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32

미국의 제트전투기
1940년대FH 팬텀FJ-1 퓨리F-2 (F2H 밴시)F9F 팬서F-86 세이버F-84 썬더제트F-80 슈팅스타F6U 파이어릿
1950년대F-89 스콜피온F-94 스타파이어F-9 쿠거F-10(F3D)
스카이나이트
F-100
슈퍼 세이버
F-1(FJ-2/3)
F7U 커틀러스F-1E(FJ-4)F-7 (F2Y)
씨다트
F-11(F11F)
타이거
F-3(F3H)
데몬
F-102
델타 대거
F-6(F4D)
스카이레이
F-8(F8U)
크루세이더
F-101
부두
F-104
스타파이터
F-105
썬더 치프
F-106
델타 다트
1960년대F-4(F4H)팬텀 IIF-5 프리덤 파이터 / 타이거 IIF5D 스카이랜서YF-12F-111
1970년대F-14 톰캣F-15 이글F-16 파이팅 팰콘YF-17 코브라
1980년대F-20 타이거 샤크F/A-18 호넷
1990년대YF-23 그레이 고스트
/블랙 위도우 II
F-22 랩터F/A-18E/F 슈퍼호넷
2000년대F-35 라이트닝 IIX-32
2010년대F-15SE 사일런트 이글
2020년대F/A-XX
항공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연합군
독일 제국
전간기
프랑스
2차 세계대전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이탈리아 왕국
소련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스위스
태국
프랑스
제트전투기
미국
러시아
프랑스
유럽
아시아
보잉항공기
민항기
-협동체광동체
쌍발기B717 · B737 · B757B767 · B777 · B787
3발기B727-
4발기B707B747 · B2707
군용기
전투기P-26 · F-15SE
전자전기EA-18G
폭격기B-17 · B-29 · B-47 · B-52
수송기C-135 · VC-137 · VC-25 · C-32 · C-40
조기경보기E-3 · E-6 · E-8 · E-737 · E-767
공중급유기KC-97 · KC-46 · KC-135 · KC-767
대잠초계기P-8
ABLYAL-1 · NHK-135
기타X-32 · E-4 · YC-14
헬리콥터
군용CH-46 · CH-47
보잉의 1954년 이전 주요 모델
B247 · B307 · B377


640px-Boeing_X-32B_Patuxent.jpg
640px-USAF_X32B_250.jpg
적을 죽이며 싱글벙글 웃는 싸이코

1 개요

 :D
Boeing X-32
보잉사가 JSF사업을 위해서 제작한 기술개념실증기.

2000년 9월 18일 첫 비행을 실시하였다.

JSF 사업(Joint Strike Fighter Program)에서 미국의 보잉사가 개발했다. 일단은 이쪽도 가능한 수준 내에서 최대한 미 공군/미 해군/미 해병대영국 해군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도록 설계/개발되었다.

경쟁사인 록히드마틴이 성능을 위주로 X-35를 개발하였다면, 이쪽은 가격이 저렴한 기체로 승부를 걸었다. 그러나 미 국방부는 2001년 10월 26일 JSF사업의 최종승자로 X-35를 선택하였다.

2 스펙

길이: 15.47m
넓이: 10.97m
높이: 5.28m
엔진: 프랫&휘트니 F119 터보팬 엔진
최고 속력: 마하 1.6
승무원: 1명

3 JSF 사업

미 국방부가 저가형에 대량 생산이 가능한 다목적 스텔스기를 요구하며 JSF (Joint Strike Fighter Program)을 공고했을 때, 어느정도 고성능에 적절한 가격대의 기체를 추구한 록히드 마틴과 달리, 보잉은 탈냉전이 한창이기 때문에 가격이 높은 고성능 기체는 당분간 큰 매력이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으며, 각국의 군비 축소 과정에서도 무리없이 전투기를 구매하여 대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가격이 매우 저렴한 그리고 웃는 기체로 승부를 걸었다. 그리고 결과물로 나온 것이 X-32.

X-32는 일반형인 X-32A와 수직 이착륙기인 X-32B 두 종류로 개발이 되었다.

