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동족어

1 개요

가짜동족어(false friend)[1][2][3]는 두 언어에서 서로 겉모습이나 어원이 같거나 닮았으나, 그 의미가 매우 다르거나 비슷하더라도 미묘한 차이를 지니는 낱말이나 어구의 짝을 말한다.

  • 한자 : 假짜同族語
  • 영어 : false friend
  • 중국어 : 同形异义词(Tóngxíngyìyìcí)
  • 일본어 : 空似言葉(そらにことば)

2 언어

가짜동족어임을 인식못하고 번역하거나 직역하면 오역을 낳거나 문장을 이해하는데 오해가 생길 수 있으며, 심할 경우 아예 의미가 제대로 통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가짜동족어는 언어 사이뿐 아니라 같은 언어에서 유래한 방언 사이에도 존재할 수 있다. 심지어는 한 언어 내에서도 생길 수 있는데 이는 동음이의어로 따로 분류한다.

외국어에서의 차용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의미가 변하거나, 전혀 계통적으로 다른 단어가 우연히 형태가 일치하거나, 같은 언어에서 갈라져 나온 동계어의 의미가 서로 다르게 발전되는 경우로 나뉜다. 이 마지막 경우는 주로 로망스어군이나 게르만어파같은 동일계통의 제어에서 자주 보인다.

겉모습과 뜻이 같거나 비슷하고 어원이 서로 무관한 경우는 가짜동계어(false cognate)[4]라고 한다. 다만 가짜동족어는 오히려 진짜 동계어[5]인 경우도 많다. 발음상의 가짜동족어는 몬데그린이라고 따로 분류한다. 아래에 기술된 항목중 다수는 몬데그린에 속한다. 가짜동족어는 해석상에서 오류가 일어날 수 있는 단어들을 일컫는데 사용된다.

시중의 '영어 암기법' 류의 책들이 이런 가짜동족어를 활용하고 있다. 심지어 이것을 활용해 영어가 한국어에서 기원했다고 주장하는 환빠스러운 서적도 있다.#[6]

3 예시

파일:Attachment/가짜동족어/diediedie.png
위 이미지의 문구는 네덜란드어다. 네덜란드어로는 die[7]가 "이것,어느"이므로 "엄마 이거, 이거, 이것 좀..."이라는 뜻인데 영어로는...리퍼? 죽어 죽어 죽어

3.1 단어

3.1.1 같은 어원이지만 다르게 사용하는 경우

이전에 있던 항목은 발음이 같거나 비슷한 경우인데 이는 몬데그린에 속한다. 주로 불가타 라틴어를 기반으로 한 로망스어 계열에서 자주 나타나고, 언어의 사회성에 따라 단어에 다른 뜻이 덧붙여지거나 변하는 경우도 있다.

  • rare (영) - raro (스) : rare은 귀한, 드문 이란 뜻이지만 raro는 경우가 드물어서 이상한, stranger에 해당한다. (광주 지역에서 '희박하다'를 '특이하다'라는 뜻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3.1.2 철자가 같거나 비슷한 경우

이 경우 대개 발음은 다르다. 몇몇의 경우는 몬데그린에 해당한다.

