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교통

1 개요

호남고속철도 개통 후에도 여전히 서울 방면 빼고는 철도의 무덤이나 다름이 없고 버스가 초강세를 보인다.[1] 그리고 전국 광역시 중에서 유일하게 티머니가 안되는 곳이었으나 2016년 1월 30일부터 티머니 호환이 실시되어 사용 가능하다. 한 때에는 마이비카드 이용 가능한 곳 중 유일하게 캐시비가 안되는 곳이었으나 2013년 7월 19일 광역 요금체계 시행 시기부터 전라남도 농어촌버스(나주시, 함평군, 장성군, 담양군, 화순군)들과의 환승할인을 구축을 위해 캐시비 카드도 사용이 가능해졌다.

2 항공

광산구 신촌동에 광주공항이 있다. 1995년 6월 국제선 정기노선을 개설하였고 1998년 1월 경제위기로 잠시 국제선 운항이 중단되기도 하였으나, 2001년 다시 재개되었다. 하지만, 2007년 11월 무안국제공항이 생기고 2008년 국제선 기능을 무안으로 이전하였다. 현재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에서 운영하는 제주, 서울(김포)로 향하는 국내선이 남아있다.
티웨이항공에서 운영하는 제주행이 새로 생겼다.

2016년 8월. 광주공항의 이전건의서에 대해 국방부는 적정판정을 내렸고 현재 광주공항의 이전후보지를 선정하는 중이다.

3 철도

3.1 일반철도 및 고속철도

호남고속선 개통 전까지 근 11년간을 Kumho Turtle eXpress 이름만 KTX로 다녔다. 대전조차장역부터 광주까지는 기존 재래선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KTX의 본래 속도를 못 내서 정차역이 적다는것 외에는 일반 열차와 다름이 없었다. 특히 서대전역에서 익산역까지는 선형이 대단히 불량해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2] 그래서 서울역-부산역보다 거리상 훨씬 더 가까운 용산역-광주역, 광주송정역이 시간이 더 오래걸리는 치욕을 겪었다. KTX가 (주말 시간표 기준으로) 용산역에서 광주송정역까지 2시간 43분 ~ 2시간 54분, 광주역까지는 2시간 49분 ~ 3시간 10분이 걸렸기 때문에, 고속버스와는 거의 경쟁이 안되는 상황이었다.

호남고속선 개통 이후에는 KTX의 화려한 데뷔가 성공했다. 주말 전열차 매진을 띄우는 기염을 토했지만, 수요에 비해 공급이 그만큼 미치지 못해 아직도 아쉬운점이 많다.[3][4] 고속선 개통 이후에는 서울 올라가는 수요도 그만큼 늘어 서울행은 버스랑 철도가 사이좋게 나눠먹고 있는 중이다.
서울에서 광주까지 소요시간이 2시간도 안 걸리므로(고속버스 서울-광주 소요시간은 거리표 기준 상 3시간 20분. 그에 반해 호남고속철도의 최속달 차량은 93분 정도, 각역정차+복합열차도 2시간은 넘지 않는다.) 다만 고속선 개통 후 운임이 만원 가까이 올랐기 때문에 시간을 중시하면 KTX, 비용을 중시하면 고속버스를 이용하는 쪽으로 승객이 이원화 될 것으로 보인다. 거기에 미약하게나마 KTX 광주송정역에는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이 연계되어있다는 것이지만. 이 1호선이라는게 약 340억원[5]의 적자가 발생되는 애물단지중 상 애물단지다.[6] 개통 이후 구도심의 광주역이 KTX 미정차역이 된 것은 취약점.
고속선 개통 이전에는 '광주송정역의 접근성이 나빠 KTX 안타서 망할거다!'라는 주장과 '고속선 뚫리면 금호고속 망하겠지?'라는 두 주장이 서로 갑론을박 했으나... 둘 다 틀렸다. 주말에는 KTX고속버스 둘 다 쌍으로 매진시킨다.
다만, 상술했듯 쌍으로 매진되는 이유는 용산역 ~ 금천구청역 까지의 선로용량 포화로 인한 공급 부족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수도권고속선이 개통되어 공급이 늘어나게 되면 금호고속에게 큰 위협이 될 수도 있다.