3.1 가격을 줄이기 위한 노력

보잉사는 기체의 가격을 줄이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가했다. 일반적인 전투기처럼 동체에 날개를 양 옆으로 붙이는 설계가 아니라, 주익을 하나로 크게 만들고 그 중심에 동체를 붙이는 설계를 채택하여 마치 전투기를 찍어내듯 간단하게 생산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보잉에서는 주익에 동체를 붙입니다! 그리고 웃는 외형 이외에는 크게 모험을 시도하려 하지 않고, 기존의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일례로 X-32B는 AV-8 해리어의 수직이착륙 방식을 거의 그대로 사용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직접 분사 방식을 사용하여 기체 내부 구조를 단순화하였다. 이 때문에 엔진이 정면 노출되어 스텔스 성능이 치명적인 수치로 떨어질 수 밖에 없었으나, 보잉이 오랜 기간 개발한 '레이더 블로커'를 엔진 팬 바로 앞에 설치해둠으로서 완전히 스텔스 특화 설계된 X-32 수준으로 RCS를 낮추는데에 성공하였다.[1]

결정적으로 X-35처럼 A/B/C 형식의 구분없이 간단한 부품만 교환하면 되는 엄청난 장점이 있었으며, 덕분에 간단한 부품 교체를 통해서 초음속 기동부터 수직착륙까지 다 해내는(!) 엄청난 장점이 있었다.

4 문제

일단, 너무 못생겼다.
혁신성과 어느정도의 성능을 희생하고, 기존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가격까지 줄였으나(...) 혁신성을 너무 희생해버린 탓에 오히려 발목이 잡히고 만다. 바로 기존 기술을 그대로 활용한만큼, 기존의 문제가 그대로 따라오거나 더 커져버리는 치명적인 사태가 발생했던 것이다. 가장 크게 타격을 입힌 것이 수직이착륙 버전의 결함으로, 기존의 안정적인 기술을 이용하는 것까지는 좋았는데, 덕분에 기존에 헤리어가 가지고 있던 결함까지 그대로 나타났다.

더불어 X-32의 실제 양산기는 실험기인 X-32와는 많이 달라질 예정이었다. 가장 큰 부분은 수평 꼬리날개의 추가인데, 이는 X-32가 한창 제작되던 와중에 미 해군에서 요구사양을 변경한 탓이다. 물론 이는 미 해군이 요구사양을 뒤늦게 변경하여 생긴 문제이지 보잉의 문제는 아니었기에 이 부분에 대해 평가점수를 낮게 줄 일은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렇게 말은 해도 미군이 어찌되었건 가장 싫어하는 일중 하나가 눈에 띄는 형태 변경이기 때문에, 애초에 이 말을 곧이 곧대로 믿는 이는 없었다고한다(...).

하지만 이것을 평가에 반영하지 않는다고 해도 X-32는 이 외에도 여러 부분에서 양산형은 형태가 바뀔 예정이었다.[2] 대표적인 부분이 공기흡입구로 STOVL은 이착륙시나 호버링 비행시 공기흡입구 위치 등이 변할 예정이었다. X-32 사진을 보면 사진에 따라 공기흡입구 모양이 다른 것은 이 때문으로, 가동형으로 만들지 않고 시험 항목에 따라 탈착하도록 만들었다. 덕분에 X-32 실험기는 STOVL 모드로 이륙하면 초음속 비행을 할 수 없었다.[3]

또한 스텔스기답지 않게 엔진이 바로 정면에서 보이는 디자인 때문에 말이 많았는데, 보잉은 이 부분에 전파흡수물질을 왕창 바른 일종의 고정형 팬, 즉 레이더 블로커를 설치하는 것으로 해결하겠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이에 우려를 가하는 전문가들의 말이 아주 많았으며, 장기적으로 스텔스 성능에 한계를 보일 것으로 많은 이들이 예측하였다.

X-32의 내부무장탑고는 동체 측면에 각각 1군데씩 있었으며, 무장 투하 방식면에서 F-22에 적용된 기술을 활용한 X-35와 달리 X-32는 좀 더 전통적인 방식을 택하였다. 즉 X-32는 일단 무장을 동체 외부로 꺼낸 다음 최종적으로 투하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이는 무장이 투하될 때, 동체 내부에 있다가 갑자기 동체 바깥쪽으로 사출되면서 동체 내/외부의 전혀 다른 공기흐름 차이 때문에 기술적인 어려움이 따른다는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다만 무장발사에 걸리는 시간이 약간이나마 더 걸렸으며, 대형 폭탄이나 미사일 등의 장착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우려되었다. 또한 확장성에도 치명적이었을 것이라는 말도 있다.