  • air : 영어로 '공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지만 인도네시아어로 '물'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인도네시아어 발음은 '아이르'에 가깝다.
  • assistir : 스페인어로는 '참석하다'라는 의미이지만, 포르투갈어로는 '보다'라는 의미이다.
  • anda : 인도네시아어로는 '당신'을 의미하지만あんた?,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로는 andar의 3인칭 단수 변화형, 한국어로는 '알고 있다'라는 의미이다.
  • angel : 영어로는 '천사'지만 독일어로는 '낚시' 또는 '낚싯대'라는 뜻이다. [8] 독일어로 천사는 Engel(엥엘)이라고 쓴다.
  • ape : 영어로는 '원숭이'를 뜻하고 이탈리아어로는 '꿀벌'을 의미한다. 읽는 법도 '에이프 (영어)'와 '아페 (이탈리아어)'로 각각 다르다. 이탈리아어로 '원숭이'는 scimmia.
  • ben : 네덜란드어로는 zijn의 1인칭 단수 변화형이지만, 터키어로는 '나'라는 뜻이다.
  • bill : 영어로는 '고지서', '지폐', '무기(!)' 라는 의미이나, 프랑스어로는 '법안'이라는 의미이다. 다만 영어에서도 bill이 법안을 의미하는 경우도 많다. Bill of Rights라던가. 발음도 거의 같다.
  • but : 영어로는 '그러나'라는 접속사로 쓰이지만, 프랑스어로는 '과녁', '목표'라는 의미이다. 축구에서 골을 말할 때도 쓰인다.
  • camera : 이탈리아어로는 방을 뜻하고 영어로는 사진기를 뜻한다.
  • coin : 영어로는 '주화'를 뜻하나, 프랑스어로는 '모서리', '구석진 곳'을 뜻한다.
  • chat : 영어의 "챗"은 '수다'라는 뜻이지만 프랑스어의 "샤"는 '고양이'라는 뜻이다. 우리나라에서는..더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영어의 chat이 프랑스어에 그대로 전해진 것도 있다. 이 경우 발음도 "샤"가 아닌 "찻"을 쓴다.
  • chanel: 프랑스어로 '샤넬'(브랜드 명인 그 샤넬이 맞다)은 영어의 '해협' tv채널의 뜻을 가진 channel 과 비슷해서 그로 인한 짝퉁이 많기도 한다.
  • chair : 프랑스어로 , 영어로 의자.
  • college : 먼나라 이웃나라에서 등장해서 아는 위키러가 꽤 많을 법한 사례. 영어로는 '단과 대학/전문 대학'일상적으로는 대학생활 전반, 프랑스어로는 '중학교'. 단 프랑스어는 e의 위에 액센트가 붙어서 collège라고 쓰니 그걸로 구별하자. 다만 어원은 똑같다. 그리고 홍콩의 중고교는 교명의 영문 명칭에 college를 쓰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는 프랑스어 collège와 같은 용법이 된다.
  • come : 영어로는 '오다'라는 의미로 쓰이지만, 스페인어에서는 comer의 3인칭 단수 변화형이다.
  • consul : 라틴어에서 쓰일 때는 로마 짱먹는 '집정관'이지만, 영어에서는 주재국의 교민 관련 업무와 통상업무를 수행하는 외무공무원인 '영사'를 가리킨다. 플스나 엑박이 아니다!
  • das : 독일어에서는 중성명사를 나타내는 정관사이지만, 스페인어로는 dar의 2인칭 단수 변화형이다.
  • datum : 라틴어에서는 자료[9]를 뜻하지만, 한국어로는 싸움을 뜻한다.
  • de :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로는 '~의'라는 의미이지만, 터키어로는 '~도, ~에서'라는 의미이다. 또한 일본어 で는 '~로써, ~에서'라는 뜻이다.
  • den : 독일어에서는 남성 3격 정관사이지만, 터키어에서는 '~에서'란 의미이다.
  • di : 이탈리아어로는 전치사 '~의'를 의미하지만, 인도네시아어로는 위치를 나타내는 '~에'를 의미한다.
  • do : 영어로는 '하다'라는 의미이지만, 포르투갈어에서는 de와 정관사 o이 합쳐진 형태이고, 폴란드어로는 '~까지'라는 의미이다.
  • elf : 영어로는 '요정', 독일어로는 '11'.[10] 열한개의 사슬 편지
  • es : 스페인어로는 ser의 3인칭 단수 변화형이지만, 독일어로는 '그것'을 의미하는 대명사이다.
  • estate : 이탈리아어로는 여름을 뜻하지만 영어로는 사유지를 뜻한다.
  • fine : 영어로는 형용사로 '훌륭한', 명사로 '벌금' 이라는 뜻이지만 이탈리아어 '피네'는 작품의 '끝'이라는 뜻이다[11]. [12] 둘 다 어원은 "끝"이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finis이다.
  • gift : 영어에서 쓰일 때는 '선물'이지만, 독일어에서는 '(毒)'이다. 미국인: 선물 줄게. 독일인: 뭐를? 독을? 나치 독일의 홀로코스트 당시 찍힌 가스 원액 캔에 쓰여있던 "GIFTGAS"는 당연히 선물독가스라는 뜻이다! 독일어로 선물은 Geschenk. 이걸 잠재우는 공주에게서의 선물에서 써먹었다.
  • hasta : 스페인어에서는 '~까지'라는 의미이지만, 터키어로는 '아픔, 환자'라는 의미이다.
  • he : 영어로는 3인칭 대명사 '그'를 의미하지만, 스페인어로는 haber의 1인칭 단수를 의미한다.
  • just : 영어에서는 '막', '단지', '그냥' 정도의 뜻이지만, 스웨덴어에서는 '올바른', '정의로운', '정확한'의 의미다. 발음은 '유스트' 정도. 다만 영어에서도 부사가 아닌 형용사로 쓸 때는 스웨덴어에서와 상이한 뜻으로 쓰인다.[13]
  • kappa : 이탈리아어와 그리스어로는 글자 이름, 일본어로는 물에 사는 요괴.
  • kim : 한국어로는 한국인 성씨의 하나, 영어로는 킴벌리의 애칭으로 쓰지만[14] 베트남어로는 바늘이라는 뜻이고, 터키어로는 누구를 의미한다. 1루수가 kim이야?
  • leer : 영어로는 '흘겨보다'라는 뜻이지만 스페인어 '레에르'는 '읽다'라는 뜻이다.
  • na: 폴란드어에서는 '~에'를 나타내는 전치사의 일종이지만, 포르투갈어에서는 em과 여성 정관사 a가 합쳐진 말이다. 한국어로는 1인칭의 일종.
  • no: 영어, 스페인어로는 '아니오'를 의미하지만, 포르투갈어로는 em과 남성 정관사 o가 합쳐진 말이다. 일본어로는 '~의'라는 의미이다.
  • ni: 중국어로는 '당신, 너'를 의미하지만, 에스페란토에서는 '우리'를 의미하고, 일본어로는 '둘, 이(2)'를 의미한다.
  • main : 영어로는 '주요한'을 의미하지만, 프랑스어로는 '손'을 의미한다.
  • mais : 프랑스어로는 '그러나'를 의미하지만, 포르투갈어로는 '더', '더욱'을 의미한다.
  • meong : 한국어로는 강아지 울음소리나 흉터를, 영어로는 고양이 울음소리를 가리킨다. 발음은 각각 , 미옹.
  • mono : 영어로는 '단일 채널 음원'을 뜻하나, 스페인어로는 '예쁜' 또는 '금발이 있는'이라는 의미다. 그리고 일본어로는 사람, 이라는 뜻의 다의어이다.
  • moran : 한국어로는 꽃의 일종, 켈트어로는 '큰 사람'을 뜻한다.
  • nemo : 한국어로는 변과 각이 4개인 도형을 가리키며, 라틴어로는 '아무도 ~ 않다'라는 뜻이다.
  • oi : 일어로는 '이봐'를 뜻하지만[15], 스페인어로는 오늘(hoy), 포르투갈어로는 '안녕'이라는 의미이다. 한국어로는 채소의 일종을 뜻한다.
  • OK : 영어로는 '좋다'라는 뜻으로 쓰이나 터키어로는 '화살'이라는 뜻이다. 에스페란토로는 8.
  • once : 영어로는 '한 번', 스페인어로는 '11'. 발음은 온쎄.
  • pain : 영어에서 쓰일 때는 '고통'이지만, 프랑스어에서는 ''. 발음도 '페인'과 '뺑'으로 전혀 다르다. 마인크래프트의 스플래시 화면에 이를 이용한 유머 (Bread is pain)가 있다. 프랑스어로 고통은 douleur.
  • pasta : 이탈리아어에서는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의 면식류를 포괄적으로 이르는 말이지만, 터키어에서는 '케이크'를 뜻한다. 터키어로 '파스타'는 makarna라고 쓴다. 또한 독일어에서는 치약 또는 연고를 뜻한다. 여담으로 후자는 파스의 어원으로, 영어의 paste와 같은 어원이다.
  • pays : 영어로는 '돈', '대가', '팁' 등을 뜻하는 pay의 복수형이지만 프랑스어로는 '나라', '지역'을 뜻한다. 끝이 s이다보니 복수형도 pays 그대로. (예: Pays-Bas (뻬이-바) - 네덜란드의 프랑스어 명칭. 낮은 땅이라는 뜻.)이거 분명히 먼나라 이웃나라보고 썼네.
  • physician(영)/physicien(프) : 영어는 '내과 의사', 프랑스어는 '물리학자'. 둘 다 과학 계통 직업이니 비슷하다고 치자. 아니 physician(영)에서 뒤에 ian을 뺀 physic이 물리학이니까 어원은 같은데 physician만 이상하잖아.
  • poison(영)/poisson(프) : 영어에서는 ''이라는 뜻이지만 프랑스어에서는 물고기를 의미하며, 표지판에 써있으면 '낚시금지'라는 뜻. 나이아가라 폭포에 poisson이라는 표지판을 보고 물에 독이 있나 했다는 유명 에피소드가 있다. s 하나 차이지만 영어는 포이즌, 프랑스어는 푸아송이다. 단, 프랑스어에서도 poison은 영어와 마찬가지로 독을 의미하며 발음은 푸아종.
  • recipe(영)/récipe(스) : 영어에서는 '조리법'이지만 스페인어에서는 '처방전'이다. 하지만 영어에서도 잘 쓰진 않지만 처방전이라는 뜻도 있긴 하다.
  • resume(영)/résumé(프) : 위의 college와 비슷한 경우[16]. 영어에서는 '재개하다', '되찾다'는 뜻이지만, 프랑스어로는 '이력서'를 의미한다. 발음도 각각 리주움, 레주메로 현저하게 다르다. 물론 영어에서 résumé를 차용어로 잘 써먹는다.[17]
  • sale : 영어로는 '판매하다'지만, 프랑스어로는 '더럽다'이다.
  • salud : 스페인어로는 '건강'이지만, 프랑스어로는 '안녕'이다.
  • see : 영어로는 보다, 독일어로는 바다 또는 호수.
  • seize : 영어로는 '붙잡다'라는 뜻의 동사인데, 프랑스어로는 '16'이다. 프랑스어로 "붙잡다"는 "attraper"이다.
  • sen : 일본 엔, 브루나이 달러, 캄보디아 리얄, 말레이시아 링깃, 인도네시아 루피야의 보조단위로, 각 단위의 1/100에 해당. 이 가운데 일본 것만 나머지와 어원상 연관이 없다.[18]
  • sex : 영어로는 다들 알고 계신 그것을 뜻하는 단어지만 라틴어로는 '6'이라는 숫자를 의미하는 단어이다.[19]
  • siete : 이탈리아어로 essere 동사의 2인칭 복수형태이지만 에스파냐어로는 7을 뜻한다.
  • sole : 이탈리아어로 '태양'을 뜻하지만, 영어 및 프랑스어에서는 '발바닥'을 뜻한다. 참고로 프랑스어로 그냥 '바닥'은 sol.
  • sort : 영어로는 '정렬하다'는 의미이나 덴마크어로는 '검은색'이라는 의미다.
  • son : 영어로는 '아들'이라는 의미이지만, 스페인어로는 ser의 3인칭 복수 변화형이고, 프랑스어로는 '소리', 또는 3인칭 남성 소유격 대명사이다. 한국어로는 팔 끝에 있는 기관을 뜻한다. 딸을 son으로 치잖아요
  • sue : 영어로는 사람 이름의 하나지만 일본어로는 すえ(한자는 末), 즉 '끝'이라는 뜻이다.
  • Sundae : 한국어로는 돼지 창자에 돼지 피와 당면의 혼합물을 채워 삶은 블랙 푸딩 계열 요리를 가리키는 말이지만, 영어로는 아이스크림의 한 종류를 일컫는다. 당연히 발음이 다르다. 애초에 순대를 아이스크림과 구별하기 위해서 Soondae라고 했으면 됐을텐데
  • war : 영어로는 '전쟁'을 의미하지만, 독일어로는 sein동사의 과거형이다.
  • was : 영어로는 be동사의 과거형이지만, 독일어로는 의문대명사 '무엇'을 의미한다.
  • women : 영어로는 '여자들'이지만, 중국어로는 '우리들'이다.
  • благодаря : 러시아어로는 '~덕분에'라는 전치사이지만, 불가리아어로는 '고맙습니다'를 의미한다.
  • вона : 우크라이나어로는 '그녀'를 의미하고 러시아어로는 화폐단위 '원'을 의미한다.
  • их : 러시아어로는 3인칭 남성복수 대명사 они의 대격 변화형이고, 몽골어로는 '많이'를 뜻한다.
  • за : 러시아어에서는 전치사이지만, 몽골어로는 '네, 그럼'이란 의미이다.
  • нас  : 러시아어에서는 мы의 생격/대격 변화형이지만, 몽골어로는 '나이'를 의미한다.
3.1.2.1 -a-e 꼴의 단어

