 있는데, 함재기가 휘젓고 다니다 탄환에 맞고 터지게 되면 그 DPS를 함재기가 흡수하게 되어 모듈 파괴가 어려워진다. 그리고 함재기는 함대 구역이 터지지 않는 이상 끝없이 뽑혀나온다 특히나 근접 신관이 장착된 기뢰형 격퇴포의 경우 탄환이 거의 막혀서 사양세로 접어든 상황. 의도치 않은 고기방패 하라는 댐딜은 안하고

  • NET 격퇴포탑
단계IIIIII
필요 점수25,000125,000375,000
중량4928601,500
장착 시간???
DPS203460
사거리3,200~8,000
탄속1,100m
교전 반경600m
확산력10도
감속40%55%70%
설명NET 격퇴포탑(Null Engine Thrust)은 함선에서만 발견되는 '비살상' 추측 폭발성 무기를 개량한 것입니다. 비살상이라면서 디피가 올라갔다.
반발(backlash) 이벤트에서 새로 출시된 기지용 NET 격퇴포탑으로, 격퇴포를 2발 날리는 충공깽스런 모습을 보여준다. 속도는 느리지만, 2발을 대상 주변으로 쏘는데다가 폭발 범위도 만만치 않기에 사거리에 고통받는 피뢰 레이저포탑의 대안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

2.2 장갑

'함선용 장갑이름 + ~합판 = 기지 방어 장갑 이름' 이라는 공식이 통하는 기지용 장갑 합판이다. 낮은 재질의 고티어 장갑이 좋은 재질의 저티어 장갑보다 장갑량 차이가 꽤 큰 함선용 장갑과 달리, 기지 방어 장갑은 그 차이가 적어 재질이 바뀌면 내구성이 크게 상승한다.그 덕에 플라스틸과 트리타니움은 순식간에 도태되고 만다 모듈 레벨 4 이상이 되면 장착 가능하다.

  • 플라스틸 합판
단계IIIIIIIVV
중량5075115175265
장착 시간3분 8초4분 22초6분 3초8분 25초11분 41초
내구력75115175265400
필요 연구소 레벨
연구 가능 모듈함선 연구소
설명가벼운 공격을 방어하는 데 적합한 저렴한 장갑입니다.
  • 트리타니움 합판
단계IIIIIIIVV
중량125190285430645
장착 시간58초3분 12초6분 50초13분 2초23분 15초
수리 추가 시간4분 10초6분 20초9분 30초14분 20초21분 30초
내구도2503805708601,290
필요 연구소 레벨VII
연구 가능 모듈함선 연구소
설명일반적인 공격을 방어할 수 있도록 특별히 강화한 장갑입니다.
  • 이리듐 합판
단계IIIIIIIVV
중량175265400600900
장착 시간1시간 23분 52초1시간 56분 52초2시간 41분 46초3시간 44분 41초
수리 추가 시간8분12분 10초18분 20초27분 30초41분 15초
내구도4807301,1001,6502,475
필요 연구소 레벨VIIVIIIIX
연구 가능 모듈함선 연구소
설명강력한 공격을 방어할 수 있는 튼튼한 장갑입니다.

예외적으로, 다른 장갑들은 모두 함선용 장갑의 설명을 그대로 가져왔지만 이리듐 합판만 함선용 이리듐에는 없는 '다층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설정이 있다.

  • 징티움 합판
단계IIIIIIIVV
중량4506751,0151,5252,290
장착 시간7시간 13분 26초10시간 1분 58초
수리 추가 시간26분 15초39분 25초59분 15초1시간 29분2시간 13분 35초
내구도1,5752,3653,5555,3408,015
필요 연구소 레벨VIIVIIIIXXX
연구 가능 모듈함선 연구소
설명생존 가능성의 극대화에 초점을 맞춘 중장갑입니다.
  • 용량성 패널
단계123
중량3758442,405
장착 시간1시간 40분 40초??
수리 추가 시간17분 12초49분 14초2시간 40분 18초
내구도1,0322,9549,618
필요 설계도 수456
요구 사항이리듐 합판 III?징티움 합판 V
설명중량을 낮추고 방어력을 높인 효율적인 장갑입니다.
용량성 패널에 채용된 고도로 축적된 에너지가 모듈이 받는 피해를 중화시켜, 여러 개를 장착하면 효과가 극대화된다.