4.1 수직이착륙 문제

파일:Attachment/X-32/X32.jpg

X-32의 수직이착륙 시스템의 개념은 해리어의 그것을 계승하였다고 평가되는데, 이는 수직이착륙을 위한 구성파트를 최대한 줄인다는 개념으로부터 기인하고 있다. 단거리이륙/수직착륙 시에는 후방의 배기구노즐을 막거나 최소화하고 대신 동체 중앙 부근에 있는 단거리이륙/수직착륙용 배기노즐을 사용한다. X-35가 단거리이륙/수직착륙을 위한 별도의 리프트팬이 필요한 것과 가장 다른 것이 이 부분이다. 다만 아래쪽으로 향한 배기노즐에서 뿜어져나온 뜨거운 공기가 지면에 반사되어 다시 앞쪽의 공기흡입구로 재흡입되는 것을 최대한 막기 위해 제트 스크린이라는 별도의 노즐을 추가하였다. 여기서는 연소실을 거치지 않은, 전방 팬 만을 거친 비교적 찬 공기가 뿜어져나와 일종의 에어커튼 역할을 한다.[4]

아무래도 보잉은 AV-8 해리어라는 단거리이륙/수직착륙기를 만들어본 경험이 있는지라 여기서 얻은 노하우를 최대한 활용한 셈이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 아래로 향한 배기가스가 공기흡입구쪽으로 재흡입되는 문제를 완전히 막지 못했다. 대략 3~5m 높이에서 발생해서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엔진이 오버히트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5]

또한 X-35가 연료탱크의 용량을 축소하고 고정무장인 기관포를 없애는 것을 통해 리프트팬을 장비하기 위한 내부공간을 확보하는 설계를 채용한 것과 달리, X-32에서는 웨폰베이의 탑재량을 축소하여 수직이착륙에 필요한 장비를 설치하는 설계를 채용하고 있었는데 이것 역시 문제로 여겨졌다고 한다. 연료탑재량의 감소는 공중급유를 통해 보충할 수 있고, 기관포를 내장하지 않는 것도 외부 건포드를 장착해서 해결할 수 있지만, 웨폰베이의 무장탑재량을 축소시키는 것은 그런 식으로 보완하기가 어렵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5 양산되었다면 어떻게 되었을까?

성능이나 혁신 등의 부족함을 제외하고, 어찌되었건 기존의 기술의 사용하면 양산성과 비용이 절감되는것은 확연했기 때문에, 한참동안의 F-35 삽질을 보고 있노라면 보잉을 선택하는게 가격이나 양산속도, 성능 등이 나았을지도 모른다는 이야기도 있기는 하지만(...) 개발 과정부터 삽질의 연속이었던 X-32가 실제로 그랬을지는 미지수다. F-35를 봐도 알겠지만, 프로젝트란게 어디서 어떤 난관이 나올지는 아무도 모르는 법이다.

좀더 깊이 있게 따져보면 X-32는 실제 제안된 항공기는 상당부분 형상이 바뀔 예정이었고, 기술개념실증기였던 X-32 자체도 기술적인 부분에서 이런저런 문제에 시달린건 마찬가지다. 심지어 X-32는 만들기는 먼저 만들어놓고, 이리저리 문제가 터지면서 후반부로 가면서 X-35에게 일정이 역전되어버리기도 했을 정도이니(...) 즉 단순히 기존 기술을 최대한 활용한 탓에 기술적 혁신성 부분에서 밀린다는 이유만으로 탈락된 것은 아니다.[6] 당장 탈락 이유 중 하나가 단거리이륙/수직착륙 기능에서의 그들이 활용했다는 안정적인 기존 기술로 인한 기술적 문제였다.

전문가들도 차라리 X-35를 선택해서 F-35를 만들었기에 이 정도까지라도 온 것이지, X-32를 선택했다면 성능과 가격과 외형을 모두 다 놓친 기종을 받아들게 되는 끔찍한 상황이 발생했을 것이라고 언급할 정도다.

파일:Attachment/X-32/F32 01.jpg

▲ 양산형 X-32 (가칭 F-32)의 목업

파일:Attachment/X-32/F32 02.jpg

▲ 양산형 X-32 정면모습 CG 아악...[7]

6 전투기계의 옥동자(...)

세상사는데 웃는것만으로는 안되는 일도 있다는걸 보여준 산 증인.

X-32가 불합격 처리를 당했을 때, 공군 관계자들은 이 결정에 기뻐하는 기색이었다. 아니나 다를까 그 이유가 "입 큰 개구리는 싫다!"라는 것(...).
디자인상으로도 미국이나 타 국가에서도 X-32는 추남 취급을 받는다. 공기 흡입구의 언발란스함과 균형이 안맞아보이는 외양이 탓에 개구리펠리컨으로도 불렸다.