영어-일본어 대응관계에서 유난히 많이 생기는 케이스의 가짜동족어다. 라틴 문자 스펠링상으로 정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로 정리해둔다. 일본어로는 -아-에 꼴로 모음이 규칙적이나, 영어로는 자음에 따라 모음 발음이 바뀐다.

  • age : 영어로는 나이, 수명을 뜻하지만 일본어로는 튀김이라는 뜻이다.
  • are : 영어에서는 be 동사의 불규칙 활용 중 한 형태, 일본어에서는 '저것'을 뜻한다.
  • ate : 영어로는 '먹었다'의 의미이며, 일본어로는 '닿음', '목표', '방법'을 뜻한다.
  • bane : 영어로는 골칫거리, 일본어로는 스프링을 뜻한다.
  • dame : 영어로는 여사 또는 부인을 뜻하지만, 일본어로는 '안돼', '영 좋지 않음'을 뜻한다. 스페인어로 dame(일본어와 비슷하게 다메라고 읽는다)는 '나에게 주어라'라는 2인칭 명령형이다.
  • dare : 영어로는 엄두를 내다는 뜻이나 일본어로는 누구라는 뜻이다.
  • game : 영어로는 오락, 일본어로는 거북이라는 뜻이다.
  • hare : 영어로는 토끼, 일본어로는 맑음.
  • made : 영어로는 make의 과거·과거분사 형태이며, 일본어는 '~까지'의 의미이다.
  • make : 영어로는 '만들다'지만, 일본어로는 패배를 뜻한다.
  • mame : 영어로는 다기종 에뮬레이터, 일본어로는 이라는 뜻이다.
  • mane : 영어로는 갈기, 일본어로는 흉내를 뜻한다.
  • mare : 영어로는 말 암컷, 다른 행성의 바다를 뜻하지만 일본어로는 드물다는 뜻.
  • mase : 영어로는 '전파를 내뿜다'를 의미하며, 일본어로는 울타리를 뜻한다.
  • name : 영어로는 이름, 일본어로는 미끄러움을 뜻한다.
  • sage : 영어로는 '슬기롭다', 샐비어를 뜻하고 일본어로는 '내려감'을 뜻한다.
  • sake : 영어로는 목적을 뜻하며, 일본어로는 , 연어를 뜻한다.
  • same : 영어로는 '같다'라는 의미이나, 일본어에서는 상어를 뜻한다.
  • sane : 영어로는 제정신이라는 의미이며, 일본어로는 중심부를 뜻한다. 한국어로는 가수의 이름으로 쓰인다.
  • take : 영어에서는 '가지다'라는 의미이나, 일본어에서는 '대나무', '', '죽순'을 뜻한다.
  • tame : 영어로는 '길들이다', 일본어로는 '~를 위한 것', '모아 두는 곳'의 의미.
  • tare : 영어로는 중량을 뜻하지만 일본어로는 늘어트리다라는 의미이다.
  • ware : 일본어에서는 1인칭 표현의 일종이지만, 영어에서는 의복 또는 제품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어밴던웨어, 베이퍼웨어 등).
3.1.2.2 -i-e 꼴의 단어

역시 영어-일본어 사이에서 볼 수 있는 가짜동족어. 일본어로는 -이-에 식으로 발음하며, 영어는 위처럼 자음에 따라 모음의 발음이 달라진다.