서울특별시 방면이 아닌 경전선 연선 지역으로 이동할 때에는 당연~히 철도의 무덤이다. 경전선이 가장 악명높은 서부경전선 구간인데다가 단선 비전철이며 선형이 매우 불량하고, 광주 도심 접근성은 쌈싸먹고, 그래서 안 그래도 지역수송에 힘써야 할 판에 수요 저조로 열차 편수까지 적어지고. 과거에는 남광주역이 있어서 요쪽 방면으로는 그럭저럭 수요가 있었지만, 이설크리로 망했어요. 서광주역을 만들어 주긴 했지만 같은 도시의 두 대형역+유스퀘어 덕에 똥망. 덕분에 순천 사람들이 광주로 업무나 쇼핑을 하러 들락날락하더라도 순천역에서 광주행을 타는 경우는 없다. 효천역이 그나마 커버해 주긴 하지만 도심 접근성은 서광주나 효천이나 도토리 키재기다. 오죽하면 경전선 연선인 보성군에서 광주를 기차 타고 올라가려는데 일부러 화순역에서 내려서 지원150을 타는 용자가 있었을까... 부산광역시 방향으로는 광주송정역-부전역이 6시간 8분이 소요되지만 유스퀘어-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까지는 3시간 10분이 소요된다. 시간은 두 배나 더 소요되는데 요금은 우등버스와 비슷하다! 그리고 배차 대결에서 기차는 하루 1대인데 고속버스는 44대[7]이다. 이러니 누가 기차 타겠냐고...

3.1.1 광주광역시의 일반 철도 노선 및 역 목록

굵은 글씨로 되어 있는 역만 여객취급을 한다.

3.2 지하철(도시철도)

현재 1호선이 개통된 상태이나, 광주 최대의 관문이라 할 수 있는 광천터미널(유스퀘어)이나 광주역과 떨어져 있고, 조선대학교 대학가나 신흥 중심지인 상무지구는 경계선만 스쳐가기에 이용객이 많지는 않다. 심지어는 인구도 비슷하고 1호선이 더 늦게 개통된 대전보다 수송분담률도 시망. 적자도 두 배가 넘으니. 지하철 자체가 시민 대부분이 반대하는데도 시장 멋대로 만든거다. 그래도 1호선 연장구간 개통으로 광주송정역과 바로 연결된 후로는 아주 약간 이용객이 늘어났다. 계획상으로는 2,3호선까지 예정되어 있다.[8] 그 중 2호선이 건설 예정이지만 1호선의 낮은 이용률과 민선 5기 신임 시장의 부정적인 견해로 인해 공사 가능성은 미지수...였다가 2014년 들어서 민선 6기 들어서 만들기로 결정했다.

그래도 타보면 일단 시설 자체는 꽤 잘 되어있고, 대전광역시와 더불어 시설 깨끗한 도시철도를 자랑하기도 한다. 이용객이 적은 건 어쩔 수 없지만 번영가나 역을 이용할려 할때 잘 쓰면 버스보다는 빠르다. 할머니들이 남광주시장이나 양동시장으로 장을 보러 가거나 사람들이 충장로 혹은 상무지구에 갈 때 가장 많이 쓰인다. 노인(경로자)은 무료인데 이 노인 이용객이 제일 많고, 광주에 많은 5.18 유공자도 무료이니 그렇지 않아도 적은 승객인데 적자가 상당하다.
애초부터 대부분의 사람들이 접근성이 부족해 이용할 일도 없고, 노선 자체가 이상하며 버스나 도로가 워낙 잘 되어 있으니 지하철 자체가 존재감이 없다. 버스가 잘되있어도, 사람넘처나고 배차간격길고 이동하는데 교통혼잡과 상당한 시간이 걸려 헬교통임. 서울 와보니까 별거 아니더라

광주 시민들도 도대체 왜 이 노선으로 만들었는지 의문이라고들 말한다. 이에 대해서는 1호선 계획 당시 버스 회사들의 로비와 지역 토호들의 농간이 가장 큰 원흉이라는 말이 지금도 나오고 있고, 또는 90년대 초기 추후계획 인 2~5호선의 보조 노선이 1호선으로, 광주시가 무책임하게 이 환승용 보조노선을 먼저 지었다는 설도 있다.
이 실패를 교훈삼은 것인지 2호선 착공 계획에 의하면 조선대-광주역-전남대 등 광주의 번화가를 최대한 많이 거치는 모습으로 할 예정이라고 한다. 1호선을 이렇게 만들었으면 쪽박을 찼겠냐고 두 블럭만 위에 지었으면 괜찮았을텐데

4 도로

4.1 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9]무안광주고속도로[10], 광주대구고속도로[11], 고창담양고속도로[12]가 있다. 2016년 9월 현재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가 공사 중이고 광주강진고속도로가 2017년 안에 착공을 들어간다.