베가 함대 격파를 통해 얻을수 있는 설계도 장갑판. 무게 대비 장갑량 효율이 큰 장갑판으로, 순수 장갑량만 따질 경우 징티움 합판에 밀리지만 무게는 대단히 가벼운 장갑이다. 함교의 경우 당연스럽게 징티움 합판을 채용하지만, 무거운 포탑과 방어막을 채용해 장갑따위에 무게를 분산할 여유가 없는 전투 모듈에 자주 사용한다.

2.3 방어막

총 4종류가 있다. 모듈 레벨 7이상이 되면 장착가능하다. 함교는 예외.

2.3.1 에너지
  • 스팩트럼 필드
2.3.2 발사체
  • 디플렉터 필드
2.3.3 폭발성
  • 충격파 필드
2.3.4 모든 유형
  • 메타페이즈 필드 - 모든 유형의 공격에 대해 80%의 방호율과 40%의 데미지 상쇄효과를 보장하지만, 메타페이즈 방어막과 동일하게 보호막이 모두 소모될 때까지 장갑이 받는 피해량이 다른 필드에 비해 두 배(10%→20%)로 늘어나게 된다. 주로 고렙이 되면 이 쉴드가 기지를 뒤덮게 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다른 보호막 종류는 장착시 푸른색을 띠지만, 이 방어막은 붉은 색을 띤다. 고급 등급 분류.

2.4 특수부품

기지 특수부품은 기지의 컨테이너가 없기 때문에 컨테이너와 자리를 공유하지 않는다. 기본적인 효과는 함선용과 비슷하나 명칭이 다르다.