  • ire : 영어로는 분노, 일본어로는 '넣는 것'.
  • bike : 영어로는 자전거 혹은 벌집을 뜻하지만, 일본어로는 '꼴등'을 뜻한다.
  • gite : 영어로는 별장, 일본어로는 기수.
  • hire : 영어로는 '빌리다'를 뜻하며 일본어로는 지느러미를 뜻한다.
  • mime : 영어로는 무언극, 일본어로는 외모, 체면이라는 의미이다.
  • mine : 영어로는 '나의 것', '광산'이라는 뜻이나 일본어로는 '봉우리' 또는 '칼등'을 뜻한다.
  • mise : 영어로는 '협약', 일본어로는 가게.
  • shine : 영어로는 '빛나다', 혹은 '빛', 일본어로는 '죽어라'(!!)라는 의미이다. 명탐정 코난에 관련된 에피소드가 있다.
3.1.2.3 -o-e 꼴의 단어

이도 역시 영어-일본어 사이에서 볼 수 있는 가짜동족어. 일본어로는 -오-에 식으로 발음하며, 영어는 여기서도 자음에 따라 모음의 발음이 달라진다.

  • dore : 영어로는 금색, 일본어로는 '어느 것'를 뜻한다.
  • home : 영어로는 을 뜻하며, 일본어로는 칭찬을 뜻한다.
  • hone : 영어로는 연마하다, 일본어로는 를 뜻한다.
  • more : 영어로는 '더 많은', 일본어로는 '빠짐', '물이 샘' 등을 뜻하고, 한국어로는 이틀 뒤를 나타내는 말이다.
  • one : 영어로는 1, 일본어로는 산등성이.
  • ore : 영어로는 광물, 일본어로는 1인칭의 일종.
  • some : 영어로는 '약간', '조금의'를 뜻하나 일본어로는 염색을 뜻한다.
  • sore : 영어로는 고통 또는 질환, 일본어로는 '그것'을 뜻한다.
  • tome : 영어로는 , 일본어로는 '멈춤'을 뜻한다.
3.1.2.4 한자 표기가 있는 단어
  • 연관 문서 : 나라별로 의미가 다른 같은 글자의 한자어
  • 지명
    • 甘田 : 한국 한자어로는 '감전'이라고 읽고, 일본 고유어로는 '아마다'라고 읽는다.
    • 金谷 : 한국 한자어로는 '금곡'이라고 읽고, 일본 고유어로는 '카나야'라고 읽는다.
    • 大田 : 한국 한자어로는 '대전'이라고 읽고, 중국 한자어로는 'dàtián'이라고 읽으며, 일본 고유어로는 오타 또는 오다라고 읽는다.
    • 徳川 : 한국 한자어로는 '덕천'이라고 읽고, 일본어 바코요미로는 '토쿠가와'라고 읽는다.[20]
    • 山本 : 한국 한자어로는 '산본'이라고 읽고, 일본 고유어로는 '야마모토'라고 읽는다.
    • 安平 : 한국 한자어로는 '안평'이라고 읽고, 중국 한자어로는 'ānpíng'이라고 읽으며, 일본 고유어로는 '아비라'라고 읽는다.
    • 仁川 : 한국 한자어로는 '인천'이라고 읽고, 일본어 바코요미로는 '니가와'라고 읽는다.[21]
    • 田浦 : 한국 한자어로는 '전포'라고 읽고, 일본 고유어로는 '타우라'라고 읽는다.
3.1.2.5 한글로 표기
  • 노비타 : 이탈리아어는 '새롭다'라는 뜻이고, 일본어는 보통 '노비 노비타'(노진구)를 가리킨다.
  • 더미 : 한국어는 뭔가가 싸인 것을 가리키고, 영어 dummy는 모조품 등의 뜻이 있다.
  • 동글 : 한국어는 동그라미나 공처럼 생긴 것을 나타내고, 영어 dongle은 USB 메모리 같은 하드웨어의 일종을 가리킨다.
  • 위치(location/position, which, witch)

3.2 문자

야민정음
문자에도 비슷한 예로, 동형이의자가 존재한다. 가짜동형자라고도 하며, 생긴 건 서로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글자일 때. 기본적으로 문자 형태가 간단할수록 형태 중복의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비둘기 집의 원리와 일맥상통한다. 프로그래머들의 주적.