4.2 국도 및 기타 일반도로

1번 국도, 13번 국도, 22번 국도, 29번 국도가 있으며, 이 네 도로가 광주, 아니 전남권 전체의 대 광주 교통을 책임진다고 보면 된다.

21세기 초반까지만 해도 비아-하남 구간의 사암로(13번 국도), 나주에서 광주로 접어드는 서문대로(1번 국도) 등의 고질적인 교통정체구간이 곳곳에 산재해 있었다. 특히 남문대로(29번 국도) 너릿재 구간은 매일매일 광주~화순을 오가는 차량들 덕에 헬게이트가 열려서 멀티를 뚫었고, 또한 5.18 국립묘지는 명절, 국경일, 기념일만 되면 주변 20km정도를 초토화시키는 그야말로 헬게이트 강림지역이었다. 그나마 호남고속도로 동광주IC-고서JCT 구간이 확장되며 조금은 쾌적해졌다. 참고로, 5.18 국립묘지는 아슬아슬하게 광주의 경계선 내부에 들어와있다. 끝에서 몇걸음 벗어나면 전라남도로 넘어가는 정도?

또한 광주는 부도심만 비약적으로 발전한 도시 중의 하나로, 구도심을 둘러싸는 제1순환도로(필문, 대남, 죽봉, 서암 4대로)가 이미 광주의 주요 도로 역할을 하고 있었고, 이후 도시고속화도로인 광주제2순환도로까지 개통되어 각각의 부도심끼리의 왕래가 원활해졌다. 그리고 구도심 망했어요

4.3 부록 : 전라남도 각 시군까지의 거리

광주에서는 전남 각지로 방사형으로 도로가 뻗어나가며 전남 각지로 가는 시외버스 노선도 잘 짜여있어서, 발령으로 근무지가 옮겨질 일이 많은 공무원들(특히 교사)은 주로 광주에 집을 두고 산다. 이에 참고자료로 광주 도로원표(충장로-구성로의 교차점)에서 전남 각 시군청 소재 지역과 기타 주요 지역과의 거리를 수록해둔다.

