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px
출처에 따르면 잘 보존된 실제 물건이라고 한다.[1] 수건이나 담요같다 키친타올이나 냅킨 같기도..
사진은 가장 일반적인 형태. 현대 복식의 용도와 비슷한 것을 따지면 대체로 보급형 흰색 브래지어에 가깝다. 치맛말기를 감는 부분은 거들이나 코르셋과 흡사한데, 가슴뿐만 아니라 배허리도 전체적으로 감싸기 때문.
1 설명
width=70%
여성용 한복 속옷 중 하나. 다른 명칭으로는 가슴두르개, 가슴조이개, 허리띠, 가슴싸개, 대자(帶子)라고 한다. 이름과는 달리 가슴부터 허리까지 상반신을 고루 가리고 조여준다.
고려시대까지는 존재하지 않던 속옷이나, 조선 시대가 되어 저고리가 점차 짧아지면서 만들어졌다. 원래 속옷을 비롯한 하의류는 허리에 입는 것이라 저고리가 짧아지면 허리와 가슴 부분이 노출되기 때문. 가슴가리개라는 명칭과는 달리 가슴부터 허리까지 꽁꽁 조이고 감싸준다. 옛날에는 가슴이 큰 것을 영 좋지 않게 보았기 때문에 가슴을 보다 작게 보이기 위해 꽁꽁 동여매기도 했다.
착장할 때는 이것을 먼저 입은 위에 속적삼, 속저고리 등을 입으며, 들뜨는 아랫부분은 겹겹이 껴입는 하의 속옷들에 의해 눌리고 가려진다. 저고리가 어지간히 짧지 않은 이상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가슴 위는 저고리로, 허리부터는 치마나 바지로 가려진다.
2 속옷과 장식옷의 중간적 특징
착용감은 코르셋+브래지어의 중간적인 느낌이라고 한다. 위의 첨부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배와 가슴을 둘둘 말아서 생각보다 많이 압박한다. 여러모로, 속옷과 의복에 걸친 특성을 지닌 의상이다. 참고로 치마와도 허리 부분이 겹치는데, 입을 때는 가슴가리개를 먼저 두른 뒤 다른 상하의 속옷을 입는다. 그렇기 때문에 윗부분이 속적삼과 속저고리에 가려지고, 아랫부분은 바짓말기, 치맛말기에 의해 가려지고 눌린다.
다른 한복이랑 비교해서 가장 큰 특징은 저고리가 짧아지면서 속옷인 동시에 바깥으로 보여주기 위한 장신구의 기능도 했다는 점이다. 즉, 당대 기생들의 패션 브래지어이기도 했던 물건이다(...). 때문에, 화려한 장식을 지닌 가슴가리개도 존재한다. 요즘에도 화려한 속옷 입잖아
3 말기와의 혼동
한복에서 치마나 바지의 허리 부분인 말기와 굉장한 혼동이 일어난다. 말기는 바지나 치마의 맨 위에 둘러서 댄 부분을 칭하는 말이다.바짓허리나 치맛허리의 명칭이 바로 말기이다. 그러므로 말기 자체로는 별개의 의복이 아니다. 즉, 치맛말기는 치마허리로, 한복 치마의 맨 위 허리에 둘러서 댄 부분을 칭하는 명칭이다. 저고리를 구성하는 부분의 명칭이 동정과 화장, 고름, 길, 섶 등이 있듯 말기 역시 한복의 치마나 바지를 구성하는 일부분을 지칭하는 말이다. 그리고 말기끈은 별개의 특별한 끈이 아니라 고름이다. 치마면 치맛고름, 바지면 바짓고름.
그런데, 복잡하게도 일반인들이 보기에 굉장히 헷갈리는 일이 일어나게 되는데, 앞서 말했듯이 조선시대에 저고리가 짧아지면서 가슴가리개라는 새로운 한복 부품이 등장했지만, 아무리 드러난다 한들 일단 속옷인지라 대놓고 겉에 입을 수 없어서, 혹은 조끼허리풀치마라 말기 부분이 드러나지 않거나 말기 부분에는 고름을 둘러서 매기 때문에 화려하게 꾸미기 힘들고, 가슴가리개 자체가 다소 불편하기 때문에 현대에 들어 제작되는 퓨전한복 중 가슴가리개를 한 듯한 실루엣을 연출하기 위해 치마 말기를 늘려서 말기가 가슴가리개 역할을 겸하는 말기치마가 만들어진다.(참조[2]) 거기에 현대에 한복 동호인이 늘어나면서 치마 위에 두르는 말기대가 생기게 된다.(참조)[3] 그러다보니 혼란이 생기는 것. 하지만 가슴가리개는 일단 속옷이기 때문에 위로는 저고리, 아래로는 치마의 밑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착장한 모습을 보면 치맛말기 부분과 구분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조선 후기의 극단적으로 짧은 저고리가 아닌 이상 대놓고 겉으로 드러나질 않는다. 애초에 처음 가슴가리개를 화려하게 만들 때에는 팔을 움직일 때 살짝살짝 보인다는 이유로 화려하게 치장한 것이었다. 현대에 속옷을 겉에 내놓고 입지 않아도 디자인을 신경써서 입는 것과 같다.
가슴가리개는 말기에 흡수된 적 자체가 없다. 구한말에 조끼허리풀치마가 보급되기 전까지 굉장히 중요하게 착용되었다.[4] 치마를 묶는 위치가 허리에서 그 위쪽으로 올라가면서 필사적으로 동여매야 했기 때문. 가슴가리개와 말기는 전혀 다른 것이다. 현대 복식에 빗대자면 가슴가리개는 브래지어, 말기는 치마나 바지에서 벨트를 차거나 단추를 여미는 허리 부분이다. 둘의 기능 자체가 다르다. 요즘 바지나 치마에서 허리만 똑 떨어지지는 않지 않은가.
4 기타
현대인들은 익히 알려진 '가슴가리개'라는 명칭만 보고, 가슴가리개를 가슴을 가리는 붕대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것이 80년대 한국 무협만화. 여성 검객이나 처자들이 가슴에 붕대를 두른 모습이 자주 등장한다. 이것도 나름대로 에로티시즘이 있어서 파생 패션으로 봐도 될지도 실제로 가난한 노비나 애를 키우는 집에선 그냥 짧은 붕대만 감거나 생략하기도 했다.
- ↑ 해당 링크의 e뮤지엄에서는 말기라고 칭하고 있지만, 가슴가리개가 정확한 명칭.
- ↑ 해당 답변에서 가슴가리개를 치마 위에 착용했다는 오류를 범했는데, 실제로는 상의 속옷 중 맨 먼저 착장했다. 치마 위에 착용하는 것은 현대에 파생된 말기대이다.
- ↑ 실제로 보면 가슴가리개가 비교도 안되게 넓다. 또한 치맛고름이나 바짓고름과 달리 고름이 달린 위치도 다르며, 한 자락은 좁고 짧기까지 하다. 하지만 거의 입지 않으므로 이 사실을 아는 이가 극히 적다.
- ↑ 구한말에 가슴을 드러낸 한국 여인의 사진이 꽤 유명한데, 모유수유를 하던 시기의 산부의 사진이거나 일제에서 의도적으로 조작한 사진이다.
- ↑ 심지어 일부 네티즌의 경우 스스로 한복에 대해 많이 안다고 자부하며 "한복에는 허리띠가 없다"거나 "한복에는 허리띠 위에 오비지메처럼 얇은 끈을 두르는 디자인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단정하기까지 한다. 왜색 문서의 '역효과' 문단 참조.