  • -, , —,–, ―, -, ー, ㄧ, 一, ... : 문자 중복류 .
  • 1, |, I, l, ㅣ, ا, ৷, ı, ... : 문자 중복류 2. 프로그래머를 빡치게 만드는 원흉이기도 하다. 이 때문인지 숫자 1을 쓸 때 꼭 위쪽을 꺾는 나라가 있다.
  • ., ·, ㆍ, ۰, ∙, ⋅, ・, ... : 문자 중복류 3.
  • 0,o,ο,о,,٥,ہ,०,৹,ଠ,ഠ,O,○,... : 문자 중복류 4.
  • 더블 하이픈과 등호 : 이쪽은 의심의 여지도 없이 99% 같아보인다. 하지만 이 둘은 엄연히 별개다. 일본어에서 그나마 보이는 편이며, 타 외국어들의 경우에는 사실상 사장되다시피 한 기호에 가깝다. 이외 콥트어, 이누이트어에서만 드물게 쓴다. 일본어에서의 더블 하이픈 용도는 띄어쓰기가 없는 특성상 외국 고유명사를 표기시 장음기호(ー)와의 구별을 위해 단어구분 용도로 쓰는것이다.(ex. ゴチョン゠チキン)[22] 일본어 유니코드상에서의 더블 하이픈은 U+30A0으로 등록되어있으며 픽셀상으로는 반각등호(=)문자와 거의 동일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전각문자로 취급된다.
  • : 이 문자를 한국인은 '키읔'이라고 읽지만 중국인은 한자인 조두 조(刁)라고 이해할 것이고, 일본인은 가나 문자인 'を'의 가타카나체(ヲ)라고 이해할 것이다. 또한 일부 국가에선 숫자 7로도 본다. (7을 7이라고도 쓴다.)
  • 크 : 한자 彐, 카타카나 ヨ와 비슷하다.
  • ㅆ: 이 문자를 한국인은 '쌍시옷'이라고 읽지만 중국인은 따를 종(從)의 간체자(从)라고 이해할 것이다. 위아래를 뒤집어 보면 알파벳의 w와도 비슷하다. 오히려 M과 더 비슷하다.
  • 쓰: 이 문자를 한국인은 '쓰'라고 읽지만 중국인은 떨기 총(叢)의 간체자(丛)라고 이해할 것이다. [23]
  • : 이 문자를 한국인을 /n/(ㄴ)으로, 영어를 포함한 라틴 문자 사용권은 /l/(L)로, 일본인은 /ɾe/(レ)로 읽을 것이다.
  • : 한국인에게 이 문자를 보여주면 '티읕'이라고 이해하지만 라틴 문자를 쓰는 나라 사람에게 보여주면 'E'라고 이해할 것이다. 그래서 높이와 넓이가 똑같은 ㅌ자를 보여주고 'ㅌ인가요 E인가요?'를 묻던 공익광고도 있었다. [24]
  • : 이 문자를 한국인은 '리을'이라고 읽지만, 중국인이나 일본인은 몸 기(己), 혹은 새 을(乙)로 볼 것이고, 대부분의 사람은 숫자 2, 혹은 알파벳 S를 뒤집은 글자 또는 Z로 볼 것이다. 야갤러는 근 으로 볼것이다.
  •  : 이 문자를 한국인은 '치읓'이라 생각하지만, 중국인은 大로, 일본인은 え로 혼동할 것이다.
  • ㅏ : 이 문자를 한국인은 '아'라고 읽지만, 중국인은 점 복(卜)으로 볼 것이고, 일본인은 と의 가타가나인 ト로 볼 것이다.
  • : 한국인은 이 문자를 '미음'이라고 생각하지만, 중국인은 '입 구(口)'자를 떠올릴 가능성이 높고, 일본인은 역시 입 구 자, 혹은 'ろ'의 가타카나인 ロ를 떠올릴 것이다.
  • : 한국인은 '시옷'으로 보지만, 한자 사용권은 사람 인(人) 또는 들 입(入)으로 볼 수 있으며,일본인은 히라가나 ん으로 볼 것이다. 또 그리스인은 람다(Λ, λ)를, 러시아인은 엘(Л, л)의 필기체를 떠올릴 것이다. 또한 라틴 문자 사용권에서 상표 등에 A의 가로선을 빼서 쓰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도 시옷이나 람다 등으로 헷갈릴 수 있다.
  • ス: 한글 '지읒'()처럼 보이는 이 문자는 가나 문자 'す'의 가타카나체로, 모름지기 수(須)의 마지막 3획에서 따 온 문자이다. [25][26]
  • カ: '힘 력 (力)'자 처럼 보이는 이 문자는 가나 문자 'か'의 가타카나체로, '더할 가 (加)'자의 첫 2획에서 따온 문자이다. 모양도 거의 같아서 글의 크기 혹은 맥락으로 구분한다. '두 이(二)'자와 똑같이 생긴 ニ(に)나 '입 구(口)'자와 똑같이 생긴 ロ(ろ), '장인 공(工)'와 똑같이 생긴 エ(え), '재주 재(才)'와 똑같이 생긴 オ(お), '사팔뜨기 먀(乜)'와 똑같이 생긴 セ(せ), 저녁 석(夕)과 똑같이 생긴 タ(た), '땅 이름 마(亍)'와 똑같이 생긴 テ(て), 또 우(又)와 똑같이 생긴 ヌ(ぬ), '비수 비(匕)'와 똑같이 생긴 ヒ(ひ), '점 복(卜)'과 똑같이 생긴 ト(と), '어진사람 인(儿)'과 똑같이 생긴 ル(る)도 역시 같은 방법으로 구분한다.
  • 厶: 새김이 '사사 사' 혹은 '아무 모'인 한자로 부수로 쓰일 때는 '마늘모'라는 이름이 있다. 가타카나에 이것과 모양이 같은 글자(ム)가 있는데 발음은 [mɯ]. 주음부호에도 역시 모양이 같은 글자(ㄙ)가 있지만 발음은 /s/. 구결자 중에도 역시 모양이 같은 글자가 있지만 발음은 /ɨ/ 정도.
  • X : 라틴 문자 '엑스'인데[27], 일본인에게는 メ/me/로 읽힐 수도 있고, 중국인에게는 乂(다스릴 예)자로 보일 수 있다. 곱하기 기호 ×로 혼동할 수도 있다. 러시아인은 이를 Х(하, 정확히는 /x/ 발음)로 읽을 것이다.
  • Р: 러시아어나 그리스어에선 /r/이지만 라틴 문자에선 /p/이다. [28]
  • Н: 이 문자를 한국인은 /e/~/ɛ/로, 로마자를 사용하는 지역 대부분에선 /h/로,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n/으로, 그리스인은 /i/로, 에티오피아인은 /za/로 발음할 것이다. [29] [30]