  • 산정 기준
    • 중간 경유지의 시내를 관통하는 경우는 될 수 있으면 피한다.
    • 고속도로, 4차로 국도망은 길게 우회하지 않는다면 최대한 활용한다.
    • 웹지도의 최적경로 기능을 활용하므로, 산정 시각에 따라 통행량으로 인해 경로와 거리가 다르게 나올 수 있다. 되도록 차량 통행이 거의 없는 심야에 측정할 것.
    • 도로원표에서 보성방향 29번 국도로 진출하는 경로는 구성로 - 금남로 - 문화전당로 - 남문대로를 기준으로 한다.[13] 나주뱡향 1번 국도로 진출하는 경로는 구성로 - 독립로 - 서문대로를 기준으로 한다.
    • 표 안의 기준 경로에는 경로를 특정할 수 있을 정도의 주 이용도로를 넣는다.
기초자치단체목적지명km수기준 경로
목포시목포시청77.01서해안고속도로,무안광주고속도로 경유
연안여객선터미널80.18
목포종합버스터미널74.00
목포역78.49
목포신항83.46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남악신도시)75.10
유달산(목포덕인중학교)78.02
여수시여수시청(여천)116.16호남고속도로 경유, 순천IC에서 17번 국도 진입
연안여객선터미널(구도심)123.93
향일암(돌산)150.75
백야도(화정)138.19
순천시순천시청87.68호남고속도로 경유
조례사거리88.54
순천만국가정원90.29
와온마을(해룡)105.48호남고속도로 경유, 순천IC에서 17번 국도 진입
순천만 갈대밭(대대동)95.7929번 국도 경유, 보성IC에서 남해고속도로 진입(...)
낙안읍성67.2622번 국도, 15번 국도 경유
나주시나주시청(송월동)28.271번 국도 경유
영산포터미널30.58
한국전력공사 본사(빛가람동)22.18
동강면사무소46.69
중흥리조트27.85칠구재터널 경유
광양시광양시청(중마동)104.05호남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경유
광양읍 시계탑95.22
다압면사무소110.73광주대구고속도로, 순천완주고속도로 경유
담양군담양군청24.46광주대구고속도로 경유
창평면사무소19.39호남고속도로 경유
소쇄원(남면)14.74무등산 관통(...)
대전면사무소17.07빛고을대로 경유
곡성군곡성군청49.29호남고속도로 경유
옥과면사무소31.31
석곡면사무소53.02
구례군구례군청76.86호남고속도로 경유, 곡성읍에서 17번 국도 진입[14]
피아골100.37
고흥군고흥군청103.2629번 국도, 남해고속도로, 15번 국도 경유
나로우주센터133.75
금산면사무소(거금도)131.5829번 국도, 남해고속도로, 27번 국도 경유
보성군보성군청54.5429번 국도 경유[15]
벌교읍 벌교역전73.0229번 국도, 남해고속도로 경유
대원사42.8222번 국도, 15번 국도 경유
화순군화순군청13.0329번 국도 경유
북면사무소41.38호남고속도로, 15번 국도 경유
장흥군장흥군청76.4129번 국도, 남해고속도로, 23번 국도 경유
노력항(회진)111.38
보림사52.7829번 국도, 839번 지방도 경유
강진군강진군청76.861번 국도, 13번 국도 경유
신전면사무소91.721번 국도, 13번 국도, 55번 지방도 경유
마량항102.421번 국도, 13번 국도, 23번 국도 경유
해남군해남군청90.021번 국도, 13번 국도 경유
땅끝마을(송지)125.26
우수영국민관광지(문내)109.91무안광주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77번 국도(영암금호방조제) 경유
영암군영암군청52.541번 국도, 13번 국도 경유
삼호읍사무소84.15무안광주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구 2번 국도 경유
현대삼호중공업87.81무안광주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목포대교 경유
무안군무안군청50.89무안광주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경유
전라남도청(남악신도시)72.79
운남면사무소62.13무안광주고속도로, 77번 국도 경유
해제면사무소67.60무안광주고속도로, 24번 국도 경유
함평군함평군청41.87무안광주고속도로 경유
해보면사무소31.2822번 국도 경유
손불면사무소50.6122번 국도, 838번 지방도 경유
영광군영광군청46.0222번 국도 경유
법성면사무소57.78
한빛원자력본부65.63
장성군장성군청25.06호남고속도로 경유
상무대(삼서)43.54호남고속도로, 24번 국도 경유
백양사(북하)41.75광주대구고속도로, 15번 지방도 경유
완도군완도군청133.741번 국도, 13번 국도 경유
화흥포130.211번 국도, 13번 국도, 77번 국도 경유
고금면사무소109.711번 국도, 13번 국도, 23번 국도 경유
진도군진도군청122.95무안광주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77번 국도(영암금호방조제) 경유
팽목항143.91
신안군신안군청(압해)77.90무안광주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경유
송공항(압해)84.47무안광주고속도로, 77번 국도 경유
지도읍사무소76.81무안광주고속도로, 24번 국도 경유
증도면사무소88.70

보너스로 순창군청까지는 광주대구고속도로 경유로 39.65km, 고창군청까지는 호남고속도로, 고창담양고속도로 경유로 46.19km다.

스압

5 버스

5.1 시내버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는 비교적 잘 정비되어 있으며 광주시 BIS 사이트를 이용하면 모든 시내버스 정보가 뜨니 광주에 용건있는 사람은 잘 이용하자. 버스[16]마다 그 버스의 기점(혹은 종점)을 번호 앞에 써놓고 다닌다. '지원15번' 같은 식. 버스를 탈 때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꼭 일본의 어느 도시가 생각난다

또한 광주 버스들은 요금통이 거의 다 인천광역시 시내버스같은 자동수납기로 이루어져있기 때문에 동전은 깔대기처럼 생긴 곳에 요금을 넣으면 알아서 정산되고[17] 지폐는 직접 펴서 자판기에 넣듯이 넣어야 한다. 초기에는 지폐에 조금만 손상이 있어도 뱉어내는 문제가 있었으나 지금은 상당히 융통성이 있게 되었다. 요즘은 교통 카드 쓰기에 현금낼 일도 별로 없다. 과거에는 티머니가 호환되지 않았으나 2016년부터 티머니도 사용이 가능하다.