  • 발사속도 개선 - 발사체 무기의 투사체 속도 증가
  • 반경 확대 - 에너지 무기의 사거리 증가
  • 방어막 우회 - 발사체 무기가 방어막을 피해 선체에 주는 피해가 늘어남.
  • 이온 충전기 - 에너지 무기가 방어막에 주는 피해가 증가하는 대신 장갑 자체에 주는 피해는 감소.
  • 확산 강화 - 폭발형 무기의 확산력 증가
  • 반물질 기폭장치- 폭발형 무기의 폭발 반경 증가.
  1. 게틀링 광선을 제외한 모든 광선무기들을 발사체 무기와 같이 중간에 투사체가 방해 받을 수 있다. 즉 타겟 함선이 아닌 다른 적함선이 사격 선상에 오게되면 대신 맞게된다.
  2. 더불어 지속 연타성 광선무기(개틀링)도 해당한다
  3. 투사체가 상대에게 유도되어 나간다. 다만 다른 함선으로 투사체를 막아 줄 순 있다.
  4. 처음 시작 후 생산 가능 시점까지를 고려하면 이벤트/설계도 에너지 무기와 견주어도 뒤지지 않는 펀치력이다.
  5. 타겟으로 지정한 함선 앞에 대신 맞아줄 함선이 있어도 그 함선을 무시하고 지나 반드시 타겟을 공격한다.
  6. 예전엔 도망가면서 카이팅하는 전함을 따라잡기 위해 순양함에 장착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마크업의 등장과 함종 기동력 평준화로 인해 더이상 쓸 일이 없다. 추적함과 쾌속정은 빠른 기동성으로 인해서 애당초 쓸모가 없다. 전함과 함께 마크업시 무기 중량 감소 옵션이 붙는 구축함의 경우 카이팅을 전혀 할 수 없고 함선 자체가 파괴적인 말뚝딜을 하도록 설계 되어있기 때문에 감속 무기를 잘 채용하지 않는다.
  7. 오역. 원문이 다 같이 Squadron인것과 다른 함재기의 번역을 고려하면 전투기 중대가 옳은 번역이다. 그 전에 왜 혼자 대대야 애초에 항공기들에겐 육군의 중대, 대대 개념을 안쓴다 물론 깊이 따지자면 전투비행대대는 공군 편제 단위에서 전술기 60기 단위의 편제이지만 번역진이 불쌍해지니 눈감아 주자
  8. 반대로 컨트롤을 해서 간격을 벌리거나 산개하여 한 기만 맞도록 하면 상대방의 DPS를 깎아버릴 수 있다.
  9. 레이저 사출당 데미지는 임펄스는 더 강하지만 무게대비 dps는 고온이 더 높다
  10. RADAR이 아니다! 원문은 Raider로, 이름이 이렇게 된건 하라는 번역을 하지 않고 음독으로 처리하였기 때문. 그래도 침입자 중대 따위로 번역하는 것 보단 나은 거 같다
  11. 다른 비행 중대들보다 내구력이 100~250낮다. 폭격기나 요격기 중대들이 고티어 함선의 화력 앞에서 녹아내리는걸 생각하면 매우 낮은 수치.
  12. 이전 까지는 ECHO 광선과 폴라론 광선이 공동 3,500m로 가장 길었다.
  13. 대표적인 공성 무기로 시즈 드라이버와 아크 미사일이 있는데, (구축함에 장착시) 시즈 드라이버는 7,500m, 아크 미사일은 7,200m에 달한다.
  14. 다만 상대 함선이 추적함이 아니라면 크게 신경쓸 필요 없는 문제이다.
  15. 쉴드 관통을 이용하여 목표 함선의 쉴드가 사라지기전에 함선을 부술 수 없다면 대미지 증가가 없는 샘이기 떄문.
  16. 발사체 무기가 FvF 에서 잘 사용되지 않는 다른 중요한 이유는 상대 항공모함의 함재기를 정말 못잡는다는 점이다. 근접신관이 있어 발사체 무기들중 가장 함재기를 잘 잡는 글라디우스 드라이버도 다른 에너지 무기나 폭발형 무기들과 비교하면 중요한 상황에서 종종 빗나가 커다란 DPS 손실을 가지곤 한다. 연사속도가 빠른 스톰드라이버는 해당되지 않는다
  17. 게임내에 적중률이라는 표현으로 표기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관통되는 함선의 수를 나타낸다. 번역 과정에서 오역으로 판단된다. - 번역전 원문 추가바람 -
  18. 구축함은 사거리 150% 보너스를 받아 6,000m~7,500m로 발사 가능 거리가 1,500m이긴 하지만 여전히 좁다.
  19. 방어 우회 발사체 V를 장비했고, 적함의 방어막이 메타페이즈인 경우메타 안쓰는 함선을 찾을 수 없지만 근데 전함이나 구축함 막2이상은 방우가 탑재되는데 이놈까지쓰면?
  20. 관통률은 단순 합산이 아니어서 관통 옵션 파츠가 많으면 많아질수록 효율이 떨어진다. 최고 관통률을 보여주는 구축함 Mk. 5에 웨이브 드라이버에 방어 우회 발사체 V를 전부 단다고 해도 80%가 한계.
  21. 글라디우스 드라이버도 범위 타격을 가할 수 있긴 하지만, 범위가 작고, 정식으로 범위 타격 범위가 나온 것은 중성자가 처음이다.
  22. 표적이 움직이지 않거나 매우 느린 경우가 아니라면, 탄이 도착할 때 쯤이면 그 자리에서 벗어나 있다
  23. 탄속이 느리다는 많은 발사체 무기들의 탄속이 1000m/s다! 이쯤되면 탄환보다 함선이 앞서나간다
  24. 휘발성 연료 참조
  25. 에코 광선이나 벡터 격퇴포가 좋다
  26. 폭발형 무기에는 확산력이 0도 이상이 붙어있지만 하이드라 미사일 같이 0도인 경우 유도무기로 간주되는듯 하다.