  • Я: 이 문자는 마치 라틴 문자 'R'을 좌우로 뒤집은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ja/의 음가를 갖는 키릴 문자이다. 그래서 아타리 테트리스의 표기인 TETЯIS는 테트리스가 아니다. 테탸이스[31] 보통 영어 단어를 러시아 뉘앙스로 보이도록 할 때 이런 문자들을 자주 쓴다. 비록 발음이나 사용법은 전혀 다를지라도.
  • コ: 위의 Я와 비슷하게 마치 한글 '디귿'(ㄷ)을 좌우로 뒤집은 것처럼 보이지만 가나 문자인 こ의 가타카나체이다. 그리고 몸 기(己)의 첫 2획에서 따 온 문자다. 또한 ゆ의 가타카나인 ユ와도 혼동된다.
  • Г: 위의 Я와 비슷하게 마치 한글 'ㄱ'(기역)을 좌우로 뒤집은 것처럼 보이지만 러시아어로 /g/, 그리스어로 /ɣ/로 발음되는 글자다.
  • Δ: 뭇 이과들의 한이 서린 그리스 문자의 '델타'지만 세모도형으로 보이기도 한다. 혹은 옛한글의 (반치음)이나 라플라스, 키릴문자의 Д (데)와도 혼동될 수 있다.[32]
  • v : 라틴 문자 V인데 그리스인은 ν(Nu)로 볼 수 있다. 특히 수식에서 많이 헷갈린다.
  • V , U : 대충 날려쓰면 둘이 비슷하다. 그래서 한어병음 기반으로 하는 중국어 입력기에서는 Ü를 V로 대체한다. 예를들어 女(nǚ)는 nv로 대체한다.[33] 사실 한어병음에서 A~Z까지의 라틴 문자 중에서 안 쓰는건 V밖에 없다.
  • : 한글을 모르는 많은 외국인들이 사람그림으로 생각한다. 때문에 한글을 상형문자(!)로 오인하는 경우도 있다고. 옷 웃 홋 훗 읏 흣[34]
  • 애: 역시 한글을 모르는 외국인들은 감탄사인 OH! 로 여기기 쉽다. [35][36]
  • 辛: 매울 '신'자. 마치 한글 '푸'처럼 보여서 신(辛)라면의 별명이 '푸라면'이 되기도 한다.
  • 兀: 우뚝할, 대머리 '올'자, 마치 그리스 문자의 'π'(파이)로 보인다.[37] 참고로 π의 대문자는 Π다.
  • 号: 부를 호(號)의 약자. 마치 한글 ''처럼 보인다. 그래서 중국어를 가르칠떄 号을 외울때 진짜 "묵"같이 생겼다고 하는 경우도 많다.
  • も: 일본어에서 /mo/로 읽는 글자인데, 터키인아르메니아인자기 나라 돈 단위로 착각할 수 있다.
  • ユ : 한국인(그)은 /ɡ̊ɯ/~/ɡɯ/, 일본인은 /jɯ̽/로, 이스라엘인(ב)은 /b/로 읽을 것이다. 또한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こ의 가타카나인 コ으로 착각할 수 있다.
  • て : 일본인은 /te̞/, 아랍인(ح)은 /ħ/로 읽을 것이다. 7로 보는 사람도 있다. 또 한글 자음 을 흘려 쓰면 비슷하게 보인다. 그리스 문자 τ(타우)로 보이기도 한다.
  • マ : 히라가나 ま에 대응되는 가타카나로 발음은 /ma/인데, 옛한글의 ᄀᆞ( 밑에 아래아를 쓴 표기)가 글꼴에 따라 이것과 비슷하게 보일 수 있다.
  • LH: 라틴 문자 LH를 같이 쓴 글자인데 한글로 '내'라고 쓴 것처럼 보인다. 그래서 LH공사를 '내공사'라고 잘못 읽는 경우도 가끔 생긴다.
  • ال : 아랍어의 정관사 ''인데, 이것만 써 놓으면 라틴 문자로 'JI'라고 써 놓은 것으로 오인하기 딱 좋다.
  • : 파리할 '망'자. 이것과 매우 닮았다. 문서 참고. 백괴사전 덕분에 한국 네티즌들에게 알려졌다.
  • 6: 라틴 문자 b나 키릴 문자 б와 그리스 문자 σ와 유사한데, 인쇄보다는 필기에서 많이 헷갈리는 문자.
  • 7: 'ㄱ'(기역)과 유사하게 생겨서, 세븐 갤러리를 털 때 ㄱ이 들어갈 자리에 7을 끼워넣기도 한다. 또한 나는 가수다도 7명의 가수가 나오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ㄱ이 7로 되어 있다. 또한 필기하는 경우, 로마자 n이나 그리스 문자 에타(η)와 착각할 가능성도 있다. 이를 피하기 위해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ㅋ자 비슷하게 쓴다.
  • 9, g, q, و : 역시 필기에서 많이 헷갈리는 문자. 특히 9와 g는 사용 빈도가 높아서 더 많이 헷갈린다. g9aq
  • З: 마치 숫자 3처럼 보이고, 필기체로 흘려쓴다면 한자로는 了를 흘려쓴 것과 비슷하게 보이기도 하겠지만 사실은 그리스 문자의 ζ에서 온 키릴 문자. 발음은 라틴 문자 Z와 같다. 좌우 반전 판인 아랍 문자 ع도 있다. 이쪽은 필기체로 쓴 E와도 비슷하다
  • : 중화권에서는 역의 이름에 역참 역(驛)자 대신 역참 '참'자를 사용하는데, 한국 한정으로 온라인 게임에서 아이템을 팔 때, 채팅창 혹은 거래창에 '팜' 대용으로 쓴다.[38]. 바람의 나라에서 사자후[39]로 쓰던 게 원조.
  • 企: 꾀할 '기' 자인데, 얼핏 보면 한글 '쇼'를 잘못 쓴 것처럼 보인다. 企! 음악중심 토라마루 企
  • 合: 합할 '합' 자인데, 얼핏 보면 한글 '슴'처럼 보인다. 合フト[40]
  • 눝: 한글 '눝'인데, 이걸 낱자 단위로 풀어서 써 보면 'ㄴㅜㅌ'이 되어서 마치 'LTE'처럼 보인다. 그래서 졸지에 LTE의 별명이 '눝'이 되었다. 그리고 SK텔레콤은 진짜로 LTE를 새로[41] 보면 눝이라면서 SK LTE 브랜드 '눝'을 런칭해서 광고중이다. 이 별명은 이제 제겁니다. 제 마음대로 마케팅 할수 있는겁니다. 눝누누눝 ㄴㅜㅌ-A
  • 曰: 가로 '왈'인데, 또 다른 한자 글자인 '日'자와 헷갈리기 쉽다. 척 보고 알길이 없기 때문에 문맥으로 판단해야 된다. 특히 필기에서. 참고로 실제 구분법이, 네모 안의 가로획이 끝까지 닿으면 날 일 자고 끝까지 안 닿고 중간에서 끊기면 가로 왈 자란다.[42] 여튼 그래서 일본을 우스개로 왈본이라고도 하며, 太陽曰く燃えよカオス[43]를 太陽く燃えよカオス라고 잘못 쓰는 사례도 많다.[44] 최불암 시리즈의 달력 요일 읽는 이야기로도 유명.