대부분의 버스들이 와이파이 공유기를 갖추었으나(SK텔레콤용) 예외로는 라정운수가 있다. 몇몇대를 빼고는 거의 다 없으니 데이터가 없다면 참고해서 라정운수를 피하는 센스를 보여주자. 최근에는 언제 그랬냐는 듯이 달고 있지만 여전히 안단 버스가 많다.

5.2 광주 시내버스의 불편함과 단점

불편한 점이 있다면, 버스정류장의 이름과 그 건물이 실제로는 꽤 떨어진 거리에 있어서 멋모르고 그냥 내렸다간 10분~20분정도 걸어야한다.예를 들면 전남대 정류장에 내렸는데 전남대가 안 보인다거나 참고로 광주의 버스들은 오후 10시 즈음에 막차가 출발하는 경우가 많다!! 유스퀘어에서 막차시간대에 반대편에 버스 지나간다고 이쪽으로 회차해 돌아오는 버스가 있는 줄 알고 있다가 낭패보는 사람 여럿 있다. 회차가 없기 때문에 버스는 지하철처럼 기점-운행-종점으로 움직이는데당연한 거 아닌가?
그리고 버스를 놓치면, 배차간격이 길어서 골치 덩어리고,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노선이 워낙에 후지('우리동네에 안다닌다'와 같이 역세권으로 해야할 동네와 대학로터미널이 전혀 안다닌다.)므로 거의 버스로 의존하게 되어버려서, 많은 사람들이 몰려 매번 붐비고 신호와 교통체중으로 목적지까지 상당히 오래 걸린다.. 심지어 광주의 외곽에 위치한 신도심들은 옛날보다 규모가 커져버려서 외곽에 위치함으로, 시내버스 노선도 적고 배차간격도 길어서 큰 불편을 겪는 현실이기도 하다.
광주의 안으로 버스타고 다니는데 마치, 고속버스타고 다른지역으로 가는 시간처럼 목적지에 무려1~3시간이나 걸리는 헬교통을 매번 시민들이 겪으므로 2호선을 찬성하게 된 계기 이기도 하다...
광주 시내버스 체계의 문제점은 서울특별시 처럼 마을버스 체계가 활성화된 것도 아니고, 시내버스가 급행-간선-지선으로 적절히 분류된 것도 아닌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광주지역 진보정당과 시민단체가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건설에 반대하는 것도, 우선 시내버스 체계부터 확실히 개선한다면 굳이 거액의 공사비와 공사 기간 동안의 교통체증을 불러오는 도시철도 건설을 하지 않고도 서민 친화적인 교통체계를 만들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이다.그렇지만, 과연 시내버스만으로 이러한 교통과 환경, 잘못된 외진 노선인 광주 1호선과 결합 문제들을 완벽히 해결할수 있을까?
무엇보다도 2016년 8월 1일자로 서울보다 요금이 더 비싸졌다.

5.3 고속버스시외버스

width=100%

20px 광주광역시의 버스 터미널과 간이정류장
터미널광주종합버스터미널
정류소비아고속 ・ 소태역진월동송정송정역운암동문화동학동첨단지구

유스퀘어에서 고속버스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구 광주시외버스터미널은 현재의 모습이 되기 전에는 위치 극악에[18] 정말 토나올정도의 낙후시설이었으나, 동양 최대규모의 버스터미널인 지금의 유스퀘어로 고속[19], 시외 터미널이 통합되고 단장하면서, 광주의 대표적인 리모델링 사례로 손꼽히고 있다. 다만 백화점+터미널+대형마트에 이 길목이 구도심 지역과 신도심인 상무지구를 잇는 위치라는 입지조건, 신세계백화점 사거리를 포함하는 넓은 도로 한 줄 빼면 그 주변 도로는 죄다 2~4차로 밖에 안 되기 때문에. 항상 차가 막히는 구간이다.