  27. 예를 들자면, 항모를 공략하려고 뭉쳐서 들어오는 순양함들의 경우 알게모르게 쉴드가 사라져간다.
  28. 정말 높은 수치인 것은 확연한 사실. 하지만 이보다 먼저 기뢰형 격퇴포(3,000m)와 플라즈마 격퇴포(2,850m)에게 최악의 최소사거리 자리를 빼앗겼다. 시즈 드라이버는 말 안 해도 정상급. 하지만 시즈 드라이버는 대놓고 공성용에 기본적으로 벡터 격퇴포를 제외한 격퇴포 시리즈들도 사실상 공성용으로밖에 써먹을 방도가 없는 반면 아크는 스펙 자체는 대함용인데 탄착군이 에러라......
  29. 정해진 궤도로 퍼져 날아가기 때문에 글라급 사거리에도 불구하고 멀리 있는 적을 맞추기가 더 힘들다. 파열처럼 들이받아 쓰자니 시즈를 제외한 어떠한 발사체보다도 긴 최소사거리 때문에 그것도 불가능. 그나마 근거리에서는 탄도가 조금 더 퍼져서 나가기에 맞추기 쉽긴 한데 파열 광선의 사거리를 생각하면 그 짓 하는 순간 곧바로 인터셉트 당해 썰릴거란 것 쯤은 말 안해도 블루레이.
  30. AP드라이버와 마찬가지로 실제 적중률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관통되는 함선의 수를 가리킨다.
  31. 성능은 별로지만 없는 것보다는 나은... -Sybil
  32. 해리어 추적함, 심지어 보이저 호위함도 60톤인 이리듐 I을 사용할 수 있다! 패스파인더? 그게 뭐죠?
  33. 장갑 슬롯 6개와 장갑 중량 10% 감소 보너스를 받는 헤러틱 순양함대놓고 떡장용에 징티움 V만 6개 장착하면 이 짓을 해놓고 무기랑 방어막 둘 다 챙길 생각은 하지 말자 함선 하나 내구도가 무려 11,990이다! 날으는 함교
  34. 혼추와 후추를 달아서 절대 못 잡는 함선이라던가 아포칼리파 쾌속정! 아니면 렌즈 배열 강화와 렌즈 배열 이온화 조합으로 발사체보다 긴 에너지 무기라던가...... 에코 드라이버(...) 위상 자성체랑 이리듐 자성체를 같이 달아서 에너지 무기보다 탄속 빠른 발사체 무기도 만들 수 있다. 글라디우스 광선? 폭발형이라면 스펙트럼 탄두+휘발성 연료를 달아 매우 빠르고 매우 강력한 무기를 연성할 수 있다. 시코 광선 고만해 미친놈들아
  35. 원문은 Binary로, 이진법을 뜻한다.
  36. 함교를 암만 튼튼하게 만든다고 해도 실드량 포함 31000 언저리이다. 첫번째 자폭 데미지는 실드로 막아도 7840이며, 두 대만 더 폭파시키면 함교는 그냥 사망이다.
  37. 방어 우회 발사체를 달았는데도 실드가 체력보다 먼저 0이 되었다면 자성체를 다는 편이 낫다.
  38. 렌즈 배열 이온화 때와 마찬가지로 진짜로 있는 오타다.
  39. 함선 쪽으로 사정거리를 늘려 준다.
  40. 반물질 탄두, 스펙트럼 탄두로는 +250m가 한계다.
  41. 함재기 등의 저지 없이 정상적으로 날아갈 경우 사거리의 절반 정도 날아가다 적이 있으면 터지므로 최소 3125m 이상의 거리를 확보해야 자탄을 피할 수 있다.
  42. 속도가 제일 느린 항공모함이 200m/s다. 같은 방향으로 도망친다면 항공모함도 못맞춘다.
  43. 글라디우스 드라이버가 2000m/s
  44. 다만, 저 넓은 확산력이 전함의 사각지대인 전방 90도 후방 90도를 커버해주는 경우도 생긴다.
  45. 실제 설명에 나와있는 오타다.
  46. 일반적인 함선은 특수칸이 2개라 1칸은 백이면 백 혼합형 추진엔진 부품, 다른 한칸은 무기관련 부품을 낀다. 에너지는 렌즈 부품을, 발사체는 입맛대로 자성체 or 우회 or 위상을 끼게 된다. 최근들어 폭발형은 휘발성이 나와 폭발형 전함도 빈 특수칸이 없게 되었다.
  47. 보통 공성을 하게 되면 2순양으로 좌우측 탱킹을, 4구축으로 공성을 맡게 된다. 공성무기로 시즈나 아크미사일을 사용하게 되는데, 건물 상대라 궂이 무기 관련 부품 낄 필요가 없고 탱킹은 순양이 하는지라 엔진도 안끼는 경우가 많아 특수칸이 남아돌게 된다. 따라서 강컨을 달아 체력을 늘리거나 기컨을 달아 아예 상대편 자원을 기둥뽑기털어오는 목적으로 가는 경우가 많다. 특히나 공성을 하면 자원을 함대가 털어올 수 있는 자원의 5배를 털어오니 흠좀무
  48. 해리어 추적함 마크 2는 저항 슬롯 대신 특수 슬롯을 부여받는다
  49. 움직이지 않는움직일리가 없잖아기지의 특성 상 사각지대를 간파당하는 빈도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발사체 무기만 장착했다면 긴 사거리에 비해 탄속이 느려 횡이동만으로 피해버리거나 긴 최소거리때문에 닥돌하는 쾌속이나 순양이한테 털리고, 폭발성 무기만 단다면 애매한 사거리 때문에 시즈를 단 구축함에게 농락당한다. 시코 미사일을 단다고 해도 마찬가지. 에너지 무기는 말할것도 없다.
  50. 무기 연구소 VIII일 때, 키네틱 드라이버는 II, 코일 드라이버는 IV이다. 둘의 피해량은 두 배 이상 차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