  • 出入口: '출입구'라고 읽히는 한자어인데 글씨체에 따라 'ㅃㅅㅁ'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래서 꼬마 시절에 'ㅃㅅㅁ'이라고 적힌 간판을 보고 무슨 뜻으로 그런 글자를 썼는지 이해하지 못하다가 훗날 중학생이 되어 그 간판을 다시 보니 '出入口'였더라는 이야기가 있다. 보기
  • 金: 새김이 '쇠 금'인 한자인데 마치 한글 '숲'과 비슷하게 보인다. 金숲 月火水木숲土日 金 속을 걸어요
  • 胱: 月光을 줄여 쓴 글자같지만 이 글자는 '오줌보 광'이다. [45]
  •  : 孑, 孓, 予와 매우 비슷하며 한글 와 헷갈릴 수 있다.
  • નુલુંગ લસશ: 인도에서 쓰이는 구자라트어를 표기하기 위한 구자라트 문자를 나열해 놓은 것인데, 마치 그 모양이 '니 엉덩이 더러워'처럼 보인다. [46] 유사 표현으로 નુલુંગ લ ખૂન 가 있다 참고로 ખૂન는 해당 언어로 죽인다라는 뜻이다. 벗으라는 의미가 엉덩이 살가죽을 벗겨서 죽이는 거구나. નુલુંગના લાસાલાસા도 있다! ટૂય도 있다! 이제 이걸 조합하면... ટૂય નુલુંગ ખਅ 안보여서 답답한사람이 있을것이다 રલો? ન?
  • ૐ: 숫자 30처럼 보이지만, 구자라트어의 Aum이라는 글자이다. 그 외에도 કર(둥근), નભપ (어머니), થયે (의리), નાસ(에러), ધ(), નલ્લય (어떠리), નુૂન (없어), ગુબ (잉어) 등 수많은 비슷한 글자가 있다.
  • ጿኈ ቼ ዽ ጿ: 사람이 굴러가는 것을 표현한 상형문자 같지만, 이 정체는 에티오피아에서 쓰이는 표음 문자(음절 문자)인 암하라 문자다. 발음은 '슈와훠체데슈와' 정도. 로마자 표기는 ṣʷa hʷä če dde ṣʷa.
  • ㄳ: 감사를 줄인 ㄳ이 일본인에게는 조금 괴랄하게 쓴 히라가나 ひ라고 보인다고 한다. [47]
  • 대-머, 의-익 등 : 가독성이 떨어지는 글꼴이나 악필, 잘못 흘려 썼을 경우 헷갈리는 문자. 때에 따라서 팔-팥 등도 혼동할 여지가 있다. 여기서 유래한 것이 야민정음이다.
  • rn-m : 앞의 대-머 등의 경우처럼 일부 영어 글꼴에서 구분이 잘 가지 않는다. 특히 커닝(kerning)이 나쁜 폰트는 둘을 붙이는 경우가 많아서 가독성이 더 떨어진다.[48] OCR 돌릴때 rn과 m을 서로 잘못 인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잘못하면 ham이 harn(독일어 오줌)로 이 되어버린다.
  • ri - n : 바로 위의 경우와 비슷하다. acute 붙인 n 메가마리 문서 말미 참조.
  • rk - nk :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를 통해 유명해진 사례. 한 택배 직원이 이 철자를 통해 잘못 읽은 덕분에 토니 스타크는 '토니 스탱크'라는 별명을 가지게 되었다.
  • i와 ¡ : 스페인어에서 감탄사를 쓸 때 앞에 거꾸로 된 느낌표를 넣는데, 이게 소문자 i와 모양이 비슷해서 헷갈릴 수 있다.¡Phone! 필기체가 심하게 나쁜 사람은 i(아이)나¡(거꾸로느낌표) ;(쌍반점,세미콜론) :(쌍점,콜론)도 구분 못하게 쓴다 카더라절대 내 얘기가 아니다
  • ¿와 と: 위 내용과 비슷한 예로 스페인어에서 의문사를 쓸 때 앞에 거꾸로 된 물음표를 넣는데, 이게 필기체에 따라 일본어と와 모양이 비슷하다.
  • F-111 : 흘려쓰면 下川(하천)과 구분이 잘 되지 않는다. 그래서 F-111 관련 뉴스를 보도하는 중 당시 'F111機'(F111기)를 흘려쓴 걸 '下川機'(하천기)로 잘못 보고 하천기라고 아나운서가 말했던 일이 실제로 있었다.
  • 1412 : 흘려 쓰면 KID.와 구분이 잘 되지 않는다. 그래서 명탐정 코난에서도 괴도 1412 관련 뉴스에 대한 취재 거리를 쓰던 기자를 보고 쿠도 유사쿠는 키드로 읽었고 이로 인해 괴도 1412는 괴도 키드가 되었다.
  • ß : 독일어에서 SS를 줄여서 쓰는 글자인데, 그리스 문자 β, 라틴 문자 B와 헷갈릴 수 있다.
  • ㅇ과 O, O : 이 글자를 한국인들은 이응으로 읽겠지만 라틴 문자를 쓰는 나라 사람에게 보여주면 'O/o'라고 이해할 것이다. 또한 숫자 0과도 자형이 비슷하다. [49]
  •  : 한국인들은 쑻이라 읽겠지만 일본인들은 (しょう)자라 생각할 것이다.
  • 回レ : 일본어로는 '마와레'(뜻은 돌아라)라고 읽지만, 한국어로는 'ㅁㄴ' 또는 '마'로 보인다. 回レ와레 回レ와레
  • 잕 : 한글 '자'에 'ㄵ' 받침을 넣은 글자인데 이것이 스트레스를 뜻하는 ストレス를 네모꼴로 뭉친 모양[50]을 꼭 닮았다. 아오 진짜 잕 받네!
  • ち: 히라가나 문자로 잘 못 쓴 숫자 5와 혼동될 수 있다.
  • t: 글씨에 따라 十 또는 七로 보일 수 있다.(주로 손글씨)
  • 工口 : '코구치'라는 일본의 성씨인데 하필이면 エロ(에로)와 모양이 같다... 안습
  •  : '타쿠미'라는 일본의 성씨인데 위와 비슷하게 エろ와 비슷한 모양이다.
  • 叫: 한자로 부를 규자인데 중국어를 처음 배울 때 你叫什么名字[51]이라서 불리다란 뜻의"叫"가 한국어 와 비슷하게 생겨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카더라
  • 구글의 2009년 한글날 기념 로고ㅁㅍ옹[52]ㄴㅌ이었다. 이게 왜 구글인지 모르겠다면 실제 배치를 보자.
여담으로 이때 한국 유저들에게서 욕을 들어먹었는지 2015년 한글날에는 한글 흘림체로 된 '구글'을 로고로 사용했다.