고속버스의 경우 알 사람은 다 아는 금호고속의 서울-광주 노선의 배차간격이 고속버스 주제에 광주광역시의 가장 배차 간격이 짧은 시내버스보다 배차간격이 더 짧다는것이 [20] 말해 주듯 초인기 구간이다. 3시간 20분이 소요된다. 인천광역시로는 3시간 50분정도가 걸리며 대전광역시와는 2시간(유성) ~ 2시간 30분(복합터미널) 정도. 반면 대구광역시부산광역시 방면으로의 통행은 어려운데 그나마 대구 쪽은 광주대구고속도로 전 구간이 확장 개통되어 많이 나아졌다. 광주-대구가 서대구 2시간 20분, 동대구 2시간 40분[21]이 소요되며 남해고속도로를 낀 광주-부산의 경우엔 평일에는 3시간 10분, 주말에는 4시간 이상 소요된다고 한다. 특히 남해고속도로는 멀게는 진주, 가깝게는 마산부터 상습 정체가 되는 것을 감안하면... 서울이 더 가까울 정도 그나마 경전선보다 압도적으로 빠른게 다행일 정도.

이외에 광주 시내에는 유스퀘어 말고 다른 중간정류소도 있다.

  • 학동 정류소
경전선 남광주역과 비슷한 포지션. 화순군, 보성군, 장흥군, 고흥군 방면 시외버스가 정차한다. 광주 구도심과 가까워 그쪽 노선 시외버스 이용객의 절반 정도가 이곳에 몰린다. 위치는 동구 학1마을 휴먼시아 건너편. 지하철 남광주역과 가까우나, 약간의 다리운동이 필요하다.
학동 정류장과 마찬가지로 화순군, 보성군, 장흥군, 고흥군 방면 시외버스가 정차한다. 기존의 학동 정류장이 지하철 연계가 약해서 개설한 곳. 위치는 소태역 내부. 의외로 그 존재가 잘 알려지지 않아서, 학동에서 내릴 사람이 소태역에서 내릴 뻔 하는 해프닝이 빈번하다.[22]게다가 소태역에 코레일 열차가 서는 줄 아는 사람도 많다
나주시, 무안군, 영암군, 강진군, 해남군, 진도군, 완도군, 목포시 등 전남 서남부권 방면 시외버스가 정차한다. 학동에 견줄 바는 아니지만 역시 구도심 접속이 편리해서 이용객이 많다. 한때는 광주~목포 직통도 광주행 한정으로 이곳에 정차했지만, 무안광주고속도로 개통 이후에는 터미널로 바로 가는 것과 유덕IC에서 송암공단 쪽으로 빠져나와서 광주제2순환도로를 경유하여 진월동을 경유하는 것으로 나누어졌는데, 지속적으로 진월동 경유 차량은 감차당하고 있다. 위치는 남구 동성고 입구.
  • 송정 정류소
문장, 영광군, 무안공항 방면 시외버스가 정차한다. 위치는 광산구 송정지하차도와 송정공원역 사이.
  • 광주송정역 환승센터
영광군, 광주전남혁신도시, 목포시, 해남군, 완도군 방면 시외버스의 일부가 정차한다.
  • 운암동 정류소
장성군, 고창군, 정읍시, 부안군, 전주시 등으로 가는 시외버스가 정차한다. 간혹 일부 고속버스 노선이나 여수·순천발 광주행 일부 버스들의 중간 하차 정류장으로 쓰기도 한다. 위치는 북구 문화예술회관 입구.
  • 문화동 정류소
담양군, 남원시, 곡성군, 순창군, 구례군, 순천시, 여수시[23] 등으로 가는 시외버스가 정차한다. 이름과 달리 두암동에 있다. 위치는 북구 무등도서관 근처.
호남고속도로 상에 있다. 하차 전용으로, 서울(센트럴)발 광주행 고속버스와 수원발 광주행 고속버스가 정차한다.

