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 站 | 이체자 | (동일) | 간체자 | (동일) |
뜻 | 역마을 | 소리 | 참 | 立부 5획 | 총획수 10획 |
유니코드 | 7AD9 | 급수 | 1급 | 교육용 한자 아님 | 인명용 한자 |
중국어 병음 | zhàn | 주음부호 | (주음부호) | 창힐수입법 | YTYR(卜廿卜口) |
일본어 음독 | タン | 훈독 | じっとたつ[1] | (일본어 상용한자) | n학년 |
1 개요
'역마을 팜참'이라는 글자이다.
2 용례
중국에서는 '역'이란 뜻으로 驛 대신 이 한자를 쓴다.
국어사전에서는 새참 등 뒤에 '참'자가 들어간 글자에 이 한자를 차용한다고 한다.
주로 인터넷 상에서 '팜'이라는 글자를 대용해서 사용한다. '팜'과 站이 모양상으로 유사하기 때문이다. 이는 바람에서 채팅만으로 NPC와 물건거래가 가능해서, 이를 방지하려고 쓴 것에서 유래된 걸로 보인다.그런데 정작 맞춤법은 '팖'이 맞는 표현이다. 특히 게임 카페 거래게시판이나 자유시장 등에서 쓰인다.
ex) +7 노목 站, 렙 70 남귀검 站, 사람站 애니站 광주站이 부럽다던 선동열, 광주 站.
반대로 '삼'이라는 표현을 할 때는 人占, 佔 등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2.1 단어, 고사성어
대표적인 단어로 역참(驛站) 등이 있다. 조선시대만 했어도 이 한자는 많이 활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 외에도 배참(排站), 병참(兵站) 등에도 쓰인다. 참고로 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의 보급고의 대판/중국판 번역명이 補給站/补给站(보급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