165056_HeutesoaufLS_1.jpg
애해해해해해[8] 아헤가오
밀덕계에선 X-32가 제식 전투기가 되었다면 웃는 전투기(F-32)가 웃는 미사일(SLAM-ER)을 쏘게 됐을 것이라며 농담을 하기도 했다.
대략 이런 느낌? 그리고 웃다 죽은 캐릭터

여담이지만 이 X-32가 선정되어 F-32로 실전배치되었을 경우 그 이름은 F-32 머스탱 II가 되었을 것이라는 설이 있다. 제2차 세계대전한국전쟁 등에서 대공, 대지 양면으로 활약했던 P-51 머스탱의 후계라는 의미에서라고 한다.[9]

다만 보잉 내부에서는 X-32 프로젝트에 대해 '모니카'라는 이름을 사용했다고 한다.겉모습과는 다르게 예쁜 이름! 더 웃긴 건 X-32가 시험 비행 조종사들 사이에서 큰 입 때문에 '르윈스키'(빌 클린턴 대통령과 스캔들이 났던 그 모니카 르윈스키 맞다!)라는 별명으로 더 유명했다 했다는데, 사내 기술진들이 그 영향을 받아 이러한 이름을 지었던 모양이다. 여러모로 뒤숭숭한 뒷배경이 깔린 이름(…).

7 매체 속의 X-32

  • 만화 비행고등학교 - 일명 패배자 클럽의 패배자 2. 불우한 처지에 놓였지만 항상 웃음을 잃지 않는 강한 마음을 가진 캐릭터(...) 라기보다는 무슨 기분이건 일단 웃는 얼굴 자체가 디폴트인 듯하다. 덕분에 '미소천사'라고 불린다. 스토리 외에도 배경으로 종종 등장하며, 항상 YF-23과 둘이서 교실을 청소하고 있다. 함내청소요원 취급을 받지만, 그래도 일단 5세대 패밀리의 일원이다.
  • 전략시뮬레이션 게임 액트 오브 워확장팩 하이트리즌 캠페인에서 컨소시엄의 스텔스함 시 섀도우의 함재기로 등장한다.
  • 나지카 전격작전 8화에서는 '오보로' 라는 이름의 차세대 전투기로 나와며, 에어쇼에서 강탈당한다.
  • 액트 오브 어그레션에선 카르텔 진영의 주력 전폭기로 출현한다근데 미군에는 F-35가...
  • 전투요정 유키카제 의 F/A-27과 턱이 닮았다;;

8 관련 항목

  1. 이 발달된 레이더 블로커 기술은 이후 JSF 탈락 뒤에도 보잉은 아주 잘 써먹고 있다. 현재 내세우고 있는 F-15SE나 F/A-18 인터내셔널 호넷등 비 스텔스기를 스텔스기로 개조화하는 핵심 기술이 바로 이 레이더 블로커 기술.
  2. 물론 X-35도 F-35로 넘어가면서 많은 부분이 바뀌었지만, 그래도 기본적인 토대 안에서 개량을 거친 수준이기에 문제가 없었던 것이다. X-32는 정말 많이 바뀌어야 할 처지였다.
  3. 반면 X-35는 리프트 팬 기술을 성공시키고, 이에 고무되어 수직 이착륙과 초음속 비행을 한번에 함은 물론 테스트 비행장에서 워싱턴까지 의원들과 장성들 눈앞에서 왕복하면서 완전히 결정타를 먹여버린다.
  4. 해리어도 4개의 노즐 중 전방 2개의 노즐은 팬에서 나온 찬공기만 배출되는 노즐이고 배기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막는 역할 한다. X-32와의 차이점은 해리어는 이 전방 노즐이 실추력도 담당한다는 것.
  5. X-35는 배기구가 좀 더 뒤쪽에 있는데다가, 전방의 강한 바람을 일으키는 리프트 팬이 더 확실하게 배기가스가 앞쪽으로 반사되는 것을 막아주었다.
  6. 또한 군이라는 조직은 기본적으로 혁신성보다는 안정성을 더 중시하며, 오히려 기술적인 혁신성을 추구하는 X-35가 점수가 깎이면 깎였을 것이다. X-32의 문제는 안정성을 추구하기 위해서 혁신성을 희생하기까지 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X-35에 비해서 안정성이 딱히 오르지 못했다는 점에 있었다. 실로 안습.
  7. 터보팬이 보이는 건 좋은데, 아무래도 위치가 위치다보니 더 괴상망측하다.
  8. 못생긴 외모와 웃는 모습 때문에 과거 개그맨 정종철이 봉숭아학당에서 맡은 캐릭터 옥동자를 연상시키는 밀덕이나 항덕 몇몇도 있었다고.
  9. P-51의 원 제작사인 노스 아메리칸사는 이후 미국 방위산업체들의 합병과정에서 사라져 버렸고, 20세기 말 시점에서는 X-32의 제작사인 보잉이 먹어버린 모양새가 되었다. 이 때문에 P-51 머스탱에 대한 상표권은 보잉이 행사하고 있다. 2010년대 들어서 생산된 P-51 프라모델 중 일부를 살펴보면 보잉사로부터 상표 허가권을 받았다는 표시가 들어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