6 택시

2023-08-03 20:51:55 현재 중형택시가 2800원이며, 모범택시는 3200원이다.
  1. 서울행 기준 고속버스 이용객이 KTX의 2배를 상회한다.
  2. 이 구간 때문에 호남지역에서 호남고속철도 개통전 서대전역 경유를 결사 반대하였다.
  3. 이는 전적으로 경부고속선경부선 서울역~금천구청역 선로용량 문제에 기인한다. 현 KTX는 서울역/용산역에서 출발하여 금천구청역까지는 기존 경부선을 타고 온 다음 금천구청역~광명역 간 연결선을 통해 경부고속선으로 진입한다. 서울~금천구청역 구간은 KTX 뿐만 아니라 새마을호, 무궁화호 등도 이용하기 때문에 함부로 KTX를 증편할 수 없다. 또한 경부고속선이라고 상황이 좋은 것은 아닌데 오송역까지는 광주송정/목포 방면 열차뿐만 아니라 부산, 마산, 진주, 포항, 여수엑스포행이 전부 동일 구간을 경유하기 때문이다.(그나마 여수엑스포행은 대부분이 광주송정/목포행과 병결운행하지만) 그래서 수요가 부족하다고 바로 증편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4. 정부에서는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서울 강남 수서역 착발의 수도권고속선을 건설하여 경부고속선의 수요를 분담하고 기존 경부고속선의 경우 금천구청역에서 서울역을 거쳐 수색역까지 연장하며, 서울역/용산역과 수서역 착발의 열차가 공유할 평택~오송역 구간은 복복선화 하려 하고있다.
  5. 2012년 기준.
  6. 광주 1호선이 주요 상권이나 광주의 핵심시설들(전남대학교, 유스퀘어, 광주역, 야구장, 주거지역 등)을 거의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
  7. 부산종합버스터미널행 18회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행 26회
  8. 2000년대 초반 광주역 등의 중심지와 주요 주거지를 지나는 경전철을 만들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9. 광산IC, 산월IC, 동림IC, 서광주IC, 용봉IC, 동광주IC, 문흥JC.
  10. 운수IC, 서광산IC.
  11. 문흥JC. 2015년 88올림픽고속도로의 확장공사를 마치면서 기점을 고서JC에서 문흥JC로 변경했다.
  12. 광주광역시를 지나는 나들목은 없지만 광주의 관문 역할을 하는 북광주IC가 광주 시계 바로 위에 있고 북광주IC 부근~담양군 봉산면 부근 약 2.6km가 광주를 지난다.
  13. 웹지도의 경우 천변좌로 쪽으로 안내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되면 거리가 증가한다.
  14. 광주대구고속도로 경유 시 구례군청 86.64km. 4차로 확장이 완료되면 곡성에서 국도 타는 것보다 더 빠를 듯 하다.
  15. 기준은 덕림교차로에서 보성강로로 진출. 보성 주민들이 잘 이용하는 경로로, 광우고속 광주~보성 직통도 이 경로를 이용.
  16. 518번, 1187번, 419번 제외. 419번은 금남 56번 노선이 이름만 419번으로 바뀌었다.
  17. 초등학생이나 중고등학생들이 요금을 넣으면 어른 요금에 미달되어 기사가 조작할 때까지 계속 "요금이 부족합니다." 라는 말을 해댄다. 문제는 정말 1초의 딜레이도 없이 뱉어내서 듣는 사람이 굉장히 짜증난다. 한번 들어보면 이해하게 된다. 기사가 조작하면 언제 그랬냐는 듯 "감사합니다."라고 바뀐다. 이중인격?
  18. 현재 구 시외터미널자리에 롯데 백화점이 있는데, 장소가 5거리를 옆에 끼고있는 데다 그중 절반이 2차선이다.
  19. 당시에는 광주고속(현 금호고속), 중앙고속 터미널이 분리되어 있었다. 둘 다 광주역에서 한 블록 정도 떨어진 곳에 자리잡고 있었다. 이 영향으로, 광천터미널 고속버스 매표소에서는 유스퀘어 리모델링 직전까지도 중앙고속 매표소가 따로 있었다.
  20. 평일 낮 시간대 배차간격이 5분, 시내버스의 가장 짧은 배차간격이 7분이다.
  21. 광주대구고속도로 확장 이전에는 동대구까지 3시간 40분이 걸렸다.
  22. 광주시내로 들어올 때 소태역 - 학동 순으로 진입한다. 나갈 때는 그 반대.
  23. 순천, 여수행은 아침시간대만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