4 관련 문서

  1. 번역투의 유혹(2010),오경순
  2. 韓日 兩言語의 飜譯과 '가짜동족어(false friends)(2009), 오경순
  3. 스페인어 가짜 동족어 사용의 오류 분석 (2008), 유은정
  4. 멀리 갈 것 없이 엄마 아빠부터 가짜동계어이다. 아빠 문서 참조.
  5. 과거에는 비슷한 뜻이었지만 역사적, 문화적 이유로 뜻이 달라지거나 다른 동계언어들과 정반대가 되어버리는 경우.
  6. 가짜동족어보다 몬데그린과 유사언어학에 가깝다.
  7. 라고 읽는다.
  8. 영어에서 낚시/낚시꾼을를 의미하는 Angle/Angler이라는 단어가 이 단어와 같은 기원을 가진다.
  9. 데이터(Data)가 이것의 복수형이다.
  10. 명탐정 코난의 55권 FILE.3에서 이것을 소재로 한 에피소드를 만들었다.
  11. 특히 영화에서 잘 쓰인다.영화가 다 끝나고 나서 이 말이 뜬다
  12. 음악 시간에 배우는 악보상의 세뇨/달세뇨/피네중에 하나로 이해하면 되겠다
  13. 정의를 뜻하는 영어인 justice가 just를 어원으로 두는 걸 보니까 비슷한 뜻이다.
  14. 이 이름은 주로 여자 이름으로 쓰여서 영어권 화자 사이에는 성이 Kim인 남자 한국인을 보고 의아해하는 경우도...
  15. 한국어의 '어이'가 이 단어에서 온 말이다.
  16. e 위의 액센트 부호의 유무가 다를 뿐 철자 자체는 같음
  17. 액센트 없이 쓰고 다르게 읽는다. 인터넷 상으로 볼 땐 문맥에 따라 유추할 수밖에..
  18. 돈 전(錢; 신체자로는 銭)자의 일본어 발음. 나머지는 센트와 어원이 같다.
  19. 그래서 6번째 아이의 이름을 섹스투스라고 짓기도 했고 상당히 흔한 이름이었다. 또 로마력의 여섯번째 달은 이름이 sextilis였다. 율리우스력이 되면서 앞에 지금의 1월, 2월이 붙고 아우구스투스의 이름을 따 지금의 8월의 이름이 된 것.
  20. 이 때문에 일본어 'とくがわえき'로 구글링하면 부산의 덕천역이 나온다!
  21. 한국의 지명 인천의 일본어 발음은 '진센'이다.
  22. 인명 사이사이에・을 넣는거와 사실상 같은 용도. 다만 창작물(특히 판타지/라이트 노벨)쪽에서 외국인 인명표기를 할때 이러한 구별자로 중간점보다 더블 하이픈을 삽입하는 사례가 종종 있다.
  23. 실제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백괴사전에서 널리 丛이고쓰이고 있기도 하다.
  24. 해당 공익광고의 내용은 대다수 한국인조차 같은 글자를 티읕 보다 '이'를 먼저 떠올리는 상황을 지적하며 한글사랑을 외치는 것. 그런데 한글은 모아쓰기 문자라서 낱자로 떼어 놓는 것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지 로마자에 더 익숙한 사대주의는 아니라는 반론도 있다.
  25. 일본에서 노동쟁의를 파업이라는 뜻의 영어 strike의 줄임말인 스토(スト)라고 한다.スト를 거의 붙여 써서 한글 '자'처럼 보이는 예. 한자 決行中까지 한글독음으로 착각하기 좋다.
  26. 위의 로(ㅁ)과 합해서 가야의 건국왕 김수로왕은 일본어로 キム・スロ(키무 수로)라고 쓰여진다. 한국인이 읽으면... ㅈㅁ
  27. 발음은 K, ㅋ발음이다
  28. C.C.C.P.를 영어권에서 그냥 라틴 문자 읽기로 씨씨씨피 라고 읽는 경우가 많고 아예 이 발음대로 영어사전에 올라있기도 하다. 참고로 P는 /r/발음일 뿐만 아니라 C는 /s/발음이다.
  29. 실제로 이러한 사례가 꽤 많으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한국어 위키백과 등 여러 사이트에서 이를 이용한 사칭 아이디(또는 계정)가 큰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30. 아가사 크리스티오리엔트 특급 살인사건에서도 이 문자를 이용한 트릭이 잠깐 등장한 적 있다
  31. 비슷한 케이스로 미국의 장난감 가게인 토이샤러스Toys "Я" Us가 있다.
  32. 사실 키릴문자의 Д의 기원은 Δ다. 때문에 생긴것도 비슷, 발음도 비슷.
  33. 단 ju,qu,xu,yu와 같이 발음은 ü인데 표기할때 편의상 u로 대체하는 경우는 그대로 u로 쓴다.
  34. 실제로 외국인에게 한글을 보여줬을 때 홋이라는 글자가 모자 쓴 사람같아서 가장 예뻐 보인다고 한 어떤 설문도 있었다.
  35. 이와 유사한 사례로 'ILL HV HL'도 있다.(뒤집어서 읽어보자.)
  36. 또 '너구리'를 뒤집어서 읽으면 RtA로 보인다( 글씨체의 영향을 받으므로 너구리 라면의 포장지를 뒤집으면 크게 공감할수 있다)
  37. 당신이 생각하는 원주율 3.14159265358979....의 그거 맞다
  38. 사실 '팔다'의 명사형은 '팜'이 아니라 '팖'이기 때문에 그다지 적절하진 않다.
  39. 바람의 나라에선 사자후가 무협에서 나오는 스턴 스킬이 아니라 전서버 글로벌 채팅 스킬이다. 만렙이 되면 직업에 상관없이 배운다.
  40. 실제로 역사적 가나 표기법에서 合う의 표기는 あふ이다.
  41. 사실 이건 디시 맛갤에서 쓰던 별명을 도용가져와서 쓴 것이다.
  42. 일반적으로는 가로로 길면 왈, 세로로 길면 일인 경우가 많다.
  43. 기어와라 냐루코양의 첫번째 오프닝 태양 가라사대 불타올라라
  44. 아래아 한글에서는 원래 제목이 틀렸다면서 태양일을 올바른 단어라고 내놓는다.
  45. 이 글자가 쓰이는 대표적인 예로 방광(膀胱)이 있다. 부수인 月은 '달 월'이 아닌 '육달월'로 고기 육(肉)을 간략화한 것이다.
  46. 최초 발견자는 주호민 으로 보이지만, 정작 주호민 본인도 다른 곳에서 보았다고 밝혔다. 최초 유포자(?) 정도로 보는게 맞을듯.
  47. 실제로 일본인 갸루에게 보여줬더니 갸루문자로 보인다고 한다
  48. 그래서 이를 가지고 keming이라고 하기도 한다.
  49. 그래서 숫자 0을 쓸때, 0에다 /를 긋는 경우도 있다.
  50. 일본어에서는 전각 1칸에 한 단어를 뭉쳐놓은 모양이 꽤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미터(メートル)→
  51. 당신은 무슨 이름 으로 불립니까;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52. 사실 음절 '옹'이라기보다는 ㅇ 밑에 ㅎ을 둔 형태에 가깝다.
  53. 한국어 '시'의 ㅅ 발음이 이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