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nderful Days

1 개요

리듬게임 Dynamix의 수록곡. 작곡가는 CytusPrismatic LollipopsSweetness and Love를 제공한 경력이 있는 DJ Mashiro. 장르는 해피 하드코어이다. 곡 분위기는 예전 곡과 다르지 않게 발랄하고 신나는 분위기이고 일러스트도 그에 걸맞게 아슬아슬하고밝은 분위기이다. 절대영역
여담이지만 다이나믹스 곡중에서 가장 먼저 작성되었다. 그리고 1주년 기념 일러스트에 고양이 버전 Little D[1]와 함께 출연했다.
일러스트의 소녀의 포즈가 제작사 C4Cat의 마스코트 소녀[2]의 포즈와 비슷하다.

하지만 밝고 신나는 음악 분위기와 일러스트와는 달리 이 곡에는 무서운 타이틀이 붙어 있었는데 그것은 바로...
옆동네의 그것과 포지션이 비슷하다 카더라 신규 곡들에게 밀려 튜토리얼 취급받는 것까지 비슷하다
귀여워서 플레이 하다 웃는 모습이 밉상으로 보인다

2 정보

Wonderful Days
작곡가DJ Mashiro#
BPM185
난이도레벨노트수
BASIC14412
NORMAL5517
HARD89792
MEGA131035
GIGA--
좌측라인우측라인
일반&홀드일반&홀드

하드 난이도 오토플레이 영상

메가 난이도 오토플레이 영상

Dynamix 2.0 패치 때 추가된 곡으로, 랭크 26[3]레벨에 해금된다. BGA는 곡의 박자에 맞춰 건물들이 들썩이고 뒷 배경에 별들이 떠오른다.

3.0 이전까지 패턴 4개중 하나 빼고 전부 불렙을 자랑했었다. 그 덕분에 이 곡에는 Dynamix 대표, 최대 불렙곡이라는 타이틀을 받았다.[4] Dynamix곡들 중에서 가장 먼저 작성된 이유가 이거라 카더라 처음 플레이하고, 계속 플레이해봐도 왜 표기 레벨이 이런가에 대한 의문을 자아내게 한다(...)
그러나 하드, 메가 패턴의 경우 박자로 어렵게 만든 패턴이다보니 곡 특유의 박자를 제대로 파악하면 쉽고 할만하다는 의견이 있다. 물론 반대로 박자를 파악하지 못한다면 꽤 힘들 것이다.

여담으로, 이후 작곡가인 DJ Mashiro아직도 정신을 못차리고 다른 게임에서도 3R2와 손잡고 보스곡을 하나 더 만들었다(...) 얼마나 어려우면 위에 난이도 옆에 취소선으로 실 난이도를 적었을까?

2.1 베이직

후반부에 양 옆에서 동시치기 폭풍이 나오는 탓에 레벨 1이라 만만하게 보고 도전한 초보자들을 절망시키는 엄청난 불렙을 자랑한다. 노트수도 1레벨 주제에 8레벨인 パントマイム feat. IA HARD 패턴과 똑같다. 체감 레벨은 4레벨. 베이직 채보라 잘 안 알려졌지만, 체감레벨과 표기레벨의 차가 무려 3레벨이나 되는 사실상 Dynamix 역대 최악의 사기 난이도.[5] 거기다 일부 난이도 조정이 이루어진 3.0버전에서도 레벨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2.2 노멀

유일하게 처음부터 표기 레벨이 정상이었던 보면. 다만 중반에 단타 - 홀드 - 슬라이드 조합이 간접미스가 뜰 수 있는 점에 주의.

2.3 하드

대표적인 8렙 사기 보면으로 꼽히는 보면

초반부터 양쪽으로 사이드 노트를 뿌리고 그 후 치기 힘든 박자와 패턴으로 처음 할 때 부터 끝까지 8레벨을 능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2.4 업데이트로 같은 표기 8레벨인 [[Dyspnea [DNX Edit] ]]HARD 패턴이 등장하기 전까지 Rom Corruption과 함께 8레벨 사기 난이도 양대산맥을 마크하기도 했다. 실제 체감 레벨은 9레벨 내외.

2.4 메가

초반부의 애매한 타이밍의 2-1 단타, 그 직후의 따로 노는 양옆 단타부터 시작해서 후반부에는 초반부 병맛박자 단타에 연타가 가미된 상위호환패턴, 그 직후 계속 위치가 바뀌는 양옆 동시치기 + 잡노트 등 중반부를 제외하고 플레이어를 복합적으로 괴롭고 짜증나게 만든다. 그 이유로 체감 레벨은 13레벨 상위 ~ 14레벨 정도라는 의견이 대다수다. 심지어 Oracle과 풀콤보 난이도가 비슷하다는 유저들도 있다는 듯. 다만 오메가 난이도는 Oracle이 한 수 위라고 한다.
그런데 이 미친 보면이 3.0 패치 이전까지 레벨 12(!)로 책정되어 그당시 독보적인 사기 난이도 패턴으로 등극했다. 작곡가의 미친 존재감 이후 신곡 LibraVengeance의 메가 보면도 12 사기난이도를 선사해 존재감이 흐려지긴 했지만 지금도 심심하면 이야기가 나오는 패턴.[6]

결국 3.0업데이트에서 기존 12렙 지뢰곡 Vengeance와 함께 13으로 상향되었다. Libra는요? 아직도 사기라는 소수의 의견이 있지만 패턴 자체가 박자 엇박으로 밀어붙이는 타입이다보니 많이 할수록 점수가 오르는지라 대체로 13이면 적당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그러나 엇박 위주 패턴의 개인차는 남았다는 것에 유의.

참고로 2.0정도까지만 해도 이 보면은 거의 14레벨 취급을 받았던 패턴이었다는 걸 생각해보면 Dynamix의 난이도 인플레가 어느정도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1. 사실 이름이 따로 존재한다. Little C 라고...
  2. 공식 페이스북 커버에 나오는 그 군복차림 고양이 소녀 맞다.
  3. 2.7로 업데이트 되면서 순서가 바뀌었는데 바뀐 위치가 안바뀐 반딧불이 바로 위다..
  4. 후술하겠지만 이 곡을 능가하는 불렙 보면이 등장 및 3.0에서 메가보면의 레벨조정 등으로 이 타이틀은 위상이 꽤 낮아졌다. 그러나 2.0 패치에서 이 곡이 역대급 충격과 공포의 사기 난이도 책정을 달고 나와 유저들에게 미친 존재감을 제대로 어필해 주었기에(?) 지금도 다이나믹스 사기 난이도 얘기를 할 때 매번 언급이 되고 있다.
  5. 개인차를 고려해도 이 정도로 레벨차가 심한 보면은 이 보면 말고 거의 전무하다. 어지간한 이름난 물/불렙들도 대부분 2렙차인걸 생각해보면 정말 심각한 불렙.
  6. 특히 Vengeance 쪽은 이 보면보다도 